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병(柄) - 임병(任柄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천(豊川). 1524년(중종 19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홍문관 박사(弘文館博士)ㆍ이조 좌랑(吏曹佐郞) 등을 지내고, 글씨에도 뛰어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병경(秉卿) - 이균(李勻)@조선전기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철성(鐵城). 청도 군수(淸道郡守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철원 , 인명>관인>문신
-
병계(屛溪) - 윤봉구(尹鳳九)
조선 숙종(肅宗)~영조(英祖) 때의 문신ㆍ학자. 권상하(權尙夏)의 문인(門人). ‘강문팔학사(江門八學士)’의 한 사람으로, 호락논쟁(湖洛論爭)에서 호론(湖論)을 주장한 중심인물이며, 공조 판서 등을 역임함.
1681~1767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병균(秉鈞) - 박병균(朴秉鈞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반남(潘南). 좌의정을 지낸 박은(朴訔)의 손자이며, 형조 참판을 지낸 박규(朴葵)의 아들. 음보(蔭補)로 관직에 올라 사온서 령(司醞署令)ㆍ홍주 판관(洪州判官) 등을 지냄. 소고(嘯皐) 박승임(朴承任)의 증조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병기(秉璣) - 권병기(權秉璣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예조 참의(禮曹參議)를 지낸 권보(權堡)의 아들. 서거정(徐居正)ㆍ성삼문(成三問) 등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병단(邴丹) - 병만용(邴曼容)
중국 전한(前漢) 애제(哀帝) 때의 문신. 청렴하고 검소하여 녹(祿)이 육백 석을 넘기 전에 벼슬에서 물러났다고 함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병담(屛潭) - 심귀령(沈龜齡)
조선 태조(太祖)~태종(太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풍산(豊山). 제2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(李芳遠)을 도와 좌명공신(佐命功臣)에 봉해졌으며, 판공안부사(判恭安府事)를 역임함.
1349~141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병록(丙鹿) - 고려(高麗)
왕건(王建)이 태봉(泰封)의 궁예(弓裔)를 추방하고 개성(開城)에 도읍하여 세운 나라. 태조(太祖)에서 공양왕(恭讓王)까지 34대 475년간 존속.
918~1392 한국>고려시대 , 시간>국명
-
병만(邴曼) - 병만용(邴曼容)
중국 전한(前漢) 애제(哀帝) 때의 문신. 청렴하고 검소하여 녹(祿)이 육백 석을 넘기 전에 벼슬에서 물러났다고 함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병문(炳文) - 호병문(胡炳文)
중국 원(元) 나라의 학자. 《주역(周易)》에 정통하고, 주희(朱熹)의 학문을 깊이 연구하였으며, 저서에 《주역본의통석(周易本義通釋)》ㆍ《사서통(四書通)》ㆍ《운봉집(雲峰集)》이 있음.
1250~1333? 중국>원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병백당(病柏堂) - 박운(朴蕓)
조선 인종(仁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양(咸陽). 퇴계(退溪) 이황(李滉)의 제자로, 사마시(司馬試)에 입격하였으며, 여러 차례 벼슬에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음.
1535~160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예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병보(屛甫) - 이계전(李季甸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한산(韓山). 이색(李穡)의 손자로, 《세종실록(世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하였으며, 계유정난(癸酉靖難)에 참여하여 정난공신(靖難功臣)과 좌익공신(佐翼功臣)에 책록됨.
1404~1459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한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병사봉(兵使峰) - 장군봉(將軍峰)
함경도(咸鏡道)에 위치한 백두산(白頭山)의 최고봉(最高峰). 영조(英祖) 때 함경도 절도사(咸鏡道節度使) 윤광신(尹光莘)이 백두산에 올라가 천지(天池)에서 창을 들고 춤을 추었다 하여 이름함.
한국>조선후기 , 함경도>갑산 , 지명>자연지명
-
병산(屛山)@웅천 - 웅천(熊川)
경상남도 남부에 있었던 옛 고을 이름. 조선시대에 제포(薺浦)와 왜관(倭館)을 통하여 대일(對日) 무역이 활발히 이루어짐. 현재는 경상남도 진해시(鎭海市)ㆍ창원시(昌原市) 등에 편입됨.
경상도>웅천 , 지명>행정지명
-
병산(屛山)@구병산 - 구병산(九屛山)
충청북도 보은군(報恩郡) 내속리면(內俗離面)과 마로면(馬老面) 경계에 있는 산 이름. 보은 지방에서는 속리산(俗離山)의 천황봉(天皇峰), 금적산(金積山)과 함께 삼산(三山)이라 일컬어짐.
충청도>보은 , 지명>자연지명
-
병산(屛山)@유자우 - 유자우(劉子羽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. 정강지변(靖康之變) 때 자결한 유갑(劉韐)의 아들로, 진강지부(鎭江知府)ㆍ참의사(參議事) 등을 지냈음. 주희(朱熹)의 스승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병산(屛山)@유자휘 - 유자휘(劉子翬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주희(朱熹)의 스승으로, 저서에는 《병산집(屛山集)》이 있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병산(屛山) - 비안(比安)
경상도 의성(義城)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.
경상도>비안 , 지명>행정지명
-
병산(幷山) - 비안(比安)
경상도 의성(義城)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.
경상도>비안 , 지명>행정지명
-
병산(甁山) - 김난상(金鸞祥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도(淸道). 이황(李滉)ㆍ정황(丁熿) 등과 교유하고, 1545년(인종 1) 을사사화(乙巳士禍)와 1547년(명종 2) 양재역 벽서사건(良才驛壁書事件)으로 유배되었으나, 선조 때 대사성(大司成) 등을 지냄.
1507~1570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