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물재(勿齋)@정안도 - 정안도(鄭安道)
조선 태종(太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光州). 유학 정의(鄭義)의 아들로, 판현사(判縣事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물재(勿齋) - 손순효(孫舜孝)
조선 문종(文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평해(平海). 우찬성(右贊成)ㆍ판중추부사(判中樞府事)를 지냄. 성리학에 조예가 깊고 문장이 뛰어났으며, 《세조실록(世祖實錄)》 편찬에 참여하고 《식료찬요(食療撰要)》를 간행함.
1427~1497 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평해 , 인명>관인>문신
-
물재선생(勿齋先生) - 정약용(程若庸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저서로 《성리자훈강의(性理字訓講義)》ㆍ《태극홍범도설(太極洪範圖說)》 등이 있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물재정씨(勿齋程氏) - 정약용(程若庸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저서로 《성리자훈강의(性理字訓講義)》ㆍ《태극홍범도설(太極洪範圖說)》 등이 있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물헌(勿軒) - 웅화(熊禾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. 무이산(武夷山)에 들어가 홍원서당(洪源書堂)을 건립하고 강학하였으며, 사서(四書)를 주소(註疏)함.
1135~1195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물헌웅씨(勿軒熊氏) - 웅화(熊禾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. 무이산(武夷山)에 들어가 홍원서당(洪源書堂)을 건립하고 강학하였으며, 사서(四書)를 주소(註疏)함.
1135~1195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미(亹) - 김미(金亹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삼척(三陟)으로, 제주 목사(濟州牧使) 김률(金硉)의 아들. 우승지ㆍ첨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하고, 명종 초에 《중종실록(中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미(嵋) - 복성군(福城君)
조선 제11대 중종(中宗)의 서자. 경빈박씨(敬嬪朴氏)의 소생으로, 1533년(중종 28) 작서(灼鼠)의 변(變) 때 모자가 함께 사사(賜死)되었다가 1541년(중종 36)에 신원(伸寃)됨.
1509~1533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자
-
미(楣) - 박미(朴楣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박중손(朴仲孫)의 아들로, 대사간(大司諫) 등을 지냄.
1433~149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미(瀰) - 박미(朴瀰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ㆍ문인. 본관은 반남(潘南)으로, 정안옹주(貞安翁主)와 혼인하여 금양위(錦陽尉)에 봉해짐. 장유(張維)ㆍ정홍명(鄭弘溟)과 교유하였고 서도에 일가를 이룸.
1592~1645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미(美) - 이미(李美)
조선 단종(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안(咸安). 대사헌(大司憲)을 지낸 이인형(李仁亨)과 이수형(李守亨)의 아버지로, 전적(典籍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안 , 인명>관인>문신
-
미(薇) - 이미(李薇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덕수(德水). 이의무(李宜茂)의 아들이며, 이행(李荇)의 아우로, 동지중추부사(同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
1484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미^기(尾^箕) - 기^미(箕^尾)
이십팔수(二十八宿) 중 기성(箕星)과 미성(尾星)을 함께 부르는 말. 은(殷) 나라의 부열(傅說)이 죽어 하늘에 올라 이 두 별자리에 거하였다고 하여 사람의 죽음을 뜻하기도 함.
자연물>기타자연물
-
미가(薇歌) - 채미가(採薇歌)
중국 주(周) 나라 초기에 백이(伯夷)와 숙제(叔齊)가 은(殷) 나라를 정벌한 무왕(武王)을 피해 수양산(首陽山)에 들어가서 고사리를 캐 먹으며 지었다는 노래.
중국>주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미강(渼江) - 김탄행(金坦行)
조선 후기의 문신. 영의정 김창집(金昌集)의 손자이며 승지 김제겸(金濟謙)의 아들. 신임옥사(申壬獄事)로 할아버지와 아버지가 사사되자 금산(錦山)에 유배되고, 영조(英祖) 즉위 후 풀려나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
1714~1774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양지 , 인명>관인>문신
-
미강(眉江) - 이경증(李景曾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덕수(德水). 권필(權韠)의 문인(門人)으로, 정묘호란(丁卯胡亂) 때 어사(御史)로서 식량조달을 담당하고, 병자호란(丙子胡亂) 때에는 병방승지(兵房承旨)로서 인조를 호종함.
1595~1648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풍덕 , 인명>관인>문신
-
미견(彌堅) - 백미견(白彌堅)
고려 충정왕(忠定王) 때의 문신. 1359년(공민왕 8) 전녹생(田祿生)과 정동향시(征東鄕試)에 입격하고, 원(元) 나라 제과(制科)에 합격하였음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수원 , 인명>관인>문신
-
미경(美卿) - 이휘(李徽)@이사검의아들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양성(陽城)으로, 이사검(李思儉)의 아들. 세조 즉위에 협력하여 좌익공신(佐翼功臣)에 책정되나, 단종(端宗) 복위에 가담한 사실이 발각되어 거열형을 당하고 가산을 몰수당함.
?~1456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성 , 인명>관인>문신
-
미고(彌高) - 이영(李嶸)@1462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(廣平大君) 이여(李璵)의 손자이며, 영순군(永順君) 이부(李溥)의 둘째 아들.
1462~1495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미구루(味仇婁) - 문천(文川)
함경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.
함경도>문천 , 지명>행정지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