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가^단(軻^丹)
중국 춘추전국시대 연(燕) 나라의 태자단(太子丹)과 자객(刺客) 형가(荊軻)를 함께 부르는 말. 태자단(太子丹)이 형가(荊軻)를 시켜 시황(始皇)을 암살하려다 실패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가^동(賈^董)
중국 전한(前漢) 문제(文帝) 때의 문신ㆍ학자인 가의(賈誼)와, 경제(景帝)ㆍ무제(武帝) 때의 문신ㆍ유학자(儒學者)인 동중서(董仲舒)를 함께 부르는 말. 전한의 뛰어난 유학자를 가리킴.
중국>전한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가^목(稼^牧)
고려 후기의 학자인 가정(稼亭) 이곡(李穀)과 그의 아들인 목은(牧隱) 이색(李穡)을 함께 부르는 말. 부자(夫子)가 문장과 학문으로 명성을 떨침.
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한산 , 사상>술어>관용어
-
가^서(柯^徐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인 가한(柯翰)과 서원빙(徐元聘)을 함께 부르는 말. 주자학(朱子學)에 뛰어남.
중국>송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가^한(賈^韓)
중국 전한(前漢)의 학자인 가의(賈誼)와 춘추전국시대 한(韓) 나라의 학자인 한비(韓非)를 함께 부르는 말. 가의의 작품은 한비 등의 영향을 많이 받음.
중국>전한ㅣ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가공암(架空菴)
황해도 해주 석담(石潭)의 고산구곡(高山九曲)에 지어진 암자. 1571년(선조 4)에 이이(李珥)가 갈공사(葛公寺)에서 고친 이름. 1699년(숙종 25)에 이희조(李喜朝)에 의해 중창됨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해주 , 유적>건물>사찰
-
가규(賈逵)
중국 후한(後漢) 때의 유학자. 유흠(劉歆)에게 배웠으며,《좌씨전(左氏傳)》 및 오경(五經)에 해박하고 《경전의고(經傳義詁)》를 저술하는 등 통유(通儒)로 일컬어짐.
30~101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가도(賈島)
중국 당(唐) 나라 헌종(憲宗)~무종(武宗) 때의 시인. 처음에 중이 되었다가 뒤에 환속(還俗)하였음. 벼슬은 장강 주부(長江主簿)에 이르렀고, 시집으로는 《가장강집(賈長江集)》이 있음.
779~843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가등청정(加藤淸正)
일본 도산시대(桃山時代)~강호시대(江戶時代)의 무장(武將). 풍신수길(豊臣秀吉)과 덕천가강(德川家康)을 도와 일본 전국 통일에 기여함. 독실한 불교신자여서 기독교 박해에도 주도적인 역할을 함.
1562~1611 일본>강호시대ㅣ일본>도산시대 , 일본 , 인명>관인>무신
-
가락국기(駕洛國記)
고려 문종 때 편찬된 가야(伽倻)에 관한 역사책. 김양감(金良監)이 편찬했다고 추정됨. 가야에 대한 현전(現傳)하는 유일한 문헌사료.
한국>고려전기 , 문헌>서명
-
가례(家禮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인 주희(朱熹)가 유가(儒家)의 예법 의장(禮法儀章)에 관하여 상술한 책. 8권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가례보주(家禮補註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인 한교(韓嶠)가 《가례(家禮)》에 관하여 저술한 책.
한국>조선시대 , 문헌>서명
-
가례언해(家禮諺解)
조선 광해군(光海君)때 신식(申湜)이 주희(朱熹)가 지은《가례(家禮)》를 번역한 책. 1632년(인조 10)에 아들 신득연(申得淵)이 간행함.
1632 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원주 , 문헌>서명
-
가례원류(家禮源流)
조선 현종(顯宗) 때 유계(兪棨)가《가례(家禮)》에 관한 주석과 사례를 분류 정리한 책. 숙종(肅宗) 때 책의 발간과 관련하여 노론과 소론의 갈등이 심화되는 요인이 되기도 함.
1714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용담 , 문헌>서명
-
가례의절(家禮儀節)
중국 명(明) 나라의 유학자인 구준(丘濬)이 편찬한 책. 주희(朱憙)의 《가례(家禮)》에 대한 해설서.
중국>명 , 중국 , 문헌>서명
-
가례잡설부주(家禮雜說附注)
중국 송(宋) 나라 학자였던 양복(楊復)이 《가례(家禮)》에 대해 주해를 붙힌 책. 2권으로 구성됨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가례집고(家禮集考)
조선 영조(英祖) 때 김종후(金鐘厚)가 《가례(家禮)》를 본문으로 삼고, 삼례(三禮:儀禮ㆍ周禮ㆍ禮記)와 경전 및 여러 서적에서 가례와 관계되는 사항을 모아 놓은 책. 1801년(순조 1)에 제자 임육(任焴)이 간행함.
1801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가례집람(家禮輯覽)
조선 후기 학자인 김장생(金長生)이 《가례(家禮)》를 증보 해설한 책. 김장생이 생전에 《가례(家禮)》에 관한 여러 사람들의 설을 엮어 놓았던 것을 1685년(숙종 11에 간행한 책으로, 11권 6책이며 목판본이다.
1685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가례집설(家禮集說)
중국 명(明) 나라의 유학자인 풍선(馮善)이 편찬한 책. 5권.
중국>명 , 중국 , 문헌>서명
-
가례집해(家禮輯解)
조선 후기 학자 유치명(柳致明)이 지은 가례(家禮)에 관한 책. 그의 문집인《정재집(定齋集)》에 서문이 있음.
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