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문희(文僖)@유창 - 유창(劉敞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강릉유씨(江陵劉氏)의 시조로, 조선 건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(開國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태조(太祖)에게 여러 차례 《대학연의(大學衍義)》를 진강함.
?~1421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문희(文僖)@이세기 - 이세기(李世基)
고려 충렬왕(忠烈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이핵(李翮)의 아들로, 충렬왕 때 성균시(成均試)에 장원급제하여 왕이 오문생(吾門生)이라 불렀으며, 대제학(大提學) 등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문희(文僖)@유순 - 유순(柳洵)
조선 세조(世祖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중종반정(中宗反正) 때 정국공신(靖國功臣) 문성부원군(文城府院君)에 봉해짐. 시부(詩賦)에 뛰어나 《연주시격(聯珠詩格)》을 한글로 번역하고, 의학ㆍ지리학에도 조예가 깊음.
1441~1517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문희(文僖)@유숙 - 유숙(柳淑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기철(奇轍) 일당을 제거한 공으로 안사공신(安社功臣)에 책록되고, 홍건적의 난 때 공민왕을 호종한 공으로 충근절의찬화공신(忠勤節義贊化功臣)이 된 뒤 서령군(瑞寧君)에 봉해짐.
1324~1368 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덕산ㅣ전라도>영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문희(文僖)@이호민 - 이호민(李好閔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선조를 호종하고, 명(明) 나라의 군대를 불러오는 데 기여함. 적서(嫡庶)의 구별 없이 장자를 옹립하자는 입장론(立長論)을 주장함.
1553~1634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문희(文僖)@예겸 - 예겸(倪謙)
중국 명(明) 나라 영종(英宗)~헌종(憲宗) 때의 문신. 1450년(조선 세종 32) 경제(景帝)의 등극을 알리러 조선에 온 사신으로 예부 상서(禮部尙書)를 지내고, 저서로 《조선기사(朝鮮紀事)》를 남김.
1415~1479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문희(文僖)@우탁 - 우탁(禹倬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혜왕(忠惠王) 때의 문신ㆍ학자. 영해 사록(寧海司錄)이 되어 요신(妖神)의 사당(祠堂)을 철폐하고, 충선왕(忠宣王)의 잘못을 극간한 뒤 향리로 물러나 후진교육에 전념함.
1263~1342 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단양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문희(文僖) - 동월(董越)
중국 명(明) 나라의 문신ㆍ학자. 조선 성종(成宗) 때 우리나라에 사신으로 왔다가 돌아가서 조선의 풍토(風土)를 부(賦)로 읊은 《조선부(朝鮮賦)》를 지음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문희(文僖)@이정립 - 이정립(李廷立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이이(李珥)ㆍ성혼(成渾)의 문인으로 기축옥사(己丑獄死)를 다스린 공으로 평난공신(平難功臣)이 되었고, 병조 참판(兵曹參判)ㆍ대사성(大司成) 등을 역임함.
1556~1595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문희(文僖)@전유연 - 전유연(錢惟演)
중국 송(宋) 나라 태종(太宗)~인종(仁宗) 때의 문신ㆍ문인. 오월(吳越) 충의왕(忠懿王) 전숙(錢俶)의 둘째 아들로, 한림학사(翰林學士)ㆍ공부 시랑(工部侍郞) 등을 지내고, 시(詩)와 사(詞)에 능했음.
962~1034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문희(文僖)@성석린 - 성석린(成石璘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고려 말 왜구를 격퇴하고 조선의 개국과 왕자의 난에 공을 세우는 등 수차례 공신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. 시문(詩文)에 능하고 초서(草書)를 잘 씀.
1338~1423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문희(文僖)@안현 - 안현(安玹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흥(順興)으로, 우의정ㆍ좌의정 등을 역임하였음. 의술에 정통하여 내외 의국(醫局)도 관리하였으며, 청백리(淸白吏)에 녹선됨.
1501~156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문희(文僖)@신개 - 신개(申槩)
조선 태조(太祖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평산(平山). 1417년(태종 17)에 집현전 제학(集賢殿提學)이 되고, 1436년(세종 18)에 《고려사(高麗史)》수찬에 참여함. 1439년(세종 21) 우의정에 올라 야인의 침입을 막기 위한 장성 축조를 건의함.
1374~1446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관인>문신
-
문희(文姬)@채염 - 채염(蔡琰)
중국 후한(後漢)의 문인ㆍ열녀. 채옹(蔡邕)의 딸. 흉노(匈奴)에게 납치되어 12년 동안 살다가 돌아온 뒤 그곳에서 낳은 두 아들과의 이별을 읊은 〈비분시(悲憤詩)〉와 〈호가십팔박(胡笳十八拍)〉을 지음.
177~?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열녀ㅣ인명>문사>문인
-
문희(文姬) - 우탁(禹倬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혜왕(忠惠王) 때의 문신ㆍ학자. 영해 사록(寧海司錄)이 되어 요신(妖神)의 사당(祠堂)을 철폐하고, 충선왕(忠宣王)의 잘못을 극간한 뒤 향리로 물러나 후진교육에 전념함.
1263~1342 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단양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문희(文禧) - 유호인(兪好仁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ㆍ문인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(門人)으로, 합천 군수(陜川郡守) 등을 지냄. 시(詩)ㆍ문(文)ㆍ서(書)에 뛰어나 당대 삼절(三絶)로 일컬어지고 성종의 지극한 총애를 받음.
1445~149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문희(聞喜) - 문경(聞慶)
경상북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. 후삼국의 쟁패기 때 후백제와 후고구려의 각축장이었으며, 임진왜란 이후에 국방상 요새가 되어 여러 산성이 축조됨.
경상도>문경 , 지명>행정지명
-
물거군(勿巨君) - 이철(李徹)
조선 세조(世祖) 때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(孝寧大君) 이보(李𥙷)의 손자이며, 보성군(寶城君) 이합(李㝓)의 다섯째 아들. 진법(陣法)에 밝고, 장기와 바둑을 잘 두었음.
?~1467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물거윤(勿巨尹) - 이철(李徹)
조선 세조(世祖) 때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(孝寧大君) 이보(李𥙷)의 손자이며, 보성군(寶城君) 이합(李㝓)의 다섯째 아들. 진법(陣法)에 밝고, 장기와 바둑을 잘 두었음.
?~1467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물격치지장(物格致知章) - 대학(大學)
유교 경전인 사서(四書)의 하나. 《예기(禮記)》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(宋) 나라의 사마광(司馬光)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《대학광의(大學廣義)》를 만들었고, 송 나라의 주희(朱熹)가 《대학장구(大學章句)》를 지음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문헌>서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