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밀산부원군(密山府院君) - 박중손(朴仲孫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계유정난(癸酉靖難) 때 수양대군(首陽大君)을 도와 김종서(金宗瑞) 등을 제거한 공으로 정난공신(靖難功臣)에 책록되고, 좌참찬(左參贊)을 역임함.
1412~146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밀산어수(密山漁叟) - 박휘겸(朴撝謙)
조선 세조(世祖) 때의 무신. 생원(生員)으로서 무과(武科)에 급제하여 낭장(郞將)을 지냈으며, 벼슬에서 물러난 후 천안(天安)의 구룡산(九龍山)에 거처함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천안 , 인명>관인>무신
-
밀성(密城) - 밀양(密陽)
경상남도 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. 부산과 대구의 중간에 위치한 교통의 요지.
경상도>밀양 , 지명>행정지명
-
밀성간본(密城刊本) - 격재집(格齋集)
조선 전기의 문신인 손조서(孫肇瑞)의 시문집(詩文集). 4권 1책. 목판본.
1479 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밀성군(密城君)@박광영 - 박광영(朴光榮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연산군의 생모인 폐비윤씨(廢妃尹氏)의 추숭(追崇)을 반대하다 목천(木川)으로 유배되었으나, 중종반정(中宗反正)으로 풀려나 복직됨.
1463~153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밀성군(密城君)@박천경 - 박천경(朴天卿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고려의 국운이 기울자 형인 송은(松隱) 박익(朴翊)과 함께 낙향함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밀성군(密城君)@박언부 - 박언부(朴彦孚)
고려 문종(文宗) 때의 문신. 최충(崔冲)과 함께 태사(太師)를 지낸 후 문하시중(門下侍中)ㆍ도평의사(都評議事)에 이르렀으며, 밀성부원군(密城府院君)에 봉해짐.
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밀성대군(密城大君) - 박언침(朴彦忱)
통일신라 제54대 경명왕(景明王)의 첫째 왕자. 밀양박씨(密陽朴氏)의 중조(中祖).
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밀양 , 인명>왕실>왕자
-
밀성박씨(密城朴氏) - 밀양박씨(密陽朴氏)
박혁거세(朴赫居世)를 시조왕(始祖王)으로 삼고, 경명왕(景明王)의 맏아들인 밀성대군(密城大君) 박언침(朴彦忱)을 중시조(中始祖)로 하는 성씨. 박씨의 종가(宗家).
한국>신라 , 경상도>밀양 , 인명>집단>성씨
-
밀성부원군(密城府院君) - 박언부(朴彦孚)
고려 문종(文宗) 때의 문신. 최충(崔冲)과 함께 태사(太師)를 지낸 후 문하시중(門下侍中)ㆍ도평의사(都評議事)에 이르렀으며, 밀성부원군(密城府院君)에 봉해짐.
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밀암(密庵) - 이재(李栽)
조선 효종(孝宗)~영조(英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재령(載寧). 주리론(主理論)으로 영남학파를 이끈 성리학의 대가로 많은 문인을 배출했으며, 저서로 《성유록(聖喩錄)》ㆍ《금수기문(錦水記聞)》ㆍ《주서강록간보(朱書講錄刊補)》 등이 있음.
1657~173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
-
밀양군(密陽君) - 박윤문(朴允文)
고려 충렬왕(忠烈王) 때의 문신. 참의정승(參議政丞)을 지낸 김태현(金台鉉)의 사위로, 보문각 대제학(寶文閣大提學)을 역임하였으며, 모친상 때 예를 다하여 칭송받음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밀양부원군(密陽府院君) - 박승종(朴承宗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으로, 선교랑(宣敎郞) 박안세(朴安世)의 아들. 윤인(尹訒)ㆍ이인경(李寅卿) 등이 인목대비(仁穆大妃)를 죽이려 할 때 인목대비를 보호하였고, 폐모론(廢母論)을 반대함.
1562~1623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밀원군(密原君)@박충원 - 박충원(朴忠元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성절사(聖節使)의 부사(副使)로 명(明) 나라에 다녀오고, 대제학(大提學)과 예조(禮曹)ㆍ병조(兵曹)의 판서를 지냄.
1507~1581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밀원군(密原君) - 박건(朴楗)
조선 단종(端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박중손(朴仲孫)의 아들로, 판중추부사(判中樞府事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중종반정(中宗反正)에 참여하여 정국공신(靖國功臣)에 책록됨.
1434~150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밀원박씨(密原朴氏) - 밀양박씨(密陽朴氏)
박혁거세(朴赫居世)를 시조왕(始祖王)으로 삼고, 경명왕(景明王)의 맏아들인 밀성대군(密城大君) 박언침(朴彦忱)을 중시조(中始祖)로 하는 성씨. 박씨의 종가(宗家).
한국>신라 , 경상도>밀양 , 인명>집단>성씨
-
밀원부원군(密原府院君) - 박건(朴楗)
조선 단종(端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박중손(朴仲孫)의 아들로, 판중추부사(判中樞府事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중종반정(中宗反正)에 참여하여 정국공신(靖國功臣)에 책록됨.
1434~150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밀읍지(密邑誌) - 밀양읍지(密陽邑誌)
조선 정조(正祖) 때 밀양부(密陽府)에서 편찬한 읍지(邑誌). 밀양의 연혁(沿革)ㆍ지리(地理)ㆍ풍속(風俗) 등을 기록함. 《밀양부읍지(密陽府邑誌)》의 후사본(後寫本)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밀양 , 문헌>서명
-
밀주(密州) - 밀양(密陽)
경상남도 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. 부산과 대구의 중간에 위치한 교통의 요지.
경상도>밀양 , 지명>행정지명
-
밀지(密誌) - 밀양읍지(密陽邑誌)
조선 정조(正祖) 때 밀양부(密陽府)에서 편찬한 읍지(邑誌). 밀양의 연혁(沿革)ㆍ지리(地理)ㆍ풍속(風俗) 등을 기록함. 《밀양부읍지(密陽府邑誌)》의 후사본(後寫本)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밀양 , 문헌>서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