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백진(伯珍)@주유 - 주유(周瑜)@고려
고려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상주(尙州). 도은공파(陶隱公派)의 중시조로 주세붕(周世鵬)의 고조임. 고려가 망하자 불사이군(不事二君)의 충절로 벼슬을 단념하고 합천(陜川)에 은거함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합천 , 인명>문사>유학
-
백진(伯珍)@강백진 - 강백진(康伯珍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신천(信川)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(門人)으로, 무오사화(戊午士禍) 때 귀양 가서 1504년(연산군 10) 처형됨.
?~1504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신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진(伯珍) - 안위(安瑋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흥(順興). 명종 때 병조 판서가 되어 국방을 주관하면서 병학(兵學)에 재능을 나타내고, 양계(兩界)에 대한 국방을 강화하고자 진보(鎭堡)의 설치를 장려함.
1491~156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진(伯鎭) - 윤성(尹城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남원(南原). 1528년(중종 23)에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하였으며, 김인후(金麟厚)와 교유하여 김인후가 그의 아들에게 지어준 시가 《하서전집(河西全集)》에 남아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문사>유학
-
백창(伯昌) - 문왕(文王)@주
중국 주(周) 나라의 창건자인 무왕(武王)의 아버지로, 무왕에 의해 왕으로 추존됨. 유교에서 칭송하는 성군(聖君) 가운데 한 사람.
중국>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백창(伯蒼) - 무원형(武元衡)
중국 당(唐) 헌종(憲宗) 때의 재상(宰相). 813년(원화 8)에 이길보(李吉甫)와 함께 재상이 되어 번진세력(藩鎮勢力)을 약화시킴. 이사도(李師道)가 보낸 자객에 의해 피살됨.
758~815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척(白跖) - 소환(蘇渙)
중국 당(唐) 나라의 문신ㆍ문인. 과거에 급제하여 어사(禦史)를 지냄. 두보(杜甫)와 시문(詩文)에 대해 논함에 서로 의기(意氣)가 잘 부합했음. 저서에 《소환시(蘇渙詩)》가 있음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백첨(伯瞻) - 육옹(陸顒)
중국 명(明) 나라의 문신. 예부 원외랑(禮部員外郞) 등을 지내고, 시(詩)ㆍ서(書)ㆍ화(畫)에 뛰어남. 조선 태종(太宗) 때 임사영(林士英)과 함께 혜제(惠帝)의 대통력(大統曆)과 칙서(勅書)를 가지고 조선에 사신으로 옴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청(伯淸) - 홍심(洪深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양(南陽). 홍덕보(洪德輔)의 아들이며 좌의정 홍응(洪應)의 아버지로, 한성부윤(漢城府尹) 등을 지내고, 세조 즉위에 공을 세워 좌익원종공신(佐翼原從功臣)에 책록됨.
1398~1456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백촌(柏村) - 김공증(金公增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1510년(중종 5) 사마시(司馬試)에 입격하여 조광조(趙光祖)와 함께 종유(從遊)하였으나, 기묘사화(己卯士禍)로 유배되었다가 1538년(중종 33)에 풀려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장흥 , 인명>문사>유학
-
백촌(白村) - 김문기(金文起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1456년(세조 2) 단종 복위(端宗復位) 모의에 가담하였다가 죽임을 당함.
1399~1456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옥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총(伯寵) - 이승은(李承恩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익녕군(益寧君) 이치(李袳)의 맏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백춘(伯春)@김응기 - 김응기(金應箕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성종의 신임이 두터워 10여 년 동안 강연(講筵)을 맡음.
1457~151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춘(伯春)@민인백 - 민인백(閔仁伯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麗興). 성혼(成渾)의 문인으로 기축옥사(己丑獄事) 때 공을 세워 평난공신(平難功臣)에 책록되었고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황주 목사(黃州牧使)로 임진강(臨津江)을 지킴.
1552~1626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백춘(伯春)@김원행 - 김원행(金元行)
조선 영조(英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안동(安東). 이재(李縡)의 문인으로, 신임사화(辛壬士禍) 때 종조(從祖) 김창집(金昌集)이 사사되고 일가가 모두 유배된 후 벼슬을 사양하고 성리학에 전념함.
1702~1772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백춘(伯春) - 이양원(李陽元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이원부령(利原副令) 이학정(李鶴汀)의 아들이며,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명(明) 나라에 가서 종계(宗系)를 변무(辨誣)한 공으로 광국공신(光國功臣)에 책록됨. 임진왜란 때 공을 세우고, 영의정 등을 지냄.
1533~1592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백춘(伯春)@정난손 - 정난손(鄭蘭孫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동래(東萊). 정사(鄭賜)의 맏아들이자, 정난종(鄭蘭宗)의 형이며, 정광세(鄭光世)의 아버지로,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동래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충(伯冲) - 육질(陸質)
중국 당(唐) 나라의 유학자. 유종원(柳宗元)ㆍ여온(呂溫) 등과 교류하고, 《춘추집전찬례(春秋集傳纂例)》ㆍ《춘추집전변의(春秋集傳辨疑)》ㆍ《춘추미지(春秋微旨)》등을 지음.
?~806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백파(白波) - 이상(李常)@조선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조(太祖)의 셋째 아들인 익안대군(益安大君) 이방의(李芳毅)의 손자이며, 익평부원군(益平府院君) 이석근(李石根)의 일곱째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백파도정(白波都正) - 이상(李常)@조선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조(太祖)의 셋째 아들인 익안대군(益安大君) 이방의(李芳毅)의 손자이며, 익평부원군(益平府院君) 이석근(李石根)의 일곱째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