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미성공(郿城公) - 위원례(韋元禮)
중국 수(隋) 나라의 문신. 위표미(韋表微)의 7세조(世祖)로 미성공(郿城公)에 봉해짐.
중국>수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미소(羋騷) - 굴원(屈原)
중국 춘추전국시대 초(楚) 나라의 대부ㆍ시인. 회왕(懷王)의 좌도(左徒)를 맡아 활약하였으나 정적(政敵)들의 중상모략을 받아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다가 멱라수(汨羅水)에 투신하여 죽음.
B.C.343~B.C.277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경대부
-
미수(尾壽) - 노미수(盧尾壽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신창(新昌). 훈련원 습독관(訓練院習讀官) 노규부(盧赳夫)의 아들이며, 단성 현감(丹城縣監) 노집(盧輯)의 아버지로, 충무위 부사직(忠武衛副司直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신창 , 인명>관인>무신
-
미수(眉叟)@성담수 - 성담수(成聃壽)
조선 문종(文宗)~단종(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생육신(生六臣)의 한 사람. 단종복위운동(端宗復位運動) 때 아버지 성희(成熺)가 귀양갔다가 풀려나 세상을 떠나자, 벼슬을 단념하고 파주(坡州)에 은거하여 평생 단종을 추모하며 절개를 지킴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미수(眉叟)@허목 - 허목(許穆)
조선 인조(仁祖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양천(陽川). 정구(鄭逑)의 문인으로, 예송(禮訟) 논쟁에서 남인(南人)을 주도하며 송시열(宋時烈)의 서인(西人)과 대립함. 사상적으로 이황(李滉)ㆍ정구의 학통을 이어받아 이익(李瀷)에게 연결함.
1595~1682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연천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미수(眉叟)@곽기수 - 곽기수(郭期壽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해미(海美)로, 선략장군(宣略將軍) 곽세유(郭世幼)의 아들. 관직은 예조 좌랑(禮曹佐郞)에 이르렀으며, 부안 현감(扶安縣監) 재직 중에 낙향하여 《주역(周易)》 연구에 전념함.
1549~1616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강진 , 인명>관인>문신
-
미수(眉叟)@김응기 - 김응기(金應箕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성종의 신임이 두터워 10여 년 동안 강연(講筵)을 맡음.
1457~151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미수(眉叟)@송인수 - 송인수(宋麟壽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은진(恩津). 엄용공(嚴用恭)ㆍ김안국(金安國)의 문인(門人). 성리학(性理學)의 대가로 선비들에게 추앙을 받았으나, 정미사화(丁未士禍)에 연루되어 사사(賜死)됨.
1499~1547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ㅣ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미수(眉叟)@소자파 - 소자파(蘇自坡)
조선 전기의 문신. 소효식(蘇效軾)의 아들로, 의빈부 도사(儀賓府都事)ㆍ구례 현감(求禮縣監) 등을 지냈으며, 소세량(蘇世良ㆍ소세검(蘇世儉)ㆍ소세양(蘇世讓) 등 일곱 아들이 모두 벼슬에 나가 현달하였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미수(眉叟)@성구령 - 성구령(成九齡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창녕(昌寧). 성방언(成邦彥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미수(眉叟)@조수만 - 조수만(趙壽萬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함안(咸安). 생육신(生六臣) 중 한 사람인 조려(趙旅)의 손자로, 부친인 조금호(趙金虎)보다 먼저 요절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안 , 인명>문사>유학
-
미수(眉叟)@이인로 - 이인로(李仁老)
고려 명종(明宗)~고종(高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경원(慶源). 강좌칠현(江左七賢)의 한 사람으로, 오세재(吳世才)ㆍ임춘(林椿) 등과 교유하고, 우간의대부(右諫議大夫) 등을 지냄. 시문(詩文)뿐만 아니라 초서(草書)ㆍ예서(隸書)에도 능함.
1152~1220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인천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미수(眉叟) - 김수동(金壽童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중종반정(中宗反正)에 참여하여 영가부원군(永嘉府院君)에 봉해졌으며, 삼포왜란(三浦倭亂)을 진압함.
1457~151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미수(眉叟)@신억수 - 신억수(申億壽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평산(平山). 신의충(申義忠)의 아버지이자, 신각(申恪)의 조부로, 1513년(중종 8) 식년(式年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승문원 교감(承文院校勘)을 지냄.
?~1527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미수(眉壽)@이미수 - 이미수(李眉壽)
조선 전기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열두 번째 아들인 무산군(茂山君) 이종(李悰)의 둘째 아들이고, 이귀수(李龜壽)의 아우이며 민유경(閔有慶)의 외할아버지. 영천군(永川君)에 봉해짐.
1509~1572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미수(眉壽)@정미수 - 정미수(鄭眉壽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해주(海州). 문종(文宗)의 외손자로, 중종반정(中宗反正) 때 정국공신(靖國功臣) 3등으로 해평부원군(海平府院君)에 봉해졌음.
1456~1512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ㅣ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미수(眉壽)@권미수 - 권미수(權眉壽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안동(安東). 선조(宣祖) 때 호군(護軍)을 지낸 권몽두(權夢斗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미수(眉壽)@설미수 - 설미수(偰眉壽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ㆍ귀화인. 원래 회골(回鶻) 사람으로, 고려 때 귀화하여 검교우참찬(檢校右參贊) 등을 지냄. 중국어에 능통하여 명(明) 나라에 여러 번 사신 가서 외교적 성과를 거둠.
1359~1415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기타인명>귀화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미수(眉壽) - 송인수(宋麟壽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은진(恩津). 엄용공(嚴用恭)ㆍ김안국(金安國)의 문인(門人). 성리학(性理學)의 대가로 선비들에게 추앙을 받았으나, 정미사화(丁未士禍)에 연루되어 사사(賜死)됨.
1499~1547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ㅣ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미수기언(眉叟記言) - 기언(記言)
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인 허목(許穆)의 문집. 원집(原集)과 별집(別集)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, 허목이 생전에 손수 편차하여 명명(命名)하고 서문(序文)을 씀.
1689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