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벽송당(碧松堂) - 지엄(智嚴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승려. 1491년(성종 22) 여진(女眞)을 토벌하는 데 공을 세웠고, 출가하여 불도를 닦아 불교계의 종사(宗師)가 됨. 문인 영관(靈觀)ㆍ원오(圓悟) 등에게 대승경론(大乘經論) 등을 강의하였음.
1464~1534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부안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벽암(碧巖) - 원오(圜悟)
중국 송(宋) 나라 신종(神宗)~고종(高宗) 때의 임제종(臨濟宗)의 승려. 종고(宗杲)에게 법을 전수함. 저서에 《벽암록(碧巖錄)》이 있음.
1063~1135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벽양상(辟陽相) - 심이기(審食其)
중국 한(漢) 나라 혜제(惠帝) 때의 문신. 여후(呂后)가 정권을 장악하자 총애를 받아 당시 정권을 독단함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벽양후(辟陽侯) - 심이기(審食其)
중국 한(漢) 나라 혜제(惠帝) 때의 문신. 여후(呂后)가 정권을 장악하자 총애를 받아 당시 정권을 독단함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벽오(碧梧) - 이문량(李文樑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영천(永川). 이현보(李賢輔)의 아들로, 음직(蔭職)으로 평릉도 찰방(平陵道察訪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이웃에 살던 이황(李滉)과 가깝게 지내며 시를 읊고 학문을 토론함.
1498~158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벽오(碧梧)@정선 - 정선(丁璿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영광(靈光). 정세명(丁世明)의 아들로 교감(校勘)을 지냄. 을사사화(乙巳士禍) 때 유배되고, 이후 향리로 퇴거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영광 , 인명>관인>문신
-
벽오(碧梧)@이시발 - 이시발(李時發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임진왜란 때 접반관(接伴官) 등으로 활약하고. 광해군(光海君) 때 인목대비(仁穆大妃) 폐비론에 반대함. 인조반정 후 이괄(李适)의 난을 수습하는 데 공을 세우고 형조 판서 등을 지냄.
1569~1626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벽오당(碧梧堂) - 정선(丁璿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영광(靈光). 정세명(丁世明)의 아들로 교감(校勘)을 지냄. 을사사화(乙巳士禍) 때 유배되고, 이후 향리로 퇴거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영광 , 인명>관인>문신
-
벽오선생유고(碧梧先生遺稿) - 벽오유고(碧梧遺稿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인 이시발(李時發)의 문집. 8권 4책. 저자의 시문 및 남구만(南九萬)이 지은 시장(諡狀), 송시열(宋時烈)이 지은 신도비명(神道碑銘) 등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벽오헌(碧梧軒) - 이문량(李文樑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영천(永川). 이현보(李賢輔)의 아들로, 음직(蔭職)으로 평릉도 찰방(平陵道察訪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이웃에 살던 이황(李滉)과 가깝게 지내며 시를 읊고 학문을 토론함.
1498~158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벽온방(辟瘟方) - 간이벽온방(簡易辟瘟方)
조선 중종(中宗) 20년에 의관 김순몽(金順蒙)ㆍ유영정(劉永貞)ㆍ박세거(朴世擧) 등이 왕명에 의해 온역(瘟疫)의 치료에 필요한 방문(方文)을 모아 엮은 의서(醫書). 1권 1책. 활자본.
1525 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벽옹문선왕전(壁雍文宣王殿) - 대성전(大成殿)
문묘(文廟)의 정전(正殿)에 해당하는, 공자(孔子)의 위패(位牌)를 모시는 전각(殿閣). 공자를 중앙에 모시고 안자(顔子)ㆍ증자(曾子)ㆍ자사(子思)ㆍ맹자(孟子) 등 네 성인(聖人)을 좌우에 모셔 합사(合祀)함.
유적>건물>사당
-
벽은(碧隱) - 유구(柳玽)@고려후기
고려 말의 충신. 조선의 개창에 반대해 두문동(杜門洞)에서 끝까지 고려에 충성을 바치며 지조를 지킨 72명의 고려 유신(遺臣) 가운데 한 사람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관인>문신
-
벽은(薜隱) - 정종명(鄭宗溟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일(延日). 문인ㆍ문신인 정철(鄭澈)의 아들로, 선조 재위 시 아버지의 죄를 추론받아 삭출되었다가 인조 즉위 후 관직이 복구되어 강릉 부사(江陵府使)를 지냄.
1565~162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영일 , 인명>관인>문신
-
벽정(碧亭) - 벽파정(碧波亭)@진도
전라도 진도(珍島)에 있는 누정. 임진왜란 때 이순신(李舜臣)이 명량대첩(鳴梁大捷)을 거둔 곳으로 유명하고, 진도에서 귀양살이한 노수신(盧守愼)이 시(詩) 여러 수를 남김.
전라도>진도 , 유적>건물>누정
-
벽진(碧珍) - 성주(星州)
경상북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.
경상도>성주 , 지명>행정지명
-
벽진가야국신안(碧珍伽倻國新安) - 성주(星州)
경상북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.
경상도>성주 , 지명>행정지명
-
벽진서원(碧津書院) - 의열사(義烈祠)@광산
조선 선조(宣祖) 때 전라도 광산(光山)에 건립한 사우. 1681년(숙종 7) 사액되었으며, 박광옥(朴光玉)ㆍ김덕령(金德齡)ㆍ오두인(吳斗寅)ㆍ김덕홍(金德弘)ㆍ김덕보(金德普) 등을 배향함.
1604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광산 , 유적>건물>사당
-
벽천(碧泉) - 의천(義天)@조선
조선시대의 승려. 시(詩)와 초서(草書)에 능하였으며, 휴정(休靜)ㆍ유정(惟政)과 교유함.
한국>조선시대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변(忭)@이변 - 전성군(全城君)
조선 제11대 성종(成宗)의 열한 번째 서자. 귀인권씨(貴人權氏)의 소생으로, 어려서 죽어 소생이 없으므로 익양군(益陽君) 이회(李懷)의 아들인 광천군(廣川君) 이수기(李壽麒)가 후사를 이음.
1490~150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