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백임(伯任) - 금인(琴軔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봉화(奉化)로, 송음(松陰) 금복고(琴復古)의 아버지. 1540년(중종 35) 진사시에 입격했으며, 봉화(奉化)의 구만서원(龜彎書院)에 배향됨.
1510~159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문사>유학
-
백자(伯子) - 정호(程顥)
중국 송(宋) 나라 인종(仁宗)~철종(哲宗) 때의 문신ㆍ학자. 태중대부(太中大夫) 정향(程珦)의 아들로, 아우 정이(程頤)와 함께 주돈이(周敦頣)의 문하에서 수학하고, 송 나라 이학(理學)의 기초를 마련함.
1032~1085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백장(白丈) - 백광훈(白光勳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인. 본관은 해미(海美). 박순(朴淳)ㆍ양응정(梁應鼎)ㆍ노수신(盧守愼)에게서 수학함. 당시(唐詩)의 시풍(詩風)을 주장하여 최경창(崔慶昌)ㆍ이달(李達)과 함께 삼당시인(三唐詩人)이라 불리고, 이산해(李山海)ㆍ최립(崔笠) 등과 더불어 팔문장(八文章)으로 일컬어짐.
1537~1582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장흥 , 인명>문사>문인
-
백장(百丈) - 회해(懷海)
중국 당(唐) 나라의 승려. 마조 도일(馬祖道一)의 제자로 선거(禪居)를 처음 제창하여 좌선의 법도를 새로이 구체화했으며, 선종(禪宗)의 세력을 더욱 강화시킴.
720~814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백장선사(百丈禪師) - 회해(懷海)
중국 당(唐) 나라의 승려. 마조 도일(馬祖道一)의 제자로 선거(禪居)를 처음 제창하여 좌선의 법도를 새로이 구체화했으며, 선종(禪宗)의 세력을 더욱 강화시킴.
720~814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백재(伯材) - 금오(琴梧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봉화(奉化)로, 지흥해군사(知興海郡事)를 지낸 금치담(琴致湛)의 아들. 기묘사화(己卯士禍)가 일어나자 관직에 나가지 않음. 황준량(黃俊良)ㆍ권동보(權東輔)ㆍ정유일(鄭惟一) 등과 교유했음.
1486~157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봉화 , 인명>문사>유학
-
백전암(柏田庵) - 도솔암(兜率庵)
강원도 고성(高城)의 금강산(金剛山)에 있는 암자. 발연(鉢淵)으로부터 30여 리 지점에 있음.
강원도>고성 , 유적>건물>사찰
-
백정(伯淨) - 진평왕(眞平王)
신라 제26대 왕. 재위 579~632. 진흥왕(眞興王)의 손자. 위화부(位和府)ㆍ예부(禮部) 등의 관청을 신설하여 내정의 충실을 도모하고 원광(圓光)ㆍ담육(曇育) 등 명승을 중국에 보내어 수도하게 하는 등 불교를 진흥시켰으며, 왕실 강화에 힘씀.
?~632 한국>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국왕
-
백정(伯靜) - 채연(蔡淵)
중국 송(宋) 나라 영종(寧宗)~이종(理宗) 때의 학자. 채원정(蔡元定)의 아들이며 채침(蔡沈)의 형으로, 《역상의언(易象意言)》ㆍ《주역경전훈해(周易經傳訓解)》를 저술함.
1156~1236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백정(伯靜)@조인수 - 조인수(趙仁壽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풍양(豊壤). 분무공신(奮武功臣) 조현명(趙顯命)의 아버지로, 박세채(朴世采)의 문하에서 수학함. 의금부 도사(義禁府都事) 등을 지냈으나, 인현왕후(仁顯王后) 폐위 이후 두문불출하고 학문에 전념함.
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양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백정(栢亭) - 정역(鄭易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효령대군(孝寧大君)의 장인. 이방원(李芳遠)과 함께 문과에 급제하여 친밀하고, 호조 판서(戶曹判書)ㆍ대제학(大提學)ㆍ좌찬성(左贊成) 등을 지냄.
?~1425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해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정(白淨) - 진평왕(眞平王)
신라 제26대 왕. 재위 579~632. 진흥왕(眞興王)의 손자. 위화부(位和府)ㆍ예부(禮部) 등의 관청을 신설하여 내정의 충실을 도모하고 원광(圓光)ㆍ담육(曇育) 등 명승을 중국에 보내어 수도하게 하는 등 불교를 진흥시켰으며, 왕실 강화에 힘씀.
?~632 한국>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국왕
-
백정자(伯程子) - 정호(程顥)
중국 송(宋) 나라 인종(仁宗)~철종(哲宗) 때의 문신ㆍ학자. 태중대부(太中大夫) 정향(程珦)의 아들로, 아우 정이(程頤)와 함께 주돈이(周敦頣)의 문하에서 수학하고, 송 나라 이학(理學)의 기초를 마련함.
1032~1085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백제왕(百濟王) - 의자왕(義慈王)
백제 제31대 왕. 재위 641~660. 무왕(武王)의 맏아들로, 일찍이 효성과 우애가 깊어 '해동증자(海東曾子)‘라 일컬어졌으나, 성충(成忠) 등 충신을 죽이고, 신라(新羅)와 잦은 군사대립으로 국력을 소모한 나머지 나당(羅唐) 연합군에 의해 패망함.
한국>백제 , 충청도>부여 , 인명>왕실>국왕
-
백족(白足) - 담시(曇始)
중국 남북조시대 동진(東晉)의 승려. 고구려 요동(遼東)에 와서 불법을 펴, 삼승(三乘)의 가르침으로 삼귀오계(三歸五戒)의 법을 세워 교화하였다고 전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백족선(白足禪) - 담시(曇始)
중국 남북조시대 동진(東晉)의 승려. 고구려 요동(遼東)에 와서 불법을 펴, 삼승(三乘)의 가르침으로 삼귀오계(三歸五戒)의 법을 세워 교화하였다고 전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백족화상(白足和尙) - 담시(曇始)
중국 남북조시대 동진(東晉)의 승려. 고구려 요동(遼東)에 와서 불법을 펴, 삼승(三乘)의 가르침으로 삼귀오계(三歸五戒)의 법을 세워 교화하였다고 전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백졸(百拙) - 신흠(申欽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평산(平山). 계축화옥(癸丑禍獄) 때 선조의 유교칠신(遺敎七臣)이라는 이유로 파직되었으나, 인조반정(仁祖反正) 이후 삼정승을 지냄. 이정귀(李廷龜)ㆍ장유(張維)ㆍ이식(李植)과 함께 조선 중기 한문학의 정종(正宗)으로 일컬어짐.
1566~1628 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춘천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백졸재(百拙齋) - 한응인(韓應寅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로, 부사직(副司直) 한경남(韓敬男)의 아들. 한어(漢語)에 능하여 수차례 명(明) 나라에 다녀오고, 임진왜란 때 원군을 이끌고 온 이여송(李如松)의 접반관(接伴官)이 됨.
1554~1614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백종(伯宗) - 표계(表繼)
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신창(新昌). 남계(藍溪) 표연말(表沿沫)의 아버지로, 1429년(세종 11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, 양덕 현감(陽德縣監)ㆍ상주 유학교수(尙州儒學敎授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신창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