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미파(渼陂) - 왕구사(王九思)
중국 명(明) 나라의 문신ㆍ문인. 고문사설(古文辭說)을 주창한 ‘칠재자(七才子)’ 중의 한 사람으로, 사곡(詞曲)에 뛰어났으며 이부 낭중(吏部郞中) 등을 지냄.
1468~1551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미해악화사(米海岳畵史) - 화사(畵史)
중국 북송(北宋)의 서예가ㆍ화가인 미불(米芾)이 지은 화론서. 1권. 진(晉)ㆍ육조(六朝)ㆍ수(隋)ㆍ당(唐)ㆍ오대(五代)ㆍ북송(北宋) 등의 명화에 대해 우열과 진위를 평하고, 잘못된 점을 교정함. 《서사(書史)》와 함께 쌍벽을 이루는 서론서(書論書)로 유명함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미호(渼湖) - 김원행(金元行)
조선 영조(英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안동(安東). 이재(李縡)의 문인으로, 신임사화(辛壬士禍) 때 종조(從祖) 김창집(金昌集)이 사사되고 일가가 모두 유배된 후 벼슬을 사양하고 성리학에 전념함.
1702~1772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민(敏) - 손민(孫敏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예문관 부제학(藝文館副提學) 손비장(孫比長)의 아버지로, 현감(縣監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민(敏)@남민 - 남민(南敏)
신라 경덕왕(景德王) 때의 귀화인. 중국 당(唐) 나라 사람 김충(金忠)으로, 풍랑을 만나 영양(英陽)에 정착한 후 신라에서 성과 이름을 내림. 영양(英陽)ㆍ의령(宜寧)ㆍ고성(固城) 남씨(南氏)의 시조.
한국>통일신라 , 중국ㅣ경상도>영해 , 인명>기타인명>귀화인
-
민(敏)@박민 - 박민(朴敏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태안(泰安). 정구(鄭逑)의 제자로, 《대학(大學)》과 《심경(心經)》에 뛰어남. 정묘호란(丁卯胡亂) 때 강우의병장(江右義兵將)으로 추대되었으나 화의가 성립되어 활동하지 못함. 진주 정강서원(鼎崗書院)ㆍ정산(鼎山) 향현사(鄕賢祀)에 제향됨.
1566~1630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태안 , 인명>문사>학자
-
민(敏)@성민 - 성민(省敏)
고려 말~조선 초의 승려ㆍ문인. 찬영(粲英)의 제자로, 권근(權近) 등과 교유하였으며, 태종(太宗)의 척불(斥佛) 정책에 대하여 신문고(申聞鼓)를 울려 호소하였으나 무위로 돌아감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ㅣ인명>문사>문인
-
민(敏)@최민 - 최민(崔敏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해주(海州). 문하시랑동중서문하평장사(門下侍郞同中書門下平章事)를 지낸 최자(崔滋)의 아버지로, 우복야(右僕射)를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해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민^아(岷^峨) - 아^민(峨^岷)
중국 사천성(四川省)에 있는 아미산(峨眉山)과 민산(岷山)을 함께 부르는 말. 두 산이 모두 높고 우뚝하여 곧은 절개와 뛰어난 자질을 표현할 때 비유하는 말로 쓰임.
중국 , 지명>기타지명
-
민각(民覺)@조선전기 - 이민각(李民覺)@조선전기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경주(慶州). 용재(慵齋) 이종준(李宗準)의 증손이자 이윤검(李胤儉)의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민각(民覺)@이약빙의손자 - 이민각(李民覺)@조선후기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이약빙(李若氷)의 손자로, 임진왜란 때, 전라도에 파견되어 군량미 조달에 공을 세웠으며, 호조 참의(戶曹參議) 등을 지냄.
1535~?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민고(敏古) - 정자(鄭滋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일(延日). 판관(判官) 정유침(鄭惟沈)의 아들이자 우의정 정철(鄭澈)의 형으로, 정언(正言)ㆍ이조 정랑(吏曹正郞) 등을 지냄. 을사사화(乙巳士禍) 때 유배되고, 정미사화(丁未士禍) 때 이배(移配)되던 도중 사망함.
1515~154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일 , 인명>관인>문신
-
민공(湣公) - 민공(閔公)@춘추전국(노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제후. 재위 B.C.661~B.C.660. 노 나라 장공(莊公)과, 제(齊) 환공(桓公)의 여동생인 숙강(淑姜)의 아들. 장공 사후 세자인 반(般)이 죽자 그 뒤를 이어 즉위하였으나, 경보(慶父)와 이모인 애강(哀姜)에 의해 살해됨.
?~B.C.660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민공안(閔恭安) - 민경생(閔慶生)
고려 말기~조선 초의 문신. 우상시(右常侍)를 지낸 이정(李挺)의 사위이며, 직예문관(直藝文館)을 지낸 민설(閔渫)의 아버지로, 공안부 윤(恭安府尹)ㆍ예조 전서(禮曹典書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민구(敏求) - 홍민구(洪敏求)
고려 후기의 문신. 익재(益齋) 이제현(李齊賢)이 ‘호고(好古)’라는 자(字)를 지어 주었으며, 이색(李穡)의 《목은고(牧隱藁)》에 그와 관련된 내용이 실려 있음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민노봉(閔老峯) - 민정중(閔鼎重)
조선 효종(孝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麗興)으로, 강원도 관찰사를 지낸 민광훈(閔光勳)의 아들. 송시열(宋時烈)의 문인으로 직언(直言)을 잘했는데, 기사환국(己巳換局) 때 유배되어 죽음.
1628~1692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민덕(敏德) - 오눌(吳訥)
중국 명(明) 나라 인종(仁宗)~영종(英宗) 때의 문신. 벼슬은 우부도어사(右副都御史)를 역임하였고, 저서로는 《소학집해(小學集解)》가 있음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민덕남(閔德男) - 민형남(閔馨男)
조선 선조(宣祖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좌찬성(左贊成) 민효증(閔孝曾)의 증손이며, 풍저창 수(豊儲倉守) 민복(閔福)의 아들로, 이조 판서(吏曹判書)ㆍ우찬성(右贊成) 등을 지냄. 1613년(광해군 5) 익사(翼社)ㆍ형난(亨難)의 두 공신에 책록(策錄)됨.
1564~1659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민동지(閔同知) - 민응서(閔應瑞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무신. 송인수(宋麟壽)와 함게 동경계(同庚契)를 만들어 교유했고, 평안도 병마절도사ㆍ제주 목사(濟州牧使)ㆍ동지중추부사(同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
1499~? 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무신
-
민망(民望) - 염정수(廉廷秀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서원(瑞原). 곡성부원군(曲城府院君) 염제신(廉悌臣)의 아들로, 대제학(大提學) 등을 지냈으나 최영(崔瑩)ㆍ이성계(李成桂)에 의해 형제인 염국보(廉國寶)ㆍ염흥방(廉興邦)과 함께 살해됨.
?~1388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