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백유(伯由) - 조종도(趙宗道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조식(曺植)의 문인으로, 정여립(鄭汝立)의 모반 사건에 연루되었다가 풀려나고, 정유재란(丁酉再亂) 때 안의(安義)의 황석산성(黃石山城)에서 왜적과 싸우다 전사함.
1537~1597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함안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유(伯由)@이백유 - 이백유(李伯由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조(太祖) 때의 문신. 이색(李穡)의 문인(門人)으로, 조선 건국 후 개국공신(開國功臣)에 책록되었으나, 제1차 왕자(王子)의 난(亂) 때 정도전(鄭道傳)의 일파로 지목되어 관작과 공신의 칭호를 삭탈당하고 유배되었다가 죽음.
?~1399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백윤(伯胤)@이홍주 - 이홍주(李弘胄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이괄(李适)의 난이 일어나자 도원수(都元帥)가 되어 공을 크게 세웠으며, 인목대비(仁穆大妃)가 죽자 애책문(哀冊文)을 지음. 영중추부사(領中樞府事)ㆍ영의정(領議政)을 지냄.
1562~1638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윤(伯胤)@이백윤 - 이백윤(李伯胤)
조선 전기의 종친. 익양군(益陽君) 이회(李懷)의 증손이자 용천군(龍川君) 이수한(李壽鷴)의 손자로, 풍림부수(豐林副守)에 봉해짐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백윤(伯胤) - 박원종(朴元宗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무신. 중종반정(中宗反正)을 주도한 공으로 정국공신(靖國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영의정(令議政) 등을 지냄.
1467~1510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순천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백윤(伯胤)@이진 - 이진(李震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안(咸安). 이세응(李世應)의 아들로, 1537년(중종 32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였으며, 참의(參議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윤(伯胤)@유이손 - 유이손(柳耳孫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서화가. 도화서(圖畫署) 화원(畫員)으로 서예에도 능했으며, 사자청(寫字廳)의 설립을 최초로 건의하여 사자관(寫字官)을 지냄. 신정(申珽)ㆍ유항(柳沆)등이 번역한 유향(劉向)의 《열녀전(列女傳)》을 사자(寫字)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예술인>서화가
-
백윤(伯胤)@이수한의손자 - 이백윤(李伯胤)
조선 전기의 종친. 익양군(益陽君) 이회(李懷)의 증손이자 용천군(龍川君) 이수한(李壽鷴)의 손자로, 풍림부수(豐林副守)에 봉해짐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백은(伯誾) - 김구용(金九容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ㆍ문인ㆍ학자. 본관은 안동(安東). 우왕 때 삼사 좌윤(三司左尹)으로 이숭인(李崇仁)ㆍ정도전(鄭道傳) 등과 북원(北元) 사절의 영접을 반대하다 죽주(竹州)로 귀양 감. 사장(詞章)에 뛰어나고, 특히 시(詩)로 유명함.
1338~1384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백은(白隱) - 표을충(表乙忠)
고려 말의 문신. 본관은 신창(新昌). 표광원(表光遠)의 아들로, 군기시 소윤(軍器寺少尹) 등을 지냄. 조선 개국 후 세 차례 부름을 받았으나 나아가지 않고 상주(尙州)의 백화산(白華山)에 은거함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은(白隱)@정자급 - 정자급(丁子伋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나주(羅州). 승문원 교리(承文院校理)를 지낸 정수곤(丁壽崑)의 아버지로, 승문원 부교리(承文院副校理)ㆍ소격서 영(昭格署令) 등을 지냄.
1423~1487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응(伯凝) - 구수복(具壽福)
조선 중종(中宗)~인종(仁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능성(綾城).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협조하지 않아 삭직되었으며, 후에 구례 현감(求禮縣監) 등을 역임함. 김정(金淨)과 도의(道義)로써 사귀고, 경학(經學)에 몰두하여 많은 후진을 양성함.
1491~153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응(伯凝)@박백응 - 박백응(朴伯凝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무안(務安). 박사길(朴士吉)의 아버지로, 진원 현감(珍原縣監)을 지냄. 해촌사(海村祠)에 배향됨.
1525~1587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무안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응(伯應) - 김봉상(金鳳祥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청도(淸道). 김현(金俔)의 아들로, 영릉 참봉(英陵參奉) 등을 지냈으며,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보련산(寶蓮山)에 은거함.
1496~1545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충주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
-
백의객(白衣客) - 이필(李泌)
중국 당(唐) 나라의 재상. 어려서 신동(神童)으로 이름을 떨치고, 신선술(神仙術)에 탐닉하였으며, 현종(玄宗)ㆍ숙종(肅宗)ㆍ대종(代宗)ㆍ덕종(德宗) 네 황제에 걸쳐 국가 대사에 막중한 영향력을 행사함.
?~789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의인(白衣人) - 왕굉(王宏)
중국 남북조시대(南北朝時代) 동진(東晉)의 문신. 강주 자사(江州刺使)로 있을 때 도연명(陶淵明)에게 술을 보냈다는 백의인(白衣人) 고사로 유명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이(白爾) - 신여석(申汝晳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평산(平山). 돈녕부 도정(敦寧府都正)을 지낸 신해(申垓)의 아들로, 성천 부사(成川府使) 등을 지냄.
1632~1695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평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이(白而) - 심결(沈潔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삼척(三陟).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 심붕서(沈鵬瑞)의 아버지.
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삼척 , 인명>문사>유학
-
백익(伯益)@백예 - 백예(栢翳)
중국 전설상의 신하. 순(舜) 임금 때 산택(山澤)을 관리하는 벼슬인 우(虞)에 임명되어 우(禹) 왕을 보좌하여 치수사업에 공을 세워 영씨(嬴氏)를 하사받고, 진(秦) 나라의 시조가 되었다고 함.
고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백익(伯益) - 이희보(李希輔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평양(平壤)으로, 사옹원 봉사(司饔院奉事)를 지낸 이극문(李克文)의 아들. 성균관 대사성(成均館大司成)을 지내고, 문장에도 능함.
1473~154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