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벽도(碧桃) - 벽도향(碧桃香)
조선 전기의 기생. 《지천집(芝川集)》에 황정욱(黃廷彧)과 양주(楊州)의 공암(孔巖)으로 뱃놀이를 간 내용이 보임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기술인>기생
-
벽동부수(碧潼副守) - 이기(李琦)
조선 전기의 종친. 정종(定宗)의 5세손이며, 함라수(咸羅守) 이효원(李孝元)의 셋째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벽량(碧梁) - 유응부(兪應孚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기계(杞溪). 단종(端宗)을 위하여 사절(死節)한 사육신(死六臣)의 한 사람. 무신이면서도 유학에 뜻이 깊고, 절개(節介)ㆍ충의(忠義)의 상징으로 추앙받음.
?~1456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포천 , 인명>관인>무신
-
벽봉(璧峯) - 성규(性圭)
고려 후기의 승려. 원천석(元天錫)의 《운곡행록(耘谷行錄)》에 〈제벽봉성규중덕권(題璧峯性圭中德卷)〉이라는 시(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벽비리국(僻卑離國) - 김제(金堤)
전라북도 서쪽 중앙에 있는 고을 이름. 김제와 만경평야를 끼고 있는 제1의 곡창지대로 삼한(三韓)시대부터 한국 농경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함.
전라도>김제 , 지명>행정지명
-
벽사(甓寺) - 신륵사(神勒寺)
경기도 여주(驪州) 북내면(北內面)의 봉미산(鳳尾山)에 있는 사찰. 신라 진평왕(眞平王) 때 원효(元曉)가 창건하였다고 전해지며, 조선 성종(成宗)때 영릉(英陵)의 원찰(願刹)이 되면서 보은사(報恩寺)로 불림.
한국>신라 , 경기도>여주 , 유적>건물>사찰
-
벽사(甓社) - 신륵사(神勒寺)
경기도 여주(驪州) 북내면(北內面)의 봉미산(鳳尾山)에 있는 사찰. 신라 진평왕(眞平王) 때 원효(元曉)가 창건하였다고 전해지며, 조선 성종(成宗)때 영릉(英陵)의 원찰(願刹)이 되면서 보은사(報恩寺)로 불림.
한국>신라 , 경기도>여주 , 유적>건물>사찰
-
벽사(碧沙) - 남효온(南孝溫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학자. 생육신(生六臣)의 한 사람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으로 김굉필(金宏弼)ㆍ정여창(鄭汝昌) 등과 함께 수학함.
1454~149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문사>학자
-
벽산(碧山) - 김시습(金時習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학자ㆍ문인. 본관은 강릉(江陵). 생육신(生六臣)의 한 사람으로 한문소설 《금오신화(金鰲新話)》를 지음. 주기론적(主氣論的) 입장에서 불교와 도교를 비판, 흡수하여 자신의 철학을 완성시킴.
1435~1493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부여ㅣ경상도>경주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문사>문인
-
벽산(碧山)@임제 - 임제(林悌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시인ㆍ문신. 성운(成運)의 문인으로, 예조 정랑(禮曹正郞)ㆍ지제교(知製敎)를 지냄. 동서(東西)의 당파싸움을 개탄(慨歎)하여 벼슬을 버리고 명산을 유람하며 문장가로 명성을 떨침.
1549~1587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벽산청은(碧山淸隱) - 김시습(金時習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학자ㆍ문인. 본관은 강릉(江陵). 생육신(生六臣)의 한 사람으로 한문소설 《금오신화(金鰲新話)》를 지음. 주기론적(主氣論的) 입장에서 불교와 도교를 비판, 흡수하여 자신의 철학을 완성시킴.
1435~1493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부여ㅣ경상도>경주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문사>문인
-
벽상삼중대광아부공신(壁上三重大匡亞父功臣) - 아부공신(亞父功臣)
고려 태조(太祖) 13년에 태조를 도와 고창(古昌) 전투에서 공을 세운 안동(安東)의 호족인 김선평(金宣平)ㆍ권행(權幸)ㆍ장길(張吉)에게 내린 공신 칭호.
930 한국>고려전기 , 법제>제도
-
벽서옥(壁書獄) - 정미사화(丁未士禍)
조선 명종(明宗) 2년에 을사사화(乙巳士禍)의 여파로 일어난 사화. 문정왕후(文定王后)와 이기(李芑) 등을 비난하는 전라도 양재역(良才驛)의 벽서(壁書)가 발단이 됨.
1547 한국>조선전기 , 사건>사화
-
벽서지변(壁書之變) - 정미사화(丁未士禍)
조선 명종(明宗) 2년에 을사사화(乙巳士禍)의 여파로 일어난 사화. 문정왕후(文定王后)와 이기(李芑) 등을 비난하는 전라도 양재역(良才驛)의 벽서(壁書)가 발단이 됨.
1547 한국>조선전기 , 사건>사화
-
벽서지옥(壁書之獄) - 정미사화(丁未士禍)
조선 명종(明宗) 2년에 을사사화(乙巳士禍)의 여파로 일어난 사화. 문정왕후(文定王后)와 이기(李芑) 등을 비난하는 전라도 양재역(良才驛)의 벽서(壁書)가 발단이 됨.
1547 한국>조선전기 , 사건>사화
-
벽서지화(壁書之禍) - 정미사화(丁未士禍)
조선 명종(明宗) 2년에 을사사화(乙巳士禍)의 여파로 일어난 사화. 문정왕후(文定王后)와 이기(李芑) 등을 비난하는 전라도 양재역(良才驛)의 벽서(壁書)가 발단이 됨.
1547 한국>조선전기 , 사건>사화
-
벽성(璧星) - 벽성(壁星)
이십팔수(二十八宿) 가운데 열넷째 별자리에 있는 별들. 문서(文書)를 주관하는 별로서 문장(文章)을 주관하는 규성(奎星)과 함께 문운(文運)을 관장하는 별로 알려짐.
자연물>천체
-
벽성(碧城)@해주 - 해주(海州)
황해도 남서쪽에 위치한 고을 이름. 예로부터 중국과의 교통 요충지의 하나임.
황해도>해주 , 지명>행정지명
-
벽성(碧城) - 김제(金堤)
전라북도 서쪽 중앙에 있는 고을 이름. 김제와 만경평야를 끼고 있는 제1의 곡창지대로 삼한(三韓)시대부터 한국 농경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함.
전라도>김제 , 지명>행정지명
-
벽송거사(碧松居士) - 윤위(尹威)
고려 명종(明宗)~희종(熙宗) 때의 문신. 윤관(尹瓘)의 증손이며, 남원윤씨(南原尹氏)의 시조로, 신종(神宗) 때 남원에서 반란을 일으킨 복기남(卜奇男)을 평정하고 남원백(南原伯)에 봉해졌으며, 서경 유수(西京留守) 등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