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백희(白喜) - 백비(伯嚭)
중국 춘추전국시대 오(吳) 나라의 태재(太宰). 월(越) 나라의 뇌물을 받고 오자서(伍子胥)를 모함하여 죽게 하였으나, 월 나라에 투항한 후 죽임을 당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번(璠)@박번 - 박번(朴璠)
고려 후기의 유학. 본관은 함양(咸陽). 판삼사사(判三司事) 박충좌(朴忠佐)의 아들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문사>유학
-
번(璠) - 윤번(尹璠)
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윤승례(尹承禮)의 아들이며, 세조(世祖) 비 정희왕후(貞熹王后)의 아버지로, 판중추원사(判中樞院事) 등을 역임함.
1384~1448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번(璠)@김번 - 김번(金璠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관서지방에 전염병이 만연하자, 둔전책(屯田策)을 건의하고 군졸의 잡다한 세를 없애주어 백성의 주거를 편안하게 하였음.
1479~154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번(蕃)@1463 - 이번(李蕃)@1463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유학. 본관은 여주(驪州). 이언적(李彦迪)의 아버지로, 경주 교생(慶州校生)일 때 성종에게 글을 인정받아 궐내에 들어가 시부(詩賦)를 지어 바쳤으며, 진사시(進士試)에 합격하고 성균관 유생(成均館儒生)으로 수학함.
1463~150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문사>유학
-
번(蕃)@1470 - 이번(李蕃)@1470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덕산(德山). 이운달(李云達)의 아들로, 호조 참의(戶曹參議)ㆍ사간원 대사간(司諫院大司諫) 등을 지냄.
1470~152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번(蕃) - 정번(鄭蕃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1523(중종 18) 별과(別科)에 합격하였으나 가문이 한미하다 하여 제명됨. 이문학관(吏文學官)에 보직(補職)하면서 이어(吏語)와 중국 관제(官制)에 대한 주석서 《이문제서집람(吏文諸書輯覽)》의 편찬에 참여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번(蘩) - 유번(柳蘩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문화(文化)로, 유종인(柳宗仁)의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문사>유학
-
번국공(樊國公) - 단지현(段志玄)
중국 당(唐) 나라 고조(高祖)~태종(太宗) 때의 무신. 고조 이연(李淵)의 거병(擧兵)에 천여 명의 병사를 모집해 참여하고, 태종 이세민(李世民)을 도와 왕세충(王世充)을 토벌하는 등 당 나라 건국에 기여함.
?~642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번리초(藩籬草) - 무궁화(無窮花)
아욱과의 낙엽관목(落葉灌木). 꽃이 끊임없이 아침에 피었다가 저녁에 지는 데서 세속의 행복과 부귀영화의 덧없음을 상징하며, 산울타리 등에 널리 이용됨. 강희안(姜希顔)의 《양화소록(養花小錄)》에 ‘근역(槿域)’에 관한 기록이 있음.
자연물>식물
-
번백(樊伯) - 번수(樊須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학자. 공자(孔子)의 제자로, 공자에게 인(仁)과 농사 등에 관해 가르침을 받음.
B.C.505~?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번생(樊生) - 번영(樊英)
중국 후한(後漢) 순제(順帝) 때의 학자. 오경(五經)에 정통한 학자로서 순제에게 사부(師傅)의 대우를 받음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번서갱유(燔書阬儒) - 분서갱유(焚書坑儒)
중국 진(秦) 나라 때 시황제(始皇帝)가 천하의 서적을 불태우고 유생들을 생매장하여 죽인 사건. 가혹한 법과 혹독한 정치를 상징함.
B.C.213~B.C.212 중국>진 , 중국 , 사건>기타사건
-
번소구(樊素口) - 앵도번소구(櫻桃樊素口)
앵두 같은 번소(樊素)의 입술. 당(唐) 나라 시인 백거이(白居易)가 앵두를 자신의 가기(家妓) 중에 노래를 잘하는 번소의 입술에 비유하여 읊은 시에서 유래한 말로, 잘 익은 앵두를 뜻함.
중국>당 , 중국 , 사상>술어>고사성어
-
번수(樊首) - 번수(樊須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학자. 공자(孔子)의 제자로, 공자에게 인(仁)과 농사 등에 관해 가르침을 받음.
B.C.505~?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번암(樊巖) - 채제공(蔡濟恭)
조선 영조(英祖)~정조(正祖) 때의 문신. 오광운(吳光運)ㆍ강박(姜樸)의 문인. 남인(南人) 중 청남(淸南) 계열의 지도자로서 사도세자(思悼世子)를 옹호하고 탕평책(蕩平策)을 추진하는 등 영조와 정조에게 깊은 신임을 받았으며, 영의정 등을 지냄.
1720~1799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홍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번암상공(樊巖相公) - 채제공(蔡濟恭)
조선 영조(英祖)~정조(正祖) 때의 문신. 오광운(吳光運)ㆍ강박(姜樸)의 문인. 남인(南人) 중 청남(淸南) 계열의 지도자로서 사도세자(思悼世子)를 옹호하고 탕평책(蕩平策)을 추진하는 등 영조와 정조에게 깊은 신임을 받았으며, 영의정 등을 지냄.
1720~1799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홍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번옹(樊翁)@채제공 - 채제공(蔡濟恭)
조선 영조(英祖)~정조(正祖) 때의 문신. 오광운(吳光運)ㆍ강박(姜樸)의 문인. 남인(南人) 중 청남(淸南) 계열의 지도자로서 사도세자(思悼世子)를 옹호하고 탕평책(蕩平策)을 추진하는 등 영조와 정조에게 깊은 신임을 받았으며, 영의정 등을 지냄.
1720~1799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홍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번옹(樊翁) - 두목(杜牧)
중국 당(唐) 나라의 문신ㆍ시인. 강직한 성품으로 당 나라의 쇠운을 만회하려고 노력하였음. 산문과 시에 뛰어났으며, 특히 칠언절구(七言絶句)를 잘 했음.
803~853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번왕(藩王) - 왕고(王暠)
고려 충렬왕(忠烈王)의 손자. 충숙왕(忠肅王) 때 독로화(禿魯花)로서 원(元) 나라에 머무름. 충숙왕ㆍ충혜왕(忠惠王) 때 고려 왕위를 도모했으나 실패함.
?~1345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왕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