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백호관(白虎觀) - 백호전(白虎殿)
중국 장안(長安) 미앙궁(未央宮) 북쪽에 있던 전각 이름. 후한(後漢)의 장제(章帝)가 유학을 부흥시키기 위하여 이곳에 여러 유학자를 모아 오경(五經)을 연구하게 함.
중국>후한 , 중국 , 유적>건물>궁궐
-
백호집(白湖集) - 임백호집(林白湖集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시인ㆍ문신인 임제(林悌)의 문집. 4권 2책. 목판본. 동생 임권(林懽)이 수집한 유고를 종제(從弟) 임서(林㥠)가 간행함. 권1~3에는 시(詩), 권4에는 문(文)이 수록되어 있으며, 〈수성지(愁城志)〉는 저자의 대표작임.
1617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함양 , 문헌>서명
-
백호통(白虎通) - 백호통의(白虎通義)
중국 후한(後漢) 때 반고(班固)가 장제(章帝)의 명을 받들어 편찬한 경서(經書). 4권. 79년 장제의 명으로 여러 학자가 북궁(北宮) 백호전(白虎殿)에 모여 오경(五經)의 동이(同異)를 변정(辨正)하고 토론한 내용을 44편으로 수록함.
79 중국>후한 , 중국 , 문헌>서명
-
백호통덕론(白虎通德論) - 백호통의(白虎通義)
중국 후한(後漢) 때 반고(班固)가 장제(章帝)의 명을 받들어 편찬한 경서(經書). 4권. 79년 장제의 명으로 여러 학자가 북궁(北宮) 백호전(白虎殿)에 모여 오경(五經)의 동이(同異)를 변정(辨正)하고 토론한 내용을 44편으로 수록함.
79 중국>후한 , 중국 , 문헌>서명
-
백홍(伯洪) - 허변(許汴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양천(陽川). 허회(許淮)의 형으로, 김안국(金安國)의 《모재집(慕齋集)》에 그에 대해 지어준 자사(字辭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천 , 인명>문사>유학
-
백화(伯和) - 조균(趙鈞)@고려
고려 말의 유학. 김수(金隨)의 형인 김규(金糾)의 외손(外孫)이며 이색(李穡)이 지어 준 시(詩)가 《목은시고(牧隱詩稿)》에 전함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백화(白華) - 양백화(楊白花)
악부(樂府) 잡곡가사(雜曲歌辭)의 하나.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(北魏)의 명장(名將)인 양대안(楊大眼)의 아들 양화(楊華)를 추모하기 위해 선무영황후(宣武靈皇后)가 지은 노래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백화서원(白華書院) - 옥동서원(玉洞書院)@상주
조선 중종(中宗) 때 경상도 상주(尙州)에 건립한 서원. 처음 이름은 백화서원(白華書院)이었으나, 1789년(정조 13)에 옥동서원(玉洞書院)으로 사액되었고, 황효헌(黃孝獻)ㆍ황희(黃喜) 등을 배향함.
151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상주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백화헌(百花軒) - 이조년(李兆年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혜왕(忠惠王) 때의 문신. 농서군공(隴西郡公) 이장경(李長庚)의 아들로, 정당문학(政堂文學) 등을 지냄. 심양왕 고(瀋陽王暠)가 충숙왕(忠肅王)의 왕위 찬탈을 도모할 때 원 나라의 중서성(中書省)에 그 부당함을 상소하여 음모를 저지시킴.
1269~1343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백환(伯桓) - 한상환(韓尙桓)
고려 후기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한수(韓脩)의 맏아들로, 상의의정부사(商議議政府事) 등을 역임함. 간관(諫官)으로 있을 때 군대를 강하게 하고 식량을 풍족하게 하는 내용을 주장함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백환(百鍰) - 김백환(金百鍰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해평(海平). 돈용교위(敦勇校尉) 김맹겸(金孟謙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문사>유학
-
백회(伯淮) - 강굉(姜肱)
중국 후한(後漢) 영제(靈帝) 때의 은사(隱士). 동생 강중해(姜仲海)ㆍ강계강(姜季江)과 함께 효행(孝行)과 우애(友愛)로 이름이 남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효자ㅣ인명>기타인명>은자
-
백후(伯厚) - 김육(金堉)
조선 인조(仁祖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청풍(淸風). 대동법(大同法) 실시, 수차(水車)ㆍ수레 사용, 화폐 통용 등을 주장한 정치관료로서 실학사상에 영향을 주었으며, 영의정(領議政)을 지냄.
1580~1658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가평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백훈(伯勳) - 장문보(張文輔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천(順天). 풍기 군수(豊基郡守)ㆍ성균관 대사성(成均館大司成) 등을 지냄. 진주 목사(晉州牧使)가 되었을 때 혜정(惠政)을 베풀어 칭송이 높았음.
1516~156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백휴(伯休) - 한강(韓康)@후한
중국 후한(後漢)의 은자. 30여 년 동안 명산(名山)의 약초를 캐다가 장안(長安) 시장에서 늘 똑같은 값으로 팔면서 흥정을 허락하지 않았는데, 이름이 세간에 알려지자 패릉산(霸陵山)에 은거함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은자
-
백휴(伯睢) - 정인지(鄭麟趾)
조선 태종(太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ㆍ학자. 권우(權遇)의 문인. 예문관 대제학(藝文館大提學)ㆍ영의정(領議政) 등을 지내면서 문한(文翰)을 관장하고, 천문ㆍ역법ㆍ아악을 정리하는 등 문풍 육성과 제도 정비에 기여함.
1396~147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하동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백흠(伯欽) - 이광식(李光軾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우계(羽溪). 이지방(李之芳)의 아들이며 이감(李戡)의 아버지로, 전라도 병마절도사(全羅道兵馬節度使)ㆍ동지중추부사(同知中樞府事) 등을 역임함.
1493~? 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관인>무신
-
백희(伯喜) - 백비(伯嚭)
중국 춘추전국시대 오(吳) 나라의 태재(太宰). 월(越) 나라의 뇌물을 받고 오자서(伍子胥)를 모함하여 죽게 하였으나, 월 나라에 투항한 후 죽임을 당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백희(伯喜)@이수경 - 이수경(李首慶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이영부(李英符)의 아들로, 홍문관 교리(弘文館校理) 등을 지냄. 을사사화(乙巳士禍)에 연루되어 온성(穩城)에 유배되었다가 풀려난 후 고향에서 유유자적함.
1516~1561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백희(帛喜) - 백비(伯嚭)
중국 춘추전국시대 오(吳) 나라의 태재(太宰). 월(越) 나라의 뇌물을 받고 오자서(伍子胥)를 모함하여 죽게 하였으나, 월 나라에 투항한 후 죽임을 당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