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백정(白淨) - 진평왕(眞平王)
신라 제26대 왕. 재위 579~632. 진흥왕(眞興王)의 손자. 위화부(位和府)ㆍ예부(禮部) 등의 관청을 신설하여 내정의 충실을 도모하고 원광(圓光)ㆍ담육(曇育) 등 명승을 중국에 보내어 수도하게 하는 등 불교를 진흥시켰으며, 왕실 강화에 힘씀.
?~632 한국>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국왕
-
백정자(伯程子) - 정호(程顥)
중국 송(宋) 나라 인종(仁宗)~철종(哲宗) 때의 문신ㆍ학자. 태중대부(太中大夫) 정향(程珦)의 아들로, 아우 정이(程頤)와 함께 주돈이(周敦頣)의 문하에서 수학하고, 송 나라 이학(理學)의 기초를 마련함.
1032~1085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백제왕(百濟王) - 의자왕(義慈王)
백제 제31대 왕. 재위 641~660. 무왕(武王)의 맏아들로, 일찍이 효성과 우애가 깊어 '해동증자(海東曾子)‘라 일컬어졌으나, 성충(成忠) 등 충신을 죽이고, 신라(新羅)와 잦은 군사대립으로 국력을 소모한 나머지 나당(羅唐) 연합군에 의해 패망함.
한국>백제 , 충청도>부여 , 인명>왕실>국왕
-
백족(白足) - 담시(曇始)
중국 남북조시대 동진(東晉)의 승려. 고구려 요동(遼東)에 와서 불법을 펴, 삼승(三乘)의 가르침으로 삼귀오계(三歸五戒)의 법을 세워 교화하였다고 전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백족선(白足禪) - 담시(曇始)
중국 남북조시대 동진(東晉)의 승려. 고구려 요동(遼東)에 와서 불법을 펴, 삼승(三乘)의 가르침으로 삼귀오계(三歸五戒)의 법을 세워 교화하였다고 전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백족화상(白足和尙) - 담시(曇始)
중국 남북조시대 동진(東晉)의 승려. 고구려 요동(遼東)에 와서 불법을 펴, 삼승(三乘)의 가르침으로 삼귀오계(三歸五戒)의 법을 세워 교화하였다고 전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백졸(百拙) - 신흠(申欽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평산(平山). 계축화옥(癸丑禍獄) 때 선조의 유교칠신(遺敎七臣)이라는 이유로 파직되었으나, 인조반정(仁祖反正) 이후 삼정승을 지냄. 이정귀(李廷龜)ㆍ장유(張維)ㆍ이식(李植)과 함께 조선 중기 한문학의 정종(正宗)으로 일컬어짐.
1566~1628 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춘천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백졸재(百拙齋) - 한응인(韓應寅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로, 부사직(副司直) 한경남(韓敬男)의 아들. 한어(漢語)에 능하여 수차례 명(明) 나라에 다녀오고, 임진왜란 때 원군을 이끌고 온 이여송(李如松)의 접반관(接伴官)이 됨.
1554~1614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백종(伯宗) - 표계(表繼)
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신창(新昌). 남계(藍溪) 표연말(表沿沫)의 아버지로, 1429년(세종 11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, 양덕 현감(陽德縣監)ㆍ상주 유학교수(尙州儒學敎授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신창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종(伯宗)@이제화 - 이제화(李齊華)
조선 숙종(肅宗)~영조(英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이익령(李翼齡)의 아들이며, 간옹(艮翁) 이헌경(李獻慶)의 아버지로, 형조 참판(刑曹參判) 등을 지냄.
1691~?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종(百宗) - 민백종(閔百宗)
조선 영조(英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공주진관 병마절제도위(公州鎭管兵馬節制都尉) 민흥수(閔興洙)의 아들로, 선산 부사(善山府使)를 지냄. 1768년(영조 44) 야은(冶隱) 길재(吉再)의 충절과 학덕을 기리기 위하여 채미정(採薇亭)을 건립함.
1712~?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주(白州) - 배천(白川)
황해도 남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. 고려 태조(太祖) 때 백주(白州)라 부르고 의종(毅宗) 때 개흥부(開興府)로 승격되었다가 다시 백주로 환원되었으며, 조선 태종(太宗)때 배천군(白川郡)이 되었음.
황해도>배천 , 지명>행정지명
-
백주(白洲) - 이명한(李明漢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. 월사(月沙) 이정귀(李廷龜)의 아들로, 대제학(大提學)ㆍ예조 판서(禮曹判書) 등을 지냄. 이괄(李适)의 난 때 왕을 호종하고, 척화파(斥和派)로 심양(瀋陽)에 억류되기도 함. 저서로 《백주집(白洲集)》 등이 있음.
1595~1645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죽당(栢竹堂) - 배상지(裵尙志)
고려 후기의 문신. 고려 말에 정국(政局)이 혼란해지자 안동(安東)의 금계(金溪)에 은거하였으며, 조선 초에 여러 차례 불렀으나 응하지 않음.
1351~1413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준(伯俊) - 신잡(申磼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평산(平山)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비변사 당상(備邊司堂上)으로 활약하였으며, 호성공신(扈聖功臣)에 책록됨.
1541~1609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평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백중(伯中) - 이문화(李文和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인천(仁川). 조선 개국 후 세 차례에 걸쳐 명(明)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고, 의정부 참찬(議政府參贊) 등을 지냄.
1358~1414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인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중열(白仲悅) - 백유함(白惟咸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이조 정랑(吏曹正郞)이 되었을 때 당쟁이 심해지자 벼슬을 버리고 은거하다가 정여립(鄭汝立)의 모반 사건 때 복직함. 임진왜란 때 의주(義州)로 왕을 호종(扈從)했고, 명사(明使) 정응태(丁應泰)를 접반(接伴)함.
1546~1618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증(伯曾) - 유백증(兪伯曾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ㆍ공신. 유대일(兪大逸)의 아들로, 인조반정(仁祖反正) 때 공을 세워 정사공신(靖社功臣)에 책록됨. 할아버지 유홍(兪泓)의 시문집인 《송당집(松塘集)》을 편집ㆍ간행함.
1587~164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백지(伯至) - 전오륜(全五倫)
고려 공양왕(恭讓王)~조선 초의 문신ㆍ은자. 본관은 정선(旌善). 관직에 나아가 우상시(右常侍)ㆍ형조 판서(刑曹判書) 등을 역임했으나, 고려가 망하자 두문동(杜門洞)에 들어갔다가 후에 서운산(瑞雲山)에 은거함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ㅣ강원도>정선 , 인명>기타인명>은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백지(百之) - 이백지(李百之)
고려 후기의 유학. 가명(可明)이란 자(字)를 짓고 목은(牧隱) 이색(李穡)으로부터 '가명설(可明說)'이라는 자설(字說)을 받은 일이 있음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