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법금(法琴) - 가야금(伽倻琴)
우리나라 대표적 고유 현악기(絃樂器)의 하나. 우륵(于勒)이 처음 만들었다고 하며, 오동나무 공명통(共鳴筒) 위에 열두 줄의 명주실을 매고 손가락으로 뜯어 연주함.
한국>가야 , 물품>기타용품>악기
-
법기보살(法起菩薩) - 담무갈(曇無竭)
금강산(金剛山)에 머물고 있다는 보살(菩薩). 금강산(金剛山)에서 2천명의 권속(眷屬)을 데리고 살며 금강경(金剛經)을 설법한다는 설화(說話)가 있어 금강산(金剛山) 1만 2천봉이라는 말이 나왔음.
고대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법륜사(法輪寺) - 청곡사(靑谷寺)
신라 헌강왕(憲康王) 때 도선(道詵)이 경상남도 진주(晉州) 금산면(琴山面)에 창건한 사찰. 해인사(海印寺)의 말사(末寺).
879 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진주 , 유적>건물>사찰
-
법림도승통(法林都僧統) - 의침(義砧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승려. 시승(詩僧)으로 두보(杜甫)의 시에 정통하였으며, 조위(曺偉)ㆍ유윤겸(柳允謙) 등과 함께 《분류두공부시(分類杜工部詩)》를 언해하여 편찬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법상유식종(法相唯識宗) - 법상종(法相宗)
중국 당(唐) 나라의 현장(玄奬)ㆍ규기(窺基)에 의해 성립한 유식사상(唯識思想) 계통의 불교종파. 존재의 공성(空性)보다도 현상을 세밀히 분석해 설명함. 우리나라는 통일신라시대의 태현(太賢)을 초조로 삼음.
중국>당 , 중국 , 사상>이론>교리
-
법세(法世) - 정범조(丁範祖)
조선 영조(英祖)~순조(純祖) 때의 문신ㆍ문인. 본관은 나주(羅州)로, 대사헌ㆍ형조 판서 등을 지냄. 시율과 문장에 뛰어나 사림의 모범으로 명성을 얻고, 문체반정(文體反正)에 주력하던 정조(正祖)에 의해 당대 문학의 1인자로 평가되어 오랫동안 문사의 임무를 맡음.
1723~1801 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원주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법승(法僧) - 법달(法達)
조선 전기의 승려. 선조(宣祖) 때의 문신인 양사언(楊士彦)ㆍ송인(宋寅) 등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법심(法深) - 축도잠(竺道潛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승려. 대장군 왕돈(王敦)의 아우로, 출가하여 유원정(劉元貞)을 스승으로 섬겼으며, 원제(元帝)와 명제(明帝) 등에게 중망을 받았고, 묘산(峁山)에서 입적함.
286~374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법운(法雲)@탁연 - 탁연(卓然)
고려 고종(高宗) 때의 승려. 순천(順天)의 조계산(曹溪山) 수선사(修禪寺)에 들어가 승려가 되었으며, 이제현(李齊賢) 등과 교유함. 필법(筆法)이 뛰어나 명성을 날렸으며, 최자(崔滋)가 중창한 백련사(白蓮社)의 현판(懸板)을 씀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순천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법운(法雲) - 진평왕(眞平王)
신라 제26대 왕. 재위 579~632. 진흥왕(眞興王)의 손자. 위화부(位和府)ㆍ예부(禮部) 등의 관청을 신설하여 내정의 충실을 도모하고 원광(圓光)ㆍ담육(曇育) 등 명승을 중국에 보내어 수도하게 하는 등 불교를 진흥시켰으며, 왕실 강화에 힘씀.
?~632 한국>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국왕
-
법유(法猷) - 법헌(法獻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승려. 시풍(始豊) 적성산(赤城山) 석실에서 선(禪)을 수행함. 최치원(崔致遠)의 진감화상비명(眞監和尙碑銘)에 기록이 있음.
423~497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법전(法典) - 경국대전(經國大典)
조선 세조(世祖) 때 편찬을 시작하여 성종(成宗) 때 완성된 조선시대 통치의 기본 법전. 조선 건국 전후부터 1484년(성종 15)에 이르기까지 약 100년간의 왕명ㆍ교지(敎旨)ㆍ조례(條例) 중 영구히 준수할 것을 모아 엮음. 6권 4책. 인본(印本).
1485 한국>조선전기 , 법제>법률ㅣ문헌>서명
-
법정(法正) - 정범조(丁範祖)
조선 영조(英祖)~순조(純祖) 때의 문신ㆍ문인. 본관은 나주(羅州)로, 대사헌ㆍ형조 판서 등을 지냄. 시율과 문장에 뛰어나 사림의 모범으로 명성을 얻고, 문체반정(文體反正)에 주력하던 정조(正祖)에 의해 당대 문학의 1인자로 평가되어 오랫동안 문사의 임무를 맡음.
1723~1801 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원주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법주(法柱) - 강종(康宗)
고려의 제22대 왕. 재위 1211~1213. 명종(明宗)의 맏아들. 1197년 부왕과 함께 최충헌(崔忠獻)에게 쫓겨 강화도로 갔다가, 희종(熙宗)을 폐한 최충헌에 의해 왕위에 오름.
1152~1213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국왕
-
법탐(法耽) - 가일(可逸)
고려 후기의 승려. 임춘(林椿)이 법명(法名)과 자(字)를 지어줌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법호(法護) - 왕순(王珣)@남북조(晉)
중국 남북조시대 동진(東晉)의 문신. 재학(才學)과 문장(文章)으로 효무제(孝武帝)의 총애를 받아 상서성(尙書省)의 고위직에 오름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법화^능엄(法華^楞嚴) - 능^법(楞^法)
불교 경전인 능엄경(楞嚴經)과 묘법연화경(妙法蓮華經)을 함께 부르는 말. 둘다 한국불교사상을 확립하는 데 큰 영향을 끼침.
문헌>기타문헌
-
법화경(法華經) - 묘법연화경(妙法蓮華經)
불교 대승경전(大乘經典)의 한 가지. 천태종(天台宗)의 근본 경전으로, 모든 경전 중에서 가장 존귀하게 여겨짐. 기원 전후에 서북 인도에서 만들어졌으며, 회삼귀일사상(會三歸一思想)을 주요 내용으로 28개의 품(品)으로 구성됨. 구마라습(鳩摩羅什)의 한역본이 가장 널리 보급됨.
고대 , 기타지역 , 문헌>서명
-
법환(法桓) - 충지(冲止)
고려 충렬왕(忠烈王) 때의 승려. 수선사(修禪社)의 제6세 사주(社主). 위호소(魏號紹)의 아들로, 원오국사(圓悟國師) 문하에서 선교일치(禪敎一致)의 종풍(宗風)을 계승하였으며, 유선일치(儒禪一致)의 사상조류를 수용함.
1226~1292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장흥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벽(壁)@송 - 이벽(李壁)@송
중국 송(宋) 나라 영종(寧宗) 때의 문신ㆍ문인. 문장(文章)이 뛰어나고 전장(典章)과 제도(制度)에 정통하였으며, 권신 한탁주(韓侂冑)를 추종하여 참지정사(參知政事) 등을 지냄.
1159~1222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