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변산(卞山) - 변산(邊山)
전라북도 부안(扶安)에 있는 산 이름. 뛰어난 경관을 이루고 있어 일찍이 한국 팔경(八景)의 하나로 꼽혀왔으며, 산이면서 바다와 직접 닿아 있는 것이 특징임.
전라도>부안 , 지명>자연지명
-
변성양(卞成陽) - 변곤(卞壼)
중국 남북조시대 서진(西晉)의 충신. 상서령(尙書令) 등을 지냈으며, 소준(蘇峻)의 난 때 반란군과 싸우다 두 아들 변진(卞眕)ㆍ변우(卞盱)와 함께 죽은 ‘변문충효(卞門忠孝)’의 고사가 전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변숭복(邊崇福) - 변사(邊涘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모반자. 정여립(鄭汝立)과 모반하여 기축옥사(己丑獄死)를 일으켰으나 동모자의 고변으로 사실이 발각되어 토포군에게 포위되자 정여립과 함께 자결함.
?~1589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안악 , 인명>기타인명>역적
-
변암(弁巖) - 원천석(元天錫)
고려 말~조선 초의 은사(隱士). 본관은 원주(原州)로, 두문동(杜門洞) 72현의 한 사람. 태종(太宗)이 즉위하여 불렀으나 응하지 않았으며, 태종이 그의 집을 찾아가도 산속으로 피하여 은둔함.
1330~?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원주 , 인명>기타인명>은자
-
변암초수(弁巖樵叟) - 원천석(元天錫)
고려 말~조선 초의 은사(隱士). 본관은 원주(原州)로, 두문동(杜門洞) 72현의 한 사람. 태종(太宗)이 즉위하여 불렀으나 응하지 않았으며, 태종이 그의 집을 찾아가도 산속으로 피하여 은둔함.
1330~?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원주 , 인명>기타인명>은자
-
변옹(變雍) - 조변옹(曺變雍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성리학자 조한보(曺漢輔)의 아버지로, 사용(司勇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무신
-
변중정(邊仲靜) - 변이녕(邊以寧)
조선 전기의 유학. 권문해(權文海)의 《초간집(草澗集)》에 그에 대한 만사(輓詞)가 수록되어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변진(弁辰) - 변한(弁韓)
삼한(三韓)의 하나. 기원전부터 기원후 4세기경까지 지금의 경상도 지역에 분포한 여러 정치집단 가운데 가야연맹체(伽倻聯盟體)의 모태가 된 세력들의 통칭(統稱).
고대 , 경상도>창원ㅣ경상도>김해 , 시간>국명
-
변춘정(卞春亭) - 변계량(卞季良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이색(李穡)ㆍ권근(權近)ㆍ정몽주(鄭夢周)의 문인으로, 조선 초기 관인문학의 대표적인 인물이며, 주로 조선 건국을 찬양하는 글을 씀. 오랜 기간 대제학(大提學)을 맡아 외교문서를 작성하여 명문장가로 이름을 떨침.
1369~1430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변한(卞韓) - 변한(弁韓)
삼한(三韓)의 하나. 기원전부터 기원후 4세기경까지 지금의 경상도 지역에 분포한 여러 정치집단 가운데 가야연맹체(伽倻聯盟體)의 모태가 된 세력들의 통칭(統稱).
고대 , 경상도>창원ㅣ경상도>김해 , 시간>국명
-
변한공(卞韓公) - 성녕대군(誠寧大君)
조선 제3대 태종(太宗)의 넷째 아들. 어머니는 원경왕후(元敬王后)로,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용모가 단정하여 태종의 특별한 총애를 받아 대광보국(大匡輔國)의 위계까지 올랐으나 14살 때 홍역으로 요절함.
1405~141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자
-
변한국공(卞韓國公) - 성녕대군(誠寧大君)
조선 제3대 태종(太宗)의 넷째 아들. 어머니는 원경왕후(元敬王后)로,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용모가 단정하여 태종의 특별한 총애를 받아 대광보국(大匡輔國)의 위계까지 올랐으나 14살 때 홍역으로 요절함.
1405~141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자
-
변한소경공(卞韓昭頃公) - 성녕대군(誠寧大君)
조선 제3대 태종(太宗)의 넷째 아들. 어머니는 원경왕후(元敬王后)로,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용모가 단정하여 태종의 특별한 총애를 받아 대광보국(大匡輔國)의 위계까지 올랐으나 14살 때 홍역으로 요절함.
1405~141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자
-
변한후(卞韓侯) - 왕음(王愔)
고려 제11대 문종(文宗)의 아들. 어머니는 인예태후(仁睿太后) 이씨(李氏)이며, 순종(順宗)ㆍ선종(宣宗)ㆍ숙종(肅宗)ㆍ대각국사(大覺國師)의 동생.
?~1086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왕자
-
별(鱉) - 이별(李鱉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경주(慶州). 1513년(중종 8)에 식년시(式年試)에 입격했으며, 우정(憂亭) 김극성(金克成)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문사>유학
-
별(鼈) - 권별(權鼈)
조선 후기의 학자. 본관은 예천(禮泉)으로, 사간(司諫)을 지낸 권문해(權文海)의 아들. 왕실의 사적(事蹟)과 인물열전(人物列傳)을 집대성한 《해동잡록(海東雜錄)》을 편술함.
1589~1671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예천 , 인명>문사>학자
-
별(鼈)@이별 - 이별(李鼈)
조선 연산군(燕山君) 때의 유학. 본관은 경주(慶州). 이공린(李公麟)의 아들로, 갑자사화(甲子士禍) 때 형 이원(李黿)이 처형되자 황해도 평산(平山)으로 낙향하여 은거함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평산 , 인명>문사>유학
-
별동(別洞) - 윤상(尹祥)
조선 태조(太祖)~단종(端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정몽주(鄭夢周)의 문인(門人)인 조용(趙庸)에게 수학하였으며, 세종(世宗) 때 예문관 제학(藝文館提學)으로 세손(世孫)이던 단종을 가르침. 경학(經學)에 밝고 문장에도 매우 능하였으며 후진양성에 힘씀.
1373~145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천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별유(別宥) - 노직(盧稙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교하(交河)로, 남평 현감(南平縣監) 노홍우(盧弘祐)의 아들. 호조 판서(戶曹判書)ㆍ예조 판서(禮曹判書)ㆍ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를 지내고, 이원익(李元翼)ㆍ유성룡(柳成龍)ㆍ강서(姜緖) 등과 친교(親交)함.
1536~1587 한국>조선전기 , 서울ㅣ경기도>교하 , 인명>관인>문신
-
병(昞) - 엄병(嚴昞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영월(寧越). 십성당(十省堂) 엄흔(嚴昕)의 아우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