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벽옹문선왕전(壁雍文宣王殿) - 대성전(大成殿)
문묘(文廟)의 정전(正殿)에 해당하는, 공자(孔子)의 위패(位牌)를 모시는 전각(殿閣). 공자를 중앙에 모시고 안자(顔子)ㆍ증자(曾子)ㆍ자사(子思)ㆍ맹자(孟子) 등 네 성인(聖人)을 좌우에 모셔 합사(合祀)함.
유적>건물>사당
-
벽은(碧隱) - 유구(柳玽)@고려후기
고려 말의 충신. 조선의 개창에 반대해 두문동(杜門洞)에서 끝까지 고려에 충성을 바치며 지조를 지킨 72명의 고려 유신(遺臣) 가운데 한 사람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관인>문신
-
벽은(薜隱) - 정종명(鄭宗溟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일(延日). 문인ㆍ문신인 정철(鄭澈)의 아들로, 선조 재위 시 아버지의 죄를 추론받아 삭출되었다가 인조 즉위 후 관직이 복구되어 강릉 부사(江陵府使)를 지냄.
1565~162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영일 , 인명>관인>문신
-
벽정(碧亭) - 벽파정(碧波亭)@진도
전라도 진도(珍島)에 있는 누정. 임진왜란 때 이순신(李舜臣)이 명량대첩(鳴梁大捷)을 거둔 곳으로 유명하고, 진도에서 귀양살이한 노수신(盧守愼)이 시(詩) 여러 수를 남김.
전라도>진도 , 유적>건물>누정
-
벽진(碧珍) - 성주(星州)
경상북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.
경상도>성주 , 지명>행정지명
-
벽진가야국신안(碧珍伽倻國新安) - 성주(星州)
경상북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.
경상도>성주 , 지명>행정지명
-
벽진서원(碧津書院) - 의열사(義烈祠)@광산
조선 선조(宣祖) 때 전라도 광산(光山)에 건립한 사우. 1681년(숙종 7) 사액되었으며, 박광옥(朴光玉)ㆍ김덕령(金德齡)ㆍ오두인(吳斗寅)ㆍ김덕홍(金德弘)ㆍ김덕보(金德普) 등을 배향함.
1604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광산 , 유적>건물>사당
-
벽천(碧泉) - 의천(義天)@조선
조선시대의 승려. 시(詩)와 초서(草書)에 능하였으며, 휴정(休靜)ㆍ유정(惟政)과 교유함.
한국>조선시대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변(忭)@이변 - 전성군(全城君)
조선 제11대 성종(成宗)의 열한 번째 서자. 귀인권씨(貴人權氏)의 소생으로, 어려서 죽어 소생이 없으므로 익양군(益陽君) 이회(李懷)의 아들인 광천군(廣川君) 이수기(李壽麒)가 후사를 이음.
1490~150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자
-
변(忭)@윤변 - 윤변(尹忭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윤두수(尹斗壽)의 아버지이며, 조광조(趙光祖)의 문인(門人)으로,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조광조의 무죄를 호소함. 삼척 부사(三陟府使) 등을 지냄.
1493~154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변(忭)@오변 - 오변(吳忭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어의(御醫). 선조의 명을 받고 고봉(高峯) 기대승(奇大升)의 진료를 위해 가던 중 고봉이 별세하여 임무를 완수하지 못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기술인>의원
-
변(忭) - 구변(具忭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능성(綾城). 이조 좌랑(吏曹佐郞)으로 춘추관 기사관(春秋館記事官)이 되어 《명종실록(明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함.
1529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변(忭)@남변 - 남변(南忭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의령(宜寧). 형조 정랑(刑曹正郞)을 지낸 남이(南儞)의 아들.
1454~1499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변(抃) - 이변(李抃)
조선 전기의 종친. 우산군(牛山君) 이종(李踵)의 아들로, 갑자사화(甲子士禍)에 연루되어 아버지를 비롯하여 여섯 형제가 모두 사사되었으나, 중종반정(中宗反正)으로 신원됨.
?~1506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변(抃)@민변 - 민변(閔抃)
고려 충혜왕(忠惠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진현관 대제학(進賢館大提學)을 지낸 민적(閔頔)의 아들이며, 급암(及菴) 민사평(閔思平)의 동생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변(抃)@신변 - 신변(申抃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평산(平山). 병조 좌랑(兵曹佐郞)이 되었을 때 기묘사화(己卯士禍)로 파직되고, 동생 신철(申哲)이 신사무옥(辛巳誣獄)에 연루되었을 때 누명을 쓰고 처형당함.
1470~1521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지평 , 인명>관인>문신
-
변(汴) - 김변(金汴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경주(慶州)로, 부사직(副司直)을 지낸 김세광(金世光)의 아들. 1535년(중종 30) 급제하여 훈련 참군(訓鍊參軍)ㆍ서산 군수(瑞山郡守) 등을 지냄.
1501~157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무신
-
변(汴)@허변 - 허변(許汴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양천(陽川). 허회(許淮)의 형으로, 김안국(金安國)의 《모재집(慕齋集)》에 그에 대해 지어준 자사(字辭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천 , 인명>문사>유학
-
변(汴)@윤변 - 윤변(尹汴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무송(茂松). 윤강(尹江)의 아들이며, 방헌(庬軒) 윤자영(尹子濚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무장 , 인명>문사>유학
-
변(賆) - 김변(金賆)
고려 충렬왕(忠烈王) 때의 문신. 충렬왕이 세자로 원(元) 나라에 있을 때 예부 낭중(禮部郞中)으로 4년간 보좌하여 이등공신(二等功臣)에 녹훈됨.
1248~1301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언양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