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반(泮)@민반 - 민반(閔泮)
조선 세조(世祖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성주 목사(星州牧使)ㆍ동지중추부사(同知中樞府使) 등을 지냄. 《희락당고(希樂堂稿)》에 김안로(金安老)가 쓴 묘지명(墓誌銘)이 실려 있음.
1439~1520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반(泮) - 김반(金泮)
조선 태종(太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강서(江西). 권근(權近)의 문인으로 경서에 정통하여 김구(金鉤)ㆍ김말(金末)과 함께 경학삼김(經學三金)으로 불림.
한국>조선전기 , 평안도>강서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반(潘) - 오반(吳潘)
고려 전기의 문신. 본관은 해주(海州). 평장사(平章事) 오연총(吳延寵)의 아들로, 문하좌찬성사(門下左贊成事)를 지냄.
한국>고려전기 , 황해도>해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반(盤) - 감반(甘盤)
중국 은(殷) 나라 고종(高宗) 때의 문신. 고종이 즉위하기 전 글을 가르친 인연으로, 부열(傅說)과 함께 고종의 치세(治世)를 도움.
중국>은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반(盼) - 권반(權盼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윤국형(尹國馨)의 문인(門人). 경상도 관찰사(慶尙道觀察使)가 되어 지방행정을 잘 다스려 길천군(吉川君)에 봉해졌으며, 형조 판서(刑曹判書) 등을 역임함.
1564~1631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반(磐) - 허반(許磐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양천(陽川). 문신 강형(姜詗)의 사위로, 참봉(參奉)을 지냈으나 무오사화(戊午士禍)로 인해 참형됨.
?~1498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반(磐)@남반 - 남반(南磐)
조선 후기의 유학. 남재(南在)의 사손(祀孫)으로 남재(南在)의 시(詩) 등 삼대(三代)의 기문(記聞)을 수집하여 “취미(翠微)”라 이름하여 1권을 만들었으나 간행되지 못하고 산일됨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문사>유학
-
반(磻) - 윤반(尹磻)
조선 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영천부원군(鈴川府院君) 윤사로(尹師路)의 아들이며, 한명회(韓明澮)의 사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반(胖) - 조반(趙胖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호군(護軍) 조세경(趙世卿)의 아들. 조선 태조(太祖)를 추대하여 개국공신(開國功臣)이 되고 복흥군(復興君)에 봉해졌으며, 참찬문하부사(參贊門下府事)를 지냄.
1341~1401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배천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반간(盤澗) - 동수(董銖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주희(朱熹)의 제자로, 《주자어류(朱子語類)》에 그와 주고받은 문답이 실려 있음.
1152~1214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반강(潘江) - 반악(潘岳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문신ㆍ문인. 급사황문시랑(給事黃門侍郞) 등을 지내고, 문재(文才)가 뛰어나 당시 권세가인 가밀(賈謐)의 문객 이십사우(二十四友) 중에 최고가 됨. 육기(陸機)와 함께 서진(西晉) 문학을 대표함.
247~300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반경(般庚) - 반경(盤庚)@인명
중국 은(殷) 나라 제17대 왕. 탕(湯) 임금의 9대손이며, 조정(祖丁)의 아들로, 천재(天災)와 인화(人禍)를 피하고자 은(殷)으로 천도하고 국호를 은(殷)으로 고쳤으며, 재위 28년 동안 은 왕조를 부흥시킴. 제19대 왕이라는 설도 있음.
중국>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반계(磻溪)@유형원 - 유형원(柳馨遠)
조선 효종(孝宗)~현종(顯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문화(文化). 이원진(李元鎭)과 김세렴(金世濂)에게 수학함. 실학(實學)을 학문으로 정립하고, 중농사상(重農思想)에 기반을 둔 《반계수록(磻溪隨錄)》을 저술함.
1622~1673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부안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
-
반계(磻溪)@여상 - 여상(呂尙)
중국 은(殷) 말~주(周) 초의 무신ㆍ제후. 영락(零落)하여 위수(渭水) 근처에서 낚시로 세월을 보내던 중 주(周) 문왕(文王)을 만나 주 나라 건국의 기반을 다지고 제후(齊侯)에 봉해짐.
중국>주ㅣ중국>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왕실>제후
-
반계(蟠溪) - 양산숙(梁山璹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의병장. 본관은 제주(濟州). 성혼(成渾)의 문인으로 경전공부에 전심하여 천문(天文)ㆍ지리(地理)ㆍ병학(兵學)에 통달함. 임진왜란 때 김천일(金千鎰)과 함께 의병 활동을 하다가 진주성(晉州城)에서 순절함.
1561~1593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능성 , 인명>관인>문신
-
반계거사(磻溪居士) - 김일손(金馹孫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학자ㆍ문신. 본관은 김해(金海). 스승인 김종직(金宗直)이 쓴 조의제문(弔義帝文)을 실록(實錄)에 기재한 일로 인해 훈구파(勳舊派)의 미움을 사 무오사화(戊午士禍) 때 사형당함.
1464~149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청도ㅣ경상도>밀양ㅣ경기도>용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반계병동(潘溪病侗) - 박승임(朴承任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반남(潘南).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으로, 심학(心學)과 성리학(性理學)을 깊이 연구하였으며, 영주(榮州)의 구산정사(龜山精舍)에 제향됨.
1517~158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반계수(磻溪叟) - 여상(呂尙)
중국 은(殷) 말~주(周) 초의 무신ㆍ제후. 영락(零落)하여 위수(渭水) 근처에서 낚시로 세월을 보내던 중 주(周) 문왕(文王)을 만나 주 나라 건국의 기반을 다지고 제후(齊侯)에 봉해짐.
중국>주ㅣ중국>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왕실>제후
-
반계조수(磻溪釣叟) - 여상(呂尙)
중국 은(殷) 말~주(周) 초의 무신ㆍ제후. 영락(零落)하여 위수(渭水) 근처에서 낚시로 세월을 보내던 중 주(周) 문왕(文王)을 만나 주 나라 건국의 기반을 다지고 제후(齊侯)에 봉해짐.
중국>주ㅣ중국>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왕실>제후
-
반곡(盤谷) - 송세형(宋世珩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산(礪山). 문장에 능하고 행정능력이 뛰어났으며, 특히 재정(財政)에 밝아 시폐(時弊) 개혁에 힘씀.
?~1553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태인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