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박우졸(朴迂拙) - 박한주(朴漢柱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(門人)으로, 무오사화(戊午士禍) 때 유배되고 갑자사화(甲子士禍) 때 처형당함. 정여창(鄭汝昌)ㆍ김굉필(金宏弼)과 함께 필문삼현(畢門三賢)으로 불림.
1459~1504 한국>조선전기 , 평안도>벽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우졸자(朴迂拙子) - 박한주(朴漢柱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(門人)으로, 무오사화(戊午士禍) 때 유배되고 갑자사화(甲子士禍) 때 처형당함. 정여창(鄭汝昌)ㆍ김굉필(金宏弼)과 함께 필문삼현(畢門三賢)으로 불림.
1459~1504 한국>조선전기 , 평안도>벽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원굉(朴元宏) - 박광정(朴光挺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춘천(春川)으로, 찬성사(贊成事) 박항(朴恒)의 아들. 중국 원(元) 나라 황실에서 숙위(宿衛)하여 소신교위(昭信校尉)ㆍ부만호(副萬戶) 등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춘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원생(朴元生) - 박언침(朴彦忱)
통일신라 제54대 경명왕(景明王)의 첫째 왕자. 밀양박씨(密陽朴氏)의 중조(中祖).
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밀양 , 인명>왕실>왕자
-
박위응(朴魏膺) - 경애왕(敬哀王)
신라 제55대 왕. 재위 924~927. 포석정(鮑石亭)에서 견훤(甄萱)의 공격을 받아 견훤의 강요에 의해 자살함.
?~927 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국왕
-
박유동(朴惟東) - 박유동(朴惟棟)
조선 효종(孝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충주(忠州). 박사삼(朴事三)의 아들. 김장생(金長生)의 문인으로, 송시열(宋時烈)ㆍ송준길(宋浚吉) 등과 친교(親交)가 있었으며, 학행(學行)으로 천거되어 참봉(參奉)을 지냄.
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충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윤신(朴允愼) - 박윤신(朴允新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무장(茂長). 용양위 부호군(龍驤衛副護軍)을 지낸 박성번(朴成蕃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당진 , 인명>문사>유학
-
박인지(朴麟趾) - 박인적(朴麟跡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성혼(成渾)ㆍ이해수(李海壽)ㆍ이제신(李濟臣)과 교유했으며, 둔전 판관(屯田判官) 등을 지냈음. 《우계집(牛溪集)》과 《약포유고(藥圃遺稿)》에 성혼ㆍ이해수의 편지와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재(璞齋) - 김뉴(金紐)@1527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선산(善山)으로, 점필재(佔畢齋) 김종직(金宗直)의 손자. 민구령(閔九齡)의 문인(門人)으로 별제(別提)를 지냈으며, 합천(陜川)의 신천서원(新川書院)에 배향됨.
1527~158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박전(薄田) - 안계송(安繼宋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순흥(順興). 음직(蔭職)으로 돈녕부 직장(敦寧府直長)을 지냄. 남효온(南孝溫)의 〈사우명행록(師友名行錄)〉에 행적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정(朴旌) - 박수림(朴秀林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령(高靈). 읍취헌(挹翠軒) 박은(朴誾)의 조부(祖父)로, 교하 현감(交河縣監) 등을 역임함.
1419~147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정(朴正) - 박공량(朴公亮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ㆍ서예가. 본관은 고령(高靈). 갑자사화 때 사형된 홍문관 수찬(弘文館修撰) 박은(朴誾)의 아들. 글씨에 능하여 많은 금석문(金石文)을 남겼고, 《중종실록(中宗實錄)》과 《인종실록(仁宗實錄)》편찬에도 참여함.
1494~1556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
-
박조(朴祖) - 혁거세거서간(赫居世居西干)
신라의 시조. 재위 B.C.57~A.D.4. 양산(楊山) 아래 나정(蘿井)에서 난생(卵生)하여 촌장들의 추대를 받아 거서간(居西干)에 올랐으며, 재위 중 전국을 순행하며 농사와 양잠을 장려하고, 수도를 금성(金城)이라 하고 성을 쌓아 나라의 기틀을 마련함.
B.C.69~A.D.4 한국>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국왕
-
박좌수(朴座首) - 박덕옹(朴德翁)
조선 전기의 유학. 문장공(文莊公) 신응시(辛應時)와 교유했는데, 괴산(槐山)에서 만나 주고받은 시가 《백록유고(白麓遺稿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박주(博州) - 박천(博川)
평안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. 조선 태종(太宗) 때 이름을 박천(博川)으로 고치고, 세조(世祖) 때 일시 폐하였다가 복구함.
평안도>박천 , 지명>행정지명
-
박주(朴洲) - 박형(朴泂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반남(潘南). 이중호(李仲虎)의 문인. 노수신(盧守愼)ㆍ허엽(許葉) 등과 교유함. 천거로 동몽 교관(童蒙敎官)이 되었고, 군직에 올라 종신록(終身祿)을 받음.
?~1604 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원주 , 인명>문사>학자
-
박죽천(朴竹川) - 박광전(朴光前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의병장. 본관은 진원(珍原).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회덕 현감(懷德縣監) 등을 지내고, 임진왜란(壬辰倭亂)과 정유재란(丁酉再亂) 때 의병을 일으켜 활약함.
1526~1597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보성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지소(朴之沼) - 박이온(朴而溫)@고려
고려시대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전중내급사(殿中內給事)를 역임하였음.
한국>고려시대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천서(朴天瑞) - 박인적(朴麟跡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성혼(成渾)ㆍ이해수(李海壽)ㆍ이제신(李濟臣)과 교유했으며, 둔전 판관(屯田判官) 등을 지냈음. 《우계집(牛溪集)》과 《약포유고(藥圃遺稿)》에 성혼ㆍ이해수의 편지와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박천익(朴天翊) - 박익(朴翊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조(太祖) 때의 문신ㆍ학자. 고려 때 예부 시랑(禮部侍郞) 등을 지내고 왜구(倭寇)와 여진(女眞) 토벌에 전공을 세웠으나, 조선 개국 후 두문동(杜門洞)에 들어갔다가 밀양(密陽)의 송계(松溪)에 은거하여 저술에 전념함.
1332~1398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