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밀천군(密川君) - 박숭원(朴崇元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임진왜란 때 왕을 호종하여 선조로부터 보검(寶劍)을 하사받고 도승지를 거쳐 한성부 판윤(漢城府判尹)에 올랐음. 호성공신(扈聖功臣)에 책록됨.
1532~1593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바라문곡(婆羅門曲) - 예상우의곡(霓裳羽衣曲)
중국 당(唐) 나라 현종(玄宗) 때의 선악(仙樂) 이름. 현종이 꿈에 방사(方士)와 월궁(月宮)에서 놀다가 그 음악을 듣고 돌아와 지었다는 설과, 양경충(楊敬忠)이 지어 바쳤다는 설과, 양경술(楊敬述)이 지었다는 설 등이 있음.
중국>당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박(博) - 권박(權博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공조 참의(工曹參議)를 지낸 권령(權齡)의 아들로, 음보(蔭補)로 도화서 별제(圖畫署別提)ㆍ상주 목사(尙州牧使) 등을 지냄.
1475~154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박(博)@김박 - 김박(金博)
조선시대의 문신. 본관은 순천(順天).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킨 김윤명(金允明)ㆍ김윤안(金允安)의 아버지로, 현감(縣監)을 지냄.
한국>조선시대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박(博)@임박 - 임박(任博)
조선 전기의 유학. 윤덕(潤德) 임항(任恒)과 함께 무릉도인(武陵道人) 주세붕(周世鵬)과 시를 수창하며 교유한 내용이 《무릉잡고(武陵雜稿)》에 보임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박(博)@주박 - 주박(周博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주세붕(周世鵬)의 아들로, 이황(李滉)의 문인. 문장이 뛰어나 《명종실록(明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했으며, 칠원(漆原)의 덕연서원(德淵書院) 별사(別祠)에 제향됨.
1524~158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박(博)@황박 - 황박(黃博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장수(長水). 사헌부 장령(司憲府掌令)을 지낸 황윤준(黃允峻)의 아들로, 을사사화 때 권벌(權橃)ㆍ이언적(李彦迪)을 두둔하다 중도부처(中途付處)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박(樸)@신박 - 신박(申樸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유학. 본관은 고령(高靈)으로, 내자시 첨정(行內資寺僉正)을 지낸 신여량(申汝樑)의 아들. 1605년(선조 38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하였으며, 권필(權韠)과 교유함.
1555~?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박(樸) - 이박(李樸)
조선 전기의 종친. 본관은 전주(全州). 효령대군(孝寧大君)의 현손이자 돈녕부 주부(敦寧府主簿)를 지낸 이대(李薱)의 여섯째 아들이며, 이즙(李楫)ㆍ이백(李柏)ㆍ이건(李楗)ㆍ이역(李櫟)ㆍ이노(李櫓)의 아우이고, 이량(李樑)의 형. 돈녕부 주부(敦寧府主簿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박(璞) - 곽박(郭璞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시인ㆍ학자. 오행(五行)ㆍ천문(天文)ㆍ복서(卜筮)에 능하며, 주석서(註釋書)에는 《이아(爾雅)》ㆍ《산해경(山海經)》ㆍ《방언(方言)》ㆍ《초사(楚辭)》 등이 있음. 유곤(劉琨)ㆍ좌사(左思)와 함께 동진(東晉)의 3대 시걸(詩傑)로 꼽힘.
276~324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박(璞)@조박 - 조박(趙璞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전의시 영(典儀寺令)을 지낸 조사겸(趙思謙)의 아들. 태종과 동서 사이로 제1차 왕자의 난 때 정사공신(定社功臣)에 오르지만, 생전에 불교를 믿었다는 탄핵을 받아 공신녹권(功臣錄券)이 소각당함.
1356~1408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평안도>평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박(鑮) - 성박(成鑮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창녕(昌寧). 성여신(成汝信)의 첫째 아들로, 조임도(趙任道)ㆍ임진부(林眞怤) 등 남명학(南冥學) 계열의 학자들과 교류함. 진사(進士) 등을 지냄.
1571~?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문사>유학
-
박강(博江) - 박천강(博川江)
평안도 천마산(天馬山)에서 발원하여 청천강(淸川江)으로 흘러드는 강 이름. 청천강의 가장 큰 지류로, 사행로이자 유람지임.
평안도>태천ㅣ평안도>박천 , 지명>자연지명
-
박강수(朴江叟) - 박훈(朴薰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홍문관 교리(弘文館校理) 박증영(朴增榮)의 아들이며 참판(參判) 이언명(李彦明)의 장인으로, 승정원 동부승지(承政院同副承旨)에 올라 ‘국기(國器)’라는 명성을 들음. 기묘명현(己卯名賢)의 한 사람으로, 청주(淸州) 신항서원(莘巷書院)에 배향됨.
1484~1540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ㅣ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박경원(朴景瑗) - 박광옥(朴光玉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음성(陰城). 성리학(性理學)에 조예가 깊었고, 기대승(奇大升)ㆍ이이(李珥)ㆍ노사신(盧思愼) 등과 교유했으며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고경명(高敬命) 등과 함께 의병을 일으킴.
1526~1593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박경휘(朴景徽)@신덕왕 - 신덕왕(神德王)
신라 제53대 왕. 재위 912~917. 아달라이사금(阿達羅尼師今)의 후손으로, 대아찬(大阿飡) 예겸(乂兼)과 정화부인(貞和夫人)의 아들. 귀족들의 추대를 받아 즉위하였으나, 당시 경주 지역을 제외한 국토의 대부분을 궁예(弓裔)와 견훤(甄萱) 세력에게 상실함.
?~917 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국왕
-
박경휘(朴景暉) - 신덕왕(神德王)
신라 제53대 왕. 재위 912~917. 아달라이사금(阿達羅尼師今)의 후손으로, 대아찬(大阿飡) 예겸(乂兼)과 정화부인(貞和夫人)의 아들. 귀족들의 추대를 받아 즉위하였으나, 당시 경주 지역을 제외한 국토의 대부분을 궁예(弓裔)와 견훤(甄萱) 세력에게 상실함.
?~917 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국왕
-
박계양(朴啓陽) - 박돈지(朴惇之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일본(日本)에 사신으로 가서 연해(沿海)에 침입하는 왜구(倭寇)에 대한 일을 해결함.
1341~1422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관인>문신
-
박곤양(朴昆陽) - 박옹집(朴雍緝)
조선 전기의 유학. 하항(河沆)의 《각재집(覺齋集)》에 만시(挽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곤양 , 인명>문사>유학
-
박국이(朴國耳) - 박광우(朴光佑)@조선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상주(尙州). 박린(朴璘)의 아들로, 문장에 능하여 원접사(遠接使)를 수행하였고, 을사사화(乙巳士禍)에 연루되어 유배지인 동선역(洞仙驛)에서 죽음.
1495~154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