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박봉산(朴鳳山) - 박동언(朴東彦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반남(潘南). 반성부원군(潘城府院君) 박응순(朴應順)의 아들이고, 선조의 비(妃)인 의인왕후(懿仁王后)의 동생. 임진왜란(壬辰倭亂)이 일어나자 강원도 소모사(江原道召募使)로 활약하였고, 봉산 군수(鳳山郡守) 등을 지냄.
1553~1605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박빈(朴嬪) - 경빈박씨(敬嬪朴氏)
조선 제11대 중종(中宗)의 후궁. 연성위(延城尉) 김희(金禧)가 아버지 김안로(金安老)의 사주를 받아 왕세자를 저주하는 작서(灼鼠)의 변(變)을 일으키자, 이에 연루되어 아들인 복성군(福城君)과 함께 폐출된 후 사사됨.
?~1533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후궁
-
박사상(朴使相) - 박점(朴漸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령(高靈). 박세정(朴世貞)의 아들로, 이조 참의(吏曹參議) 등을 역임하였으나 당쟁(黨爭)에 휘말려 삭탈관직 된 후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음.
1532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사수(朴士秀) - 박운(朴蕓)
조선 인종(仁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양(咸陽). 퇴계(退溪) 이황(李滉)의 제자로, 사마시(司馬試)에 입격하였으며, 여러 차례 벼슬에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음.
1535~160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예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상(搏桑) - 일본(日本)
아시아 대륙의 가장 동쪽에 위치하며, 열도(列島)로 이루어진 섬나라.
일본 , 시간>국명
-
박상(搏桑)@부상 - 부상(扶桑)
중국의 전설에 나오는 나무 또는 지명. 동쪽 바다 속 해가 뜨는 곳에 있는 신목(神木)으로, 전(轉)하여 해가 뜨는 곳을 지칭함. 일본(日本)을 가리키기도 함.
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박상초(朴尙初) - 박숭원(朴崇元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임진왜란 때 왕을 호종하여 선조로부터 보검(寶劍)을 하사받고 도승지를 거쳐 한성부 판윤(漢城府判尹)에 올랐음. 호성공신(扈聖功臣)에 책록됨.
1532~1593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박수종(朴秀宗) - 신덕왕(神德王)
신라 제53대 왕. 재위 912~917. 아달라이사금(阿達羅尼師今)의 후손으로, 대아찬(大阿飡) 예겸(乂兼)과 정화부인(貞和夫人)의 아들. 귀족들의 추대를 받아 즉위하였으나, 당시 경주 지역을 제외한 국토의 대부분을 궁예(弓裔)와 견훤(甄萱) 세력에게 상실함.
?~917 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국왕
-
박승영(朴昇英) - 경명왕(景明王)
신라 제54대 왕. 재위 917~924. 신덕왕(神德王)의 아들로, 후삼국(後三國)이 정립(鼎立)하여 패권을 다투던 때에 즉위해 기울어져 가는 국운을 회복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실패함.
?~924 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국왕
-
박시무(朴時茂) - 박시용(朴時庸)
고려 말~조선 초의 문신. 박흥생(朴興生)의 조부(祖父)로, 감찰규정(監察糾正)을 지냈으며, 운문관 대제학(右文館大提學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실(朴實) - 박의중(朴宜中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밀양(密陽). 이색(李穡)의 문인으로 성리학에 밝음. 철령위(鐵嶺衛) 철폐를 이룩하고 추성보조공신(推誠補祚功臣)에 책록됨.
1337~1403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문의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박씨(薄氏) - 박태후(薄太后)
중국 전한(前漢) 때 고조(高祖)의 계비(繼妃). 문제(文帝)의 어머니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왕비
-
박양백(朴養伯) - 박수검(朴守儉)
조선 현종(顯宗)~숙종(肅宗) 때의 학자ㆍ문신. 본관은 의흥(義興). 박경심(朴景諶)의 아들이고, 조석윤(趙錫胤)ㆍ송시열(宋時烈)의 문인으로, 통례원 좌통례(通禮院左通禮)를 지냄.
1629~1698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제천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박양숙(朴養叔) - 박난(朴蘭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박원량(朴元亮)의 아들이고 김안국(金安國)의 문인으로, 1543년(중종 38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첨정(僉正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양후(博陽侯) - 병길(丙吉)
중국 전한(前漢) 소제(昭帝)~선제(宣帝) 때의 문신. 위태자(衛太子) 사건으로 투옥당한 선제를 구출한 뒤 황제로 세움. 승상(丞相)으로서 위상(魏相)과 함께 국정을 보좌한 공으로, 기린각(麒麟閣)에 초상이 모셔짐.
?~B.C.55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박언이(朴彦而) - 박영준(朴永俊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령(高靈)으로, 진위 현령(振威縣令)을 지낸 무숙(茂叔) 박조(朴稠)의 아들. 육조(六曹)의 판서(判書)를 번갈아 지냈으며, 좌찬성(左贊成)에 오름.
1510~1576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여경(朴汝敬) - 박문효(朴文孝)
조선 전기의 유학. 임운(林芸)이 지은 시가 《첨모당집(瞻慕堂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박연(朴然) - 박연(朴堧)
조선 태종(太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ㆍ음률가(音律家). 세종 때 율관(律管)을 만들어 편경(編磬)을 제작하는 등 조선 초기 음악 정비에 많은 공헌을 함. 왕산악(王山岳)ㆍ우륵(于勒)과 함께 우리나라 3대 악성(樂聖)으로 일컬어짐.
1378~1458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영동 , 인명>예술인>음악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박영준(朴英俊) - 박영준(朴永俊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령(高靈)으로, 진위 현령(振威縣令)을 지낸 무숙(茂叔) 박조(朴稠)의 아들. 육조(六曹)의 판서(判書)를 번갈아 지냈으며, 좌찬성(左贊成)에 오름.
1510~1576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예숙(朴豫叔) - 박소립(朴素立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양(咸陽). 1563년(명종 18) 이조 좌랑(吏曹佐郞)으로 있을 때 척신 이량(李樑)과 사이가 나빠 대사헌 이감(李戡)의 탄핵을 받고 파직되었으나 심의겸(沈義謙)의 도움으로 복직됨. 선조 즉위에 공을 세워 대사성(大司成)ㆍ대사헌(大司憲)ㆍ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를 지냄.
1514~158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