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박현석(朴玄石) - 박세채(朴世采)
조선 효종(孝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ㆍ성리학자. 김상헌(金尙憲)ㆍ김집(金集)에게 수학하고, 이이(李珥)ㆍ성혼(成渾)의 문묘배향을 주장함. 예송논쟁(禮訟論爭) 때 기년설(朞年說)을 지지하고 많은 저서를 남김.
1631~1695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박호(朴壕) - 박용(朴墉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인종(仁宗)의 장인. 딸이 세자빈(世子嬪)에 책봉되자 종친부 전첨(宗親府典籤)이 되었고, 후에 금성부원군(錦城府院君)에 추봉됨.
1468~1524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박화숙(朴和叔) - 박세채(朴世采)
조선 효종(孝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ㆍ성리학자. 김상헌(金尙憲)ㆍ김집(金集)에게 수학하고, 이이(李珥)ㆍ성혼(成渾)의 문묘배향을 주장함. 예송논쟁(禮訟論爭) 때 기년설(朞年說)을 지지하고 많은 저서를 남김.
1631~1695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박황암(朴篁巖) - 박제인(朴齊仁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조식(曺植)의 문하에서 최영경(崔永慶)ㆍ하항(河沆)ㆍ김면(金沔) 등과 함께 수학함. 군위 현감(軍威縣監)ㆍ제용감 판관(濟用監判官)을 지냄.
1536~1618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함안 , 인명>관인>문신
-
박효백(朴孝伯) - 박승종(朴承宗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으로, 선교랑(宣敎郞) 박안세(朴安世)의 아들. 윤인(尹訒)ㆍ이인경(李寅卿) 등이 인목대비(仁穆大妃)를 죽이려 할 때 인목대비를 보호하였고, 폐모론(廢母論)을 반대함.
1562~1623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박휴(博休) - 부융(苻融)
중국 남북조시대 전진(前秦)의 대신. 부견(苻堅)의 막내아우로, 비수(淝水)에서 진(晉) 나라 군사와 싸우다가 죽음.
?~383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종친
-
박희종(朴熙宗) - 박희중(朴熙中)
조선 태종(太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원(珍原). 구례 감무(求禮監務)를 지낸 박온(朴溫)의 아들로, 영암 군수(靈巖郡守)ㆍ예문관 직제학(藝文館直提學) 등을 지냄. 문장과 서도에 탁월하여 《해동필원(海東筆苑)》에 이름이 오름.
1364~1446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진원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
-
반(攀)@심반 - 심반(沈攀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삼척(三陟). 중종(中宗) 때 우참찬을 지낸 심언광(沈彦光)의 7대손.
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삼척 , 인명>문사>유학
-
반(攀) - 이반(李攀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이극견(李克堅)의 아들로, 장단 부사(長湍府使) 등을 지냄. 정사룡(鄭士龍)의 《호음잡고(湖陰雜稿)》에 그의 묘지명(墓誌銘)이 실려 있음.
1460~1534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반(昐) - 권반(權盼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윤국형(尹國馨)의 문인(門人). 경상도 관찰사(慶尙道觀察使)가 되어 지방행정을 잘 다스려 길천군(吉川君)에 봉해졌으며, 형조 판서(刑曹判書) 등을 역임함.
1564~1631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반(槃) - 김반(金槃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익산 군수(益山郡守) 김장생(金長生)의 아들이고, 김익훈(金益勳)의 아버지. 송익필(宋翼弼)의 문인(門人)으로 이괄(李适)의 난과 병자호란(丙子胡亂) 때 인조를 호종한 공이 있음. 대사간(大司諫)ㆍ이조 참판(吏曹參判) 등을 지내고, 영의정에 추증됨.
1580~1640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연산ㅣ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반(泮)@민반 - 민반(閔泮)
조선 세조(世祖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성주 목사(星州牧使)ㆍ동지중추부사(同知中樞府使) 등을 지냄. 《희락당고(希樂堂稿)》에 김안로(金安老)가 쓴 묘지명(墓誌銘)이 실려 있음.
1439~1520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반(泮) - 김반(金泮)
조선 태종(太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강서(江西). 권근(權近)의 문인으로 경서에 정통하여 김구(金鉤)ㆍ김말(金末)과 함께 경학삼김(經學三金)으로 불림.
한국>조선전기 , 평안도>강서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반(潘) - 오반(吳潘)
고려 전기의 문신. 본관은 해주(海州). 평장사(平章事) 오연총(吳延寵)의 아들로, 문하좌찬성사(門下左贊成事)를 지냄.
한국>고려전기 , 황해도>해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반(盤) - 감반(甘盤)
중국 은(殷) 나라 고종(高宗) 때의 문신. 고종이 즉위하기 전 글을 가르친 인연으로, 부열(傅說)과 함께 고종의 치세(治世)를 도움.
중국>은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반(盼) - 권반(權盼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윤국형(尹國馨)의 문인(門人). 경상도 관찰사(慶尙道觀察使)가 되어 지방행정을 잘 다스려 길천군(吉川君)에 봉해졌으며, 형조 판서(刑曹判書) 등을 역임함.
1564~1631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반(磐) - 허반(許磐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양천(陽川). 문신 강형(姜詗)의 사위로, 참봉(參奉)을 지냈으나 무오사화(戊午士禍)로 인해 참형됨.
?~1498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반(磐)@남반 - 남반(南磐)
조선 후기의 유학. 남재(南在)의 사손(祀孫)으로 남재(南在)의 시(詩) 등 삼대(三代)의 기문(記聞)을 수집하여 “취미(翠微)”라 이름하여 1권을 만들었으나 간행되지 못하고 산일됨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문사>유학
-
반(磻) - 윤반(尹磻)
조선 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영천부원군(鈴川府院君) 윤사로(尹師路)의 아들이며, 한명회(韓明澮)의 사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반(胖) - 조반(趙胖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호군(護軍) 조세경(趙世卿)의 아들. 조선 태조(太祖)를 추대하여 개국공신(開國功臣)이 되고 복흥군(復興君)에 봉해졌으며, 참찬문하부사(參贊門下府事)를 지냄.
1341~1401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배천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