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노포집(老圃集)
중국 송(宋) 나라 철종(哲宗)~고종(高宗) 때의 문신ㆍ문인인 홍추(洪芻)의 저서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노필(盧㻶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학자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으로 김굉필(金宏弼)과 교유하였으며, 기묘사화(己卯士禍)에 연루되어 유배됨.
1464~1532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노하(潞河)
중국 북경(北京) 근처의 통주(通州)를 흐르는 강 이름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노한(盧閈)
조선 태조(太祖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교하(交河). 좌의정을 지낸 민제(閔霽)의 사위로, 태종(太宗)과 동서간. 처남 민무구(閔無咎) 형제의 사건에 연루되어 파직되었으나, 세종(世宗) 때 무죄가 밝혀져 복직됨.
1376~1443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노한문(盧漢文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光州). 노자장(盧自璋)의 아들로, 사관(史官)의 조보(朝報) 작성과 이를 재상(宰相)에 전송(傳送)하는 일을 혁파했으며, 《중종실록(中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노해(盧垓)
고려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光州). 한림학사(翰林學士) 도시조(都始祖) 노수(盧穗)의 첫째 아들로, 광산백(光山伯)에 봉해짐. 광주노씨(光州盧氏)의 득관조(得貫祖)ㆍ시조(始祖).
한국>고려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노형(盧詗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광주(光州). 노대성(盧大成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문사>유학
-
노형필(盧亨弼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천(豊川). 노척(盧脊)의 아들. 병자호란(丙子胡亂) 때 의병을 규합함. 학행(學行)으로 효릉 참봉(孝陵參奉)ㆍ사부(師傅)에 제수되었지만 사양하고, 운제(雲堤)에서 한적한 생활을 즐김.
1605~1644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영광 , 인명>관인>문신
-
노홍(盧鴻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선조(宣祖) 때 영의정(領議政)을 지낸 노수신(盧守愼)의 아버지로, 활인서 별제(活人署別提)를 지냈음.
1496~156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노홍우(盧弘祐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교하(交河). 선조(宣祖) 때 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를 지낸 노직(盧稙)의 아버지로, 사헌부 감찰(司憲府監察)ㆍ남평 현감(南平縣監) 등을 지냈음.
1552~1602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노회신(盧懷愼)
중국 당(唐) 현종(玄宗) 때의 재상. 검소하고 근면했으나 재상으로서의 능력이 부족해 사람들로부터 반식재상(伴食宰相)이라 불렸음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노효번(盧孝蕃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곡산(谷山). 이이(李珥)의 문인(門人). 시정(寺正)을 지낸 노경린(盧慶麟)의 아들로, 부정(副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곡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노효손(盧孝孫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. 진사에 급제하여 태학박사(太學博士) 등을 역임하고, 말년에 관직을 사양하고 학문에 매진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노후(盧珝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光州). 참봉(參奉) 노경장(盧敬長)의 아들로, 풍저창 수(豐儲倉守)ㆍ간성 군수(杆城郡守)를 지냄.
1475~1546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노흠(盧欽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광주(光州)로, 조식(曺植)의 문인.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왜적과 싸운 공로로 별제(別提)ㆍ찰방(察訪) 등에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음.
1527~160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삼가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노희(盧禧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풍천(豊川). 조선 중종(中宗) 때의 학자 노우명(盧友明)의 아들.
1494~155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문사>유학
-
노희식(盧希軾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충좌위 중부장(忠佐衛中部將) 노관(盧綰)의 아들이며, 진사(進士) 노수함(盧守諴)의 아버지로, 동래 교수(東萊敎授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노힐부득(弩肹夫得)
통일신라 성덕왕(聖德王) 때의 승려. 월장(月藏)의 아들. 달달박박(怛怛朴朴)과 함께 백월산(白月山)에서 수도하다 미륵불(彌勒佛)이 되었다는 기록이 《삼국유사(三國遺事)》에 있음.
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창원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녹동서원(鹿洞書院)
조선 인조(仁祖) 때 전라도 영암(靈岩)에 건립한 서원. 1713년(숙종 39)에 사액되었으며, 최덕지(崔德之)ㆍ최충성(崔忠成)ㆍ김수항(金壽恒)ㆍ김창협(金昌協) 등을 배향함.
1630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영암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녹야원(鹿野苑)
고대 중인도(中印度)의 바라나국(波羅奈國)에 있었던 동산 이름. 불교의 사대성지(四大聖地) 중 하나로, 석가(釋迦)가 성도(成道)한 후 최초로 다섯 비구에게 설법하였던 장소.
기타지역 , 지명>기타지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