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반곡(盤谷)@이원 - 이원(李愿)
중국 당(唐) 나라의 문신. 사도(司徒)를 지냈으나 관직을 그만두고 한가하게 살며 음악과 기생으로 호사함. 벼슬을 그만두고 반곡(盤谷)으로 돌아갈 때 한유(韓愈)가 지어 준 〈송이원귀반곡서(送李愿歸盤谷序)〉로 유명함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반공숙(潘恭叔) - 반우공(潘友恭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. 반우단(潘友端)의 아우이며, 주희(朱熹)의 문인으로, 강회선무사사간관(江淮宣撫使司干官)을 지냄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반관(泮館) - 성균관(成均館)
조선 태조(太祖) 7년에 인재양성을 위하여 서울 숭교방(崇敎坊)에 설치한 최고 교육기관. 문과(文科) 준비를 위한 유학 교육 전문기관으로, 공자(孔子)를 비롯하여 중국 및 우리나라 역대 성현들의 위패를 모셔놓은 문묘(文廟)와 유학(儒學)을 강론하는 명륜당(明倫堂), 동서재(東西齋) 등으로 이루어짐.
1398 한국>조선시대 , 서울 , 법제>관청
-
반구당(伴鷗堂) - 홍경소(洪敬紹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, 본관은 남양(南陽). 철원 도호부사(鐵原都護府使) 홍기영(洪耆英)의 아들이며 손우재(遜愚齋) 홍석(洪錫)의 아버지로, 익산 군수(益山郡守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운산인(白雲山人) - 이규보(李奎報)
고려 명종(明宗)~고종(高宗) 때의 문신ㆍ문인. 본관은 여주(驪州). 최씨무인정권(崔氏武人政權)의 대표적 문인으로, 《백운소설(白雲小說)》ㆍ《동국이상국집(東國李相國集)》ㆍ〈동명왕편(東明王篇)〉 등 많은 작품과 저서를 남김.
1168~1241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백운서당(白雲書堂) - 운곡서원(雲谷書院)@충주
조선 현종(顯宗) 때 충청도 충주(忠州)에 건립한 서원. 1602년(선조 35) 백운서당(白雲書堂)에 주자(朱子)를 모시고 백운서원(白雲書院)이라 하였다가 1661년(현종 2)에 운곡서원이라 함. 1676년(숙종 2) 사액되었으며, 주자ㆍ정구(鄭逑) 등을 배향함. 현재 충청북도 음성군(陰城郡)에 속함.
1661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충주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백운서원(白雲書院) - 소수서원(紹修書院)
조선 중종(中宗) 때 경상도 순흥(順興)에 건립된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. 1542년(중종 37) 주세붕(周世鵬)이 창건하고, 1550년(명종 5)에 사액됨. 안향(安珦)ㆍ안축(安軸)ㆍ주세붕(周世鵬) 등을 배향함. 현재 경상북도 영주시(榮州市)에 속함.
154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풍기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백운서원(白雲書院)@운곡서원 - 운곡서원(雲谷書院)@충주
조선 현종(顯宗) 때 충청도 충주(忠州)에 건립한 서원. 1602년(선조 35) 백운서당(白雲書堂)에 주자(朱子)를 모시고 백운서원(白雲書院)이라 하였다가 1661년(현종 2)에 운곡서원이라 함. 1676년(숙종 2) 사액되었으며, 주자ㆍ정구(鄭逑) 등을 배향함. 현재 충청북도 음성군(陰城郡)에 속함.
1661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충주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백운원(白雲院) - 소수서원(紹修書院)
조선 중종(中宗) 때 경상도 순흥(順興)에 건립된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. 1542년(중종 37) 주세붕(周世鵬)이 창건하고, 1550년(명종 5)에 사액됨. 안향(安珦)ㆍ안축(安軸)ㆍ주세붕(周世鵬) 등을 배향함. 현재 경상북도 영주시(榮州市)에 속함.
154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풍기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백운자(白雲子)@신준 - 신준(神駿)
고려 의종(毅宗) 때의 승려. 원래 문인이었으나, 무신정변(武臣政變) 때 위험에서 벗어나기 위해 불교에 귀의하여 명산을 두루 방랑함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백운자(白雲子) - 사마승정(司馬承禎)
중국 당(唐) 나라의 도사ㆍ학자. 반사정(潘師正)에게 벽곡도인술(辟穀導引術)을 전수받았으며, 《도덕경(道德經)》의 정본(定本)을 만듦.
647~735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도사ㅣ인명>문사>학자
-
백운재(白雲齋) - 권응수(權應銖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권덕신(權德臣)의 아들로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의병대장으로 활동하면서 각지에서 큰 전공을 세워 선무공신(宣武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도총부 도총관(都摠府都摠管)을 지냄.
1546~1608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신녕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백운정(白雲亭) - 이헌경(李獻慶)
조선 영조(英祖)~정조(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로, 형조 참판(刑曹參判)을 지낸 이제화(李齊華)의 아들. 대사간(大司諫)ㆍ한성부 판윤(漢城府判尹) 등을 지내고, 저서로 《간옹집(艮翁集)》이 있음.
1719~1791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운집(白雲集) - 동국이상국집(東國李相國集)
고려 고종(高宗) 때의 문신ㆍ문인인 이규보(李奎報)의 시문집. 목판본. 1241년(고종 28) 아들 이함(李涵)이 초고를 수집 편차하여 총 53권 14책으로 초간(初刊)함.
1241 한국>고려후기 , 문헌>서명
-
백웅(伯熊) - 정백웅(鄭伯熊)
중국 송(宋) 나라 고종(高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정호(程顥)ㆍ정이(程頤)의 사상을 계승한 영가학파(永嘉學派)를 부흥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. 저서에 《몽재필담(蒙齋筆談)》ㆍ《부문서설(敷文書說)》이 있음.
1127~1181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백웅(伯雄) - 윤변명(尹變溟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무송(茂松). 최항(崔恒)의 《태허정집(太虛亭集)》에 그의 이름과 자(字)에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무장 , 인명>문사>유학
-
백원(伯元)@문익형 - 문익형(文益亨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남평(南平). 생원(生員) 문옹(文翁)의 아들이며, 옥동(玉洞) 문익성(文益成)의 형. 남명(南冥) 조식(曺植)의 문인으로, 1552년(명종 7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합천 , 인명>문사>유학
-
백원(伯元) - 상오(向浯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인. 호안국(胡安國)의 문인(門人)으로, 주희(朱熹)와 교유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백원(伯元)@조신 - 조신(曺伸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역관ㆍ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문장이 뛰어나 사역원 정(司譯院正)에 특선(特選)되었고, 명(明) 나라에서 시(詩)로 이름을 날림. 조위(曺偉)의 서제(庶弟)이며, 김종직(金宗直)의 처남.
1454~?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금산 , 인명>관인>역관ㅣ인명>관인>문신
-
백원(伯元)@조세우 - 조세우(曺世虞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고양 군수(高陽郡守)를 지낸 조척(曺倜)의 아들. 1513년(중종 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한 후 이언적(李彦迪)ㆍ송희규(宋希奎) 등과 교유함.
1483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