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미지(微之)@조중휘 - 조중휘(趙仲輝)
조선 세조(世祖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양주(楊州). 관찰사 조근(趙瑾)의 아들. 영릉 참봉(英陵參奉)을 지냈으며, 학문이 숙성하고 백가(百家)에 밝음.
1445~150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미지(眉之)@이벽 - 이벽(李壁)@송
중국 송(宋) 나라 영종(寧宗) 때의 문신ㆍ문인. 문장(文章)이 뛰어나고 전장(典章)과 제도(制度)에 정통하였으며, 권신 한탁주(韓侂冑)를 추종하여 참지정사(參知政事) 등을 지냄.
1159~1222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미지(眉之) - 이귀령(李龜齡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외척. 본관은 전의(全義). 이덕숭(李德崇)의 아들이며, 중종 계비(繼妃)인 문정왕후(文定王后)의 외삼촌으로, 지돈녕부사(知敦寧府事) 등을 지냄.
1482~1542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미지산(彌智山) - 속리산(俗離山)
충청도 보은(報恩)ㆍ괴산(槐山), 경상도 상주(尙州)의 경계에 있는 산 이름.
충청도>보은ㅣ경상도>상주 , 지명>자연지명
-
미질(彌秩) - 흥해(興海)
경상북도 포항(浦項)의 흥해읍(興海邑)을 중심으로 한 지역의 고려ㆍ조선 시대의 고을 이름.
경상도>흥해 , 지명>행정지명
-
미질부성(彌秩夫城) - 흥해(興海)
경상북도 포항(浦項)의 흥해읍(興海邑)을 중심으로 한 지역의 고려ㆍ조선 시대의 고을 이름.
경상도>흥해 , 지명>행정지명
-
미천석(彌天釋) - 도안(道安)
중국 남북조시대 동진(東晉)의 승려. 반야학(般若學) 본무종(本無宗)의 대표적 인물.
312~385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미초율령(彌草栗嶺) - 미초율령(未草栗嶺)
전라남도 순천(順天) 북쪽에 있는 고개 이름. 지형이 험한 요새지(要塞地).
전라도>순천 , 지명>자연지명
-
미촌(美村) - 윤선거(尹宣擧)
조선 인조(仁祖)~현종(顯宗) 때의 학자. 김집(金集)의 문인으로, 유계(兪棨)ㆍ송시열(宋時烈)ㆍ윤휴(尹鑴)ㆍ윤선도(尹善道)ㆍ이유태(李惟泰) 등과 교유함. 성리학(性理學)의 대가이고 예론(禮論)에도 정통함.
1610~1669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금산 , 인명>문사>학자
-
미추홀(彌趨忽) - 인천(仁川)
경기도 중서부 서해에 접해 있는 고을 이름. 동쪽으로는 안산(安山)ㆍ금천(衿川)을, 북쪽으로는 부평(富平)을 경계로 하고 있음.
경기도>인천 , 지명>행정지명
-
미추홀국(彌鄒忽國) - 인천(仁川)
경기도 중서부 서해에 접해 있는 고을 이름. 동쪽으로는 안산(安山)ㆍ금천(衿川)을, 북쪽으로는 부평(富平)을 경계로 하고 있음.
경기도>인천 , 지명>행정지명
-
미파(渼陂) - 왕구사(王九思)
중국 명(明) 나라의 문신ㆍ문인. 고문사설(古文辭說)을 주창한 ‘칠재자(七才子)’ 중의 한 사람으로, 사곡(詞曲)에 뛰어났으며 이부 낭중(吏部郞中) 등을 지냄.
1468~1551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미해악화사(米海岳畵史) - 화사(畵史)
중국 북송(北宋)의 서예가ㆍ화가인 미불(米芾)이 지은 화론서. 1권. 진(晉)ㆍ육조(六朝)ㆍ수(隋)ㆍ당(唐)ㆍ오대(五代)ㆍ북송(北宋) 등의 명화에 대해 우열과 진위를 평하고, 잘못된 점을 교정함. 《서사(書史)》와 함께 쌍벽을 이루는 서론서(書論書)로 유명함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미호(渼湖) - 김원행(金元行)
조선 영조(英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안동(安東). 이재(李縡)의 문인으로, 신임사화(辛壬士禍) 때 종조(從祖) 김창집(金昌集)이 사사되고 일가가 모두 유배된 후 벼슬을 사양하고 성리학에 전념함.
1702~1772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민(敏) - 손민(孫敏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예문관 부제학(藝文館副提學) 손비장(孫比長)의 아버지로, 현감(縣監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민(敏)@남민 - 남민(南敏)
신라 경덕왕(景德王) 때의 귀화인. 중국 당(唐) 나라 사람 김충(金忠)으로, 풍랑을 만나 영양(英陽)에 정착한 후 신라에서 성과 이름을 내림. 영양(英陽)ㆍ의령(宜寧)ㆍ고성(固城) 남씨(南氏)의 시조.
한국>통일신라 , 중국ㅣ경상도>영해 , 인명>기타인명>귀화인
-
민(敏)@박민 - 박민(朴敏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태안(泰安). 정구(鄭逑)의 제자로, 《대학(大學)》과 《심경(心經)》에 뛰어남. 정묘호란(丁卯胡亂) 때 강우의병장(江右義兵將)으로 추대되었으나 화의가 성립되어 활동하지 못함. 진주 정강서원(鼎崗書院)ㆍ정산(鼎山) 향현사(鄕賢祀)에 제향됨.
1566~1630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태안 , 인명>문사>학자
-
민(敏)@성민 - 성민(省敏)
고려 말~조선 초의 승려ㆍ문인. 찬영(粲英)의 제자로, 권근(權近) 등과 교유하였으며, 태종(太宗)의 척불(斥佛) 정책에 대하여 신문고(申聞鼓)를 울려 호소하였으나 무위로 돌아감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ㅣ인명>문사>문인
-
민(敏)@최민 - 최민(崔敏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해주(海州). 문하시랑동중서문하평장사(門下侍郞同中書門下平章事)를 지낸 최자(崔滋)의 아버지로, 우복야(右僕射)를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해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민^아(岷^峨) - 아^민(峨^岷)
중국 사천성(四川省)에 있는 아미산(峨眉山)과 민산(岷山)을 함께 부르는 말. 두 산이 모두 높고 우뚝하여 곧은 절개와 뛰어난 자질을 표현할 때 비유하는 말로 쓰임.
중국 , 지명>기타지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