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백은(白隱) - 표을충(表乙忠)
고려 말의 문신. 본관은 신창(新昌). 표광원(表光遠)의 아들로, 군기시 소윤(軍器寺少尹) 등을 지냄. 조선 개국 후 세 차례 부름을 받았으나 나아가지 않고 상주(尙州)의 백화산(白華山)에 은거함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은(白隱)@정자급 - 정자급(丁子伋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나주(羅州). 승문원 교리(承文院校理)를 지낸 정수곤(丁壽崑)의 아버지로, 승문원 부교리(承文院副校理)ㆍ소격서 영(昭格署令) 등을 지냄.
1423~1487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응(伯凝) - 구수복(具壽福)
조선 중종(中宗)~인종(仁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능성(綾城).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협조하지 않아 삭직되었으며, 후에 구례 현감(求禮縣監) 등을 역임함. 김정(金淨)과 도의(道義)로써 사귀고, 경학(經學)에 몰두하여 많은 후진을 양성함.
1491~153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응(伯凝)@박백응 - 박백응(朴伯凝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무안(務安). 박사길(朴士吉)의 아버지로, 진원 현감(珍原縣監)을 지냄. 해촌사(海村祠)에 배향됨.
1525~1587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무안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응(伯應) - 김봉상(金鳳祥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청도(淸道). 김현(金俔)의 아들로, 영릉 참봉(英陵參奉) 등을 지냈으며,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보련산(寶蓮山)에 은거함.
1496~1545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충주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
-
백의객(白衣客) - 이필(李泌)
중국 당(唐) 나라의 재상. 어려서 신동(神童)으로 이름을 떨치고, 신선술(神仙術)에 탐닉하였으며, 현종(玄宗)ㆍ숙종(肅宗)ㆍ대종(代宗)ㆍ덕종(德宗) 네 황제에 걸쳐 국가 대사에 막중한 영향력을 행사함.
?~789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의인(白衣人) - 왕굉(王宏)
중국 남북조시대(南北朝時代) 동진(東晉)의 문신. 강주 자사(江州刺使)로 있을 때 도연명(陶淵明)에게 술을 보냈다는 백의인(白衣人) 고사로 유명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이(白爾) - 신여석(申汝晳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평산(平山). 돈녕부 도정(敦寧府都正)을 지낸 신해(申垓)의 아들로, 성천 부사(成川府使) 등을 지냄.
1632~1695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평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이(白而) - 심결(沈潔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삼척(三陟).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 심붕서(沈鵬瑞)의 아버지.
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삼척 , 인명>문사>유학
-
백익(伯益)@백예 - 백예(栢翳)
중국 전설상의 신하. 순(舜) 임금 때 산택(山澤)을 관리하는 벼슬인 우(虞)에 임명되어 우(禹) 왕을 보좌하여 치수사업에 공을 세워 영씨(嬴氏)를 하사받고, 진(秦) 나라의 시조가 되었다고 함.
고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백익(伯益) - 이희보(李希輔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평양(平壤)으로, 사옹원 봉사(司饔院奉事)를 지낸 이극문(李克文)의 아들. 성균관 대사성(成均館大司成)을 지내고, 문장에도 능함.
1473~154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인(伯人) - 하후상(夏侯尙)
중국 삼국시대 위(魏) 나라의 장수. 하후현(夏侯玄)ㆍ하후휘(夏侯徽)의 아버지. 조조(曹操)의 부하로 황문 시랑(黃門侍郞)을 지냄.
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백인(伯仁)@김효원 - 김효원(金效元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장원서 장원(掌苑署掌苑)을 지낸 김만억(金萬億)의 아들. 1546년(명종 1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하여 정자(正字)를 지내고, 미암(眉巖) 유희춘(柳希春)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인(伯仁) - 남숭(南崧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의령(宜寧). 1537년(중종 32) 문과에 급제하여 성균관 전적(成均館典籍)을 지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ㅣ경상도>영해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인(伯仁)@주의 - 주의(周顗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문신. 원제(元帝) 때 형주 자사(荊州刺史)ㆍ상서 우복야(尙書右僕射) 등을 지냈으나, 반란을 일으킨 진동대장군(鎭東大將軍) 왕돈(王敦)에 의해 살해됨.
269~322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인(伯仁)@박효원 - 박효원(朴孝元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비안(比安)으로, 성세준(成世俊)의 장인. 1465년(세조 11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사헌부 장령(司憲府掌令)ㆍ대사간(大司諫) 등을 지냈으나, 임사홍(任士洪) 등과 결탁하여 대신들을 탄핵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비안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인(伯寅) - 권율(權慄)@조선전기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양촌(陽村) 권근(權近)의 동생인 매헌(梅軒) 권우(權遇)의 손자. 김종직(金宗直)ㆍ장말손(張末孫)ㆍ조극치(曺克治)ㆍ채신보(蔡申保) 등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인당(百忍堂)@인성군 - 인성군(仁城君)
조선 제14대 선조(宣祖)의 일곱째 서자. 광해군이 폐모(廢母)를 논의할 때 종척(宗戚)과 함께 참석했다는 이유로 탄핵을 받고 진도(珍島)에 유배되었다가, 1628년(인조 6) 대신과 백관의 주청으로 자살의 형을 받음.
1588~1628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자
-
백인당(百忍堂) - 김낙춘(金樂春)
조선 인종(仁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순천(順天). 이황(李滉)의 문인. 학행(學行)으로 익위사 세마(翊衛司洗馬)와 예조 좌랑(禮曹佐郞)에 천거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음.
1525~158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ㅣ경상도>문경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백일승(白日昇) - 변사(邊涘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모반자. 정여립(鄭汝立)과 모반하여 기축옥사(己丑獄死)를 일으켰으나 동모자의 고변으로 사실이 발각되어 토포군에게 포위되자 정여립과 함께 자결함.
?~1589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안악 , 인명>기타인명>역적