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박량(朴樑) - 박려(朴欐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령(高靈).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이자 손서(孫壻). 초명은 박량(朴樑)이었으나 이황이 고쳐 주었으며, 경기좌도 수운판관(京畿左道水運判官)을 지냈음.
1551~159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박륙(博陸) - 곽광(霍光)
중국 전한(前漢) 무제(武帝)~선제(宣帝) 때의 장군. 표기장군(驃騎將軍) 곽거병(霍去病)의 이복 동생으로, 무제ㆍ소제(昭帝)ㆍ선제를 섬기며 대장군(大將軍) 등을 지냄. 특히 소제가 어려서 즉위하자 잘 보좌하여 나라를 안정시킴.
?~B.C.68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박륙후(博陸侯) - 곽광(霍光)
중국 전한(前漢) 무제(武帝)~선제(宣帝) 때의 장군. 표기장군(驃騎將軍) 곽거병(霍去病)의 이복 동생으로, 무제ㆍ소제(昭帝)ㆍ선제를 섬기며 대장군(大將軍) 등을 지냄. 특히 소제가 어려서 즉위하자 잘 보좌하여 나라를 안정시킴.
?~B.C.68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박릉(博陵) - 박천(博川)
평안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. 조선 태종(太宗) 때 이름을 박천(博川)으로 고치고, 세조(世祖) 때 일시 폐하였다가 복구함.
평안도>박천 , 지명>행정지명
-
박망(博望) - 장건(張騫)
중국 한(漢) 나라 무제(武帝) 때의 문신. 벼슬은 중랑장(中郞將)에 오르고 박망후(博望侯)에 봉해짐. 남방 월지국(月氏國)에 사신으로 가서 넓힌 견문은 무제(武帝)의 서역(西域) 경영에 많은 도움을 줌.
?~B.C.114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박망후(博望侯) - 장건(張騫)
중국 한(漢) 나라 무제(武帝) 때의 문신. 벼슬은 중랑장(中郞將)에 오르고 박망후(博望侯)에 봉해짐. 남방 월지국(月氏國)에 사신으로 가서 넓힌 견문은 무제(武帝)의 서역(西域) 경영에 많은 도움을 줌.
?~B.C.114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박목(搏木) - 부상(扶桑)
중국의 전설에 나오는 나무 또는 지명. 동쪽 바다 속 해가 뜨는 곳에 있는 신목(神木)으로, 전(轉)하여 해가 뜨는 곳을 지칭함. 일본(日本)을 가리키기도 함.
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박문강(朴文康) - 박광전(朴光前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의병장. 본관은 진원(珍原).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회덕 현감(懷德縣監) 등을 지내고, 임진왜란(壬辰倭亂)과 정유재란(丁酉再亂) 때 의병을 일으켜 활약함.
1526~1597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보성 , 인명>관인>문신
-
박문순(朴文純) - 박세채(朴世采)
조선 효종(孝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ㆍ성리학자. 김상헌(金尙憲)ㆍ김집(金集)에게 수학하고, 이이(李珥)ㆍ성혼(成渾)의 문묘배향을 주장함. 예송논쟁(禮訟論爭) 때 기년설(朞年說)을 지지하고 많은 저서를 남김.
1631~1695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박박(朴朴) - 달달박박(怛怛朴朴)
통일신라 성덕왕(聖德王) 때의 승려. 노힐부득(弩肹夫得)과 함께 백월산(白月山)에서 수도하다 아미타불(阿彌陀佛)이 되었다는 기록이 《삼국유사(三國遺事)》에 있음.
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창원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박백윤(朴伯胤) - 박승원(朴承元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충무위 부사직(忠武衛副司直) 박건(朴乾)의 아들이며 박하담(朴河淡)ㆍ박하청(朴河淸)ㆍ박하징(朴河澄)의 아버지로, 충순위 부사직(忠順衛副司直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무신
-
박봉산(朴鳳山) - 박동언(朴東彦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반남(潘南). 반성부원군(潘城府院君) 박응순(朴應順)의 아들이고, 선조의 비(妃)인 의인왕후(懿仁王后)의 동생. 임진왜란(壬辰倭亂)이 일어나자 강원도 소모사(江原道召募使)로 활약하였고, 봉산 군수(鳳山郡守) 등을 지냄.
1553~1605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박빈(朴嬪) - 경빈박씨(敬嬪朴氏)
조선 제11대 중종(中宗)의 후궁. 연성위(延城尉) 김희(金禧)가 아버지 김안로(金安老)의 사주를 받아 왕세자를 저주하는 작서(灼鼠)의 변(變)을 일으키자, 이에 연루되어 아들인 복성군(福城君)과 함께 폐출된 후 사사됨.
?~1533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후궁
-
박사상(朴使相) - 박점(朴漸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령(高靈). 박세정(朴世貞)의 아들로, 이조 참의(吏曹參議) 등을 역임하였으나 당쟁(黨爭)에 휘말려 삭탈관직 된 후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음.
1532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사수(朴士秀) - 박운(朴蕓)
조선 인종(仁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양(咸陽). 퇴계(退溪) 이황(李滉)의 제자로, 사마시(司馬試)에 입격하였으며, 여러 차례 벼슬에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음.
1535~160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예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상(搏桑) - 일본(日本)
아시아 대륙의 가장 동쪽에 위치하며, 열도(列島)로 이루어진 섬나라.
일본 , 시간>국명
-
박상(搏桑)@부상 - 부상(扶桑)
중국의 전설에 나오는 나무 또는 지명. 동쪽 바다 속 해가 뜨는 곳에 있는 신목(神木)으로, 전(轉)하여 해가 뜨는 곳을 지칭함. 일본(日本)을 가리키기도 함.
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박상초(朴尙初) - 박숭원(朴崇元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임진왜란 때 왕을 호종하여 선조로부터 보검(寶劍)을 하사받고 도승지를 거쳐 한성부 판윤(漢城府判尹)에 올랐음. 호성공신(扈聖功臣)에 책록됨.
1532~1593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박수종(朴秀宗) - 신덕왕(神德王)
신라 제53대 왕. 재위 912~917. 아달라이사금(阿達羅尼師今)의 후손으로, 대아찬(大阿飡) 예겸(乂兼)과 정화부인(貞和夫人)의 아들. 귀족들의 추대를 받아 즉위하였으나, 당시 경주 지역을 제외한 국토의 대부분을 궁예(弓裔)와 견훤(甄萱) 세력에게 상실함.
?~917 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국왕
-
박승영(朴昇英) - 경명왕(景明王)
신라 제54대 왕. 재위 917~924. 신덕왕(神德王)의 아들로, 후삼국(後三國)이 정립(鼎立)하여 패권을 다투던 때에 즉위해 기울어져 가는 국운을 회복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실패함.
?~924 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국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