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박(璞) - 곽박(郭璞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시인ㆍ학자. 오행(五行)ㆍ천문(天文)ㆍ복서(卜筮)에 능하며, 주석서(註釋書)에는 《이아(爾雅)》ㆍ《산해경(山海經)》ㆍ《방언(方言)》ㆍ《초사(楚辭)》 등이 있음. 유곤(劉琨)ㆍ좌사(左思)와 함께 동진(東晉)의 3대 시걸(詩傑)로 꼽힘.
276~324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박(璞)@조박 - 조박(趙璞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전의시 영(典儀寺令)을 지낸 조사겸(趙思謙)의 아들. 태종과 동서 사이로 제1차 왕자의 난 때 정사공신(定社功臣)에 오르지만, 생전에 불교를 믿었다는 탄핵을 받아 공신녹권(功臣錄券)이 소각당함.
1356~1408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평안도>평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박(鑮) - 성박(成鑮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창녕(昌寧). 성여신(成汝信)의 첫째 아들로, 조임도(趙任道)ㆍ임진부(林眞怤) 등 남명학(南冥學) 계열의 학자들과 교류함. 진사(進士) 등을 지냄.
1571~?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문사>유학
-
박강(博江) - 박천강(博川江)
평안도 천마산(天馬山)에서 발원하여 청천강(淸川江)으로 흘러드는 강 이름. 청천강의 가장 큰 지류로, 사행로이자 유람지임.
평안도>태천ㅣ평안도>박천 , 지명>자연지명
-
박강수(朴江叟) - 박훈(朴薰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홍문관 교리(弘文館校理) 박증영(朴增榮)의 아들이며 참판(參判) 이언명(李彦明)의 장인으로, 승정원 동부승지(承政院同副承旨)에 올라 ‘국기(國器)’라는 명성을 들음. 기묘명현(己卯名賢)의 한 사람으로, 청주(淸州) 신항서원(莘巷書院)에 배향됨.
1484~1540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ㅣ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박경원(朴景瑗) - 박광옥(朴光玉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음성(陰城). 성리학(性理學)에 조예가 깊었고, 기대승(奇大升)ㆍ이이(李珥)ㆍ노사신(盧思愼) 등과 교유했으며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고경명(高敬命) 등과 함께 의병을 일으킴.
1526~1593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박경휘(朴景徽)@신덕왕 - 신덕왕(神德王)
신라 제53대 왕. 재위 912~917. 아달라이사금(阿達羅尼師今)의 후손으로, 대아찬(大阿飡) 예겸(乂兼)과 정화부인(貞和夫人)의 아들. 귀족들의 추대를 받아 즉위하였으나, 당시 경주 지역을 제외한 국토의 대부분을 궁예(弓裔)와 견훤(甄萱) 세력에게 상실함.
?~917 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국왕
-
박경휘(朴景暉) - 신덕왕(神德王)
신라 제53대 왕. 재위 912~917. 아달라이사금(阿達羅尼師今)의 후손으로, 대아찬(大阿飡) 예겸(乂兼)과 정화부인(貞和夫人)의 아들. 귀족들의 추대를 받아 즉위하였으나, 당시 경주 지역을 제외한 국토의 대부분을 궁예(弓裔)와 견훤(甄萱) 세력에게 상실함.
?~917 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국왕
-
박계양(朴啓陽) - 박돈지(朴惇之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일본(日本)에 사신으로 가서 연해(沿海)에 침입하는 왜구(倭寇)에 대한 일을 해결함.
1341~1422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관인>문신
-
박곤양(朴昆陽) - 박옹집(朴雍緝)
조선 전기의 유학. 하항(河沆)의 《각재집(覺齋集)》에 만시(挽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곤양 , 인명>문사>유학
-
박국이(朴國耳) - 박광우(朴光佑)@조선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상주(尙州). 박린(朴璘)의 아들로, 문장에 능하여 원접사(遠接使)를 수행하였고, 을사사화(乙巳士禍)에 연루되어 유배지인 동선역(洞仙驛)에서 죽음.
1495~154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박귀인(朴貴人) - 경빈박씨(敬嬪朴氏)
조선 제11대 중종(中宗)의 후궁. 연성위(延城尉) 김희(金禧)가 아버지 김안로(金安老)의 사주를 받아 왕세자를 저주하는 작서(灼鼠)의 변(變)을 일으키자, 이에 연루되어 아들인 복성군(福城君)과 함께 폐출된 후 사사됨.
?~1533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후궁
-
박규(朴圭) - 박준(朴峻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의흥(義興). 승문원 판교(承文院判校)를 지낸 박한(朴翰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흥 , 인명>문사>유학
-
박남계(朴南溪) - 박세채(朴世采)
조선 효종(孝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ㆍ성리학자. 김상헌(金尙憲)ㆍ김집(金集)에게 수학하고, 이이(李珥)ㆍ성혼(成渾)의 문묘배향을 주장함. 예송논쟁(禮訟論爭) 때 기년설(朞年說)을 지지하고 많은 저서를 남김.
1631~1695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박남곽(朴南郭) - 박동열(朴東說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반남(潘南). 이항복(李恒福)과 교유했고, 폐모론(廢母論)이 일어나자 이를 적극 반대했음. 시문(詩文)에 능하였고 경사(經史)와 백가(百家) 및 국조의 고사에 두루 통하였음.
1564~1622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박대수(朴大受) - 박수(朴受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휴암(休菴) 백인걸(白仁傑)의 문인이며, 우계(牛溪) 성혼(成渾)과 교유하였음. 역학(易學)에 정통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학자
-
박대제(朴大濟) - 박제(朴濟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1583년(선조 16)에 상소를 올려 동인(東人) 김효원(金孝元)ㆍ김응남(金應南) 등을 탄핵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박덕응(朴德凝) - 박성(朴惺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ㆍ의사(義士). 본관은 밀양(密陽). 박사눌(朴思訥)의 아들이고 정구(鄭逑)의 문인. 임진왜란 때는 김성일(金誠一)의 참모로, 정유재란 때는 이원익(李元翼)의 참모로 크게 활약함.
1549~160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청송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박돈지(朴敦之) - 박돈지(朴惇之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일본(日本)에 사신으로 가서 연해(沿海)에 침입하는 왜구(倭寇)에 대한 일을 해결함.
1341~1422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관인>문신
-
박동보(朴東甫) - 박항(朴恒)
고려 고종(高宗)~충렬왕(忠烈王) 때의 문신. 춘천박씨(春川朴氏)의 시조로, 박광정(朴光挺)의 아버지. 고종 때 과거에 급제하여 동지밀직사사(同知密直司事)ㆍ찬성사(贊成事) 등을 지냄.
1227~1281 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춘천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