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백허(伯虛) - 안처겸(安處謙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흥(順興). 좌의정 안당(安瑭)의 아들로, 성균관 학유(成均館學兪)를 지냄. 심정(沈貞)ㆍ남곤(南袞) 등을 제거하려 했다는 송사련(宋祀連)의 무고로 인해 처형됨.
1486~1521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백헌(伯獻) - 김성벽(金成璧)
조선 전기의 유학.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백헌(伯獻)@이선 - 이선(李璿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덕수(德水)로, 사헌부 감찰(司憲府監察) 이원수(李元秀)의 아들이자 율곡(栗谷) 이이(李珥)의 첫째 형. 남부 참봉(南部參奉) 등을 지냄.
1524~1570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회덕ㅣ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백헌(栢軒) - 전신(全信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. 김제안(金齊顔)ㆍ이제현(李齊賢) 등과 교유함. 음서(蔭敍)로 관직에 진출하여 동지밀직사사 상의회의도감사(同知密直司事商議會議都監事)를 지냄.
1276~1339 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천안 , 인명>관인>문신
-
백헌(白軒) - 이경석(李景奭)
조선 인조(仁祖)~현종(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로, 김장생(金長生)의 문인. 이괄(李适)의 난과 병자호란 때 인조를 호종하고, 청(淸) 나라의 침략으로 인한 위기에서 국가를 구하는 데 큰 공을 세웠으며, 삼전도비(三田渡碑)의 비문을 씀.
1595~1671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제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백헌선생집(白軒先生集) - 백헌집(白軒集)
조선 인조(仁祖)~현종(顯宗) 때의 문신인 이경석(李景奭)의 시문집. 활자본. 손자 이우성(李羽成)이 수집하고 최석정(崔錫鼎)이 정리ㆍ편차하였으며, 증손 이진양(李眞養)과 이진망(李眞望)이 1700년(숙종 26) 신완(申琓)의 도움을 받아 간행함.
1700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백형(伯亨) - 윤담휴(尹覃休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으로, 영평군(鈴平君) 윤개(尹漑)의 손자. 1569년(선조 2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장원급제하여, 통례원 좌통례(通禮院左通禮) 등을 역임함.
1544~158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백호(伯虎) - 구양백호(歐陽伯虎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. 시(詩)에 뛰어났으며, 백운거사(白雲居士) 이규보(李奎報)와 시를 수창(酬唱)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백호(白湖)@윤휴 - 윤휴(尹鑴)
조선 효종(孝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남원(南原). 주자(朱子)의 학설과 사상을 비판ㆍ반성하는 독자적 학문체계를 수립하고, 기해예송(己亥禮訟) 때 참최설(斬衰說)을 주장하여 서인(西人)과 대립함. 경신출척(庚申黜陟) 때 유배되었다가 사사(賜死)됨.
1617~1680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백호(白湖) - 임제(林悌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시인ㆍ문신. 성운(成運)의 문인으로, 예조 정랑(禮曹正郞)ㆍ지제교(知製敎)를 지냄. 동서(東西)의 당파싸움을 개탄(慨歎)하여 벼슬을 버리고 명산을 유람하며 문장가로 명성을 떨침.
1549~1587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백호(白虎) - 당인(唐寅)
중국 명(明) 나라 효종(孝宗)~무종(武宗) 때의 화가ㆍ문인. 주신(周臣)의 제자로, 남종화(南宗畵)와 북종화(北宗畵)를 융합하여 이후 오파(吳派)의 문인화풍(文人畵風)에 영향을 주고, 문장에도 뛰어나 《당인집(唐寅集)》을 남김.
1470~1523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문사>문인
-
백호관(白虎觀) - 백호전(白虎殿)
중국 장안(長安) 미앙궁(未央宮) 북쪽에 있던 전각 이름. 후한(後漢)의 장제(章帝)가 유학을 부흥시키기 위하여 이곳에 여러 유학자를 모아 오경(五經)을 연구하게 함.
중국>후한 , 중국 , 유적>건물>궁궐
-
백호집(白湖集) - 임백호집(林白湖集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시인ㆍ문신인 임제(林悌)의 문집. 4권 2책. 목판본. 동생 임권(林懽)이 수집한 유고를 종제(從弟) 임서(林㥠)가 간행함. 권1~3에는 시(詩), 권4에는 문(文)이 수록되어 있으며, 〈수성지(愁城志)〉는 저자의 대표작임.
1617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함양 , 문헌>서명
-
백호통(白虎通) - 백호통의(白虎通義)
중국 후한(後漢) 때 반고(班固)가 장제(章帝)의 명을 받들어 편찬한 경서(經書). 4권. 79년 장제의 명으로 여러 학자가 북궁(北宮) 백호전(白虎殿)에 모여 오경(五經)의 동이(同異)를 변정(辨正)하고 토론한 내용을 44편으로 수록함.
79 중국>후한 , 중국 , 문헌>서명
-
백호통덕론(白虎通德論) - 백호통의(白虎通義)
중국 후한(後漢) 때 반고(班固)가 장제(章帝)의 명을 받들어 편찬한 경서(經書). 4권. 79년 장제의 명으로 여러 학자가 북궁(北宮) 백호전(白虎殿)에 모여 오경(五經)의 동이(同異)를 변정(辨正)하고 토론한 내용을 44편으로 수록함.
79 중국>후한 , 중국 , 문헌>서명
-
백홍(伯洪) - 허변(許汴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양천(陽川). 허회(許淮)의 형으로, 김안국(金安國)의 《모재집(慕齋集)》에 그에 대해 지어준 자사(字辭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천 , 인명>문사>유학
-
백화(伯和) - 조균(趙鈞)@고려
고려 말의 유학. 김수(金隨)의 형인 김규(金糾)의 외손(外孫)이며 이색(李穡)이 지어 준 시(詩)가 《목은시고(牧隱詩稿)》에 전함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백화(白華) - 양백화(楊白花)
악부(樂府) 잡곡가사(雜曲歌辭)의 하나.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(北魏)의 명장(名將)인 양대안(楊大眼)의 아들 양화(楊華)를 추모하기 위해 선무영황후(宣武靈皇后)가 지은 노래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백화서원(白華書院) - 옥동서원(玉洞書院)@상주
조선 중종(中宗) 때 경상도 상주(尙州)에 건립한 서원. 처음 이름은 백화서원(白華書院)이었으나, 1789년(정조 13)에 옥동서원(玉洞書院)으로 사액되었고, 황효헌(黃孝獻)ㆍ황희(黃喜) 등을 배향함.
151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상주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백화헌(百花軒) - 이조년(李兆年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혜왕(忠惠王) 때의 문신. 농서군공(隴西郡公) 이장경(李長庚)의 아들로, 정당문학(政堂文學) 등을 지냄. 심양왕 고(瀋陽王暠)가 충숙왕(忠肅王)의 왕위 찬탈을 도모할 때 원 나라의 중서성(中書省)에 그 부당함을 상소하여 음모를 저지시킴.
1269~1343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