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병인반정(丙寅反正) - 중종반정(中宗反正)
조선 연산군(燕山君) 12년(1506)에 박원종(朴元宗) 등이 연산군을 폐위시키고 진성대군(晉城大君)을 왕으로 추대한 사건.
1506 한국>조선전기 , 사건>기타사건
-
병자삼학사(丙子三學士) - 삼학사(三學士)
조선 후기 병자호란 때 청(淸) 나라와의 결사 항전을 주장한 세 학사. 홍익한(洪翼漢)ㆍ윤집(尹集)ㆍ오달제(吳達濟)를 일컫는 말로, 이들은 끝까지 화의(和議)를 반대하다가 1637년(인조 15) 중국 심양(瀋陽)에 잡혀가 처형당함.
한국>조선후기 , 인명>집단>기타집단
-
병재(甁齋) - 박하징(朴河澄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밀양(密陽). 충순위 부사직(忠順衛副司直) 박승원(朴承元)의 아들이며, 박하담(朴河淡)과 예조 정랑(禮曹正郞) 박하청(朴河淸)의 아우. 이황(李滉)ㆍ조식(曺植)ㆍ성혼(成渾) 등과 교유하고, 사간원 정언(司諫院正言) 등을 지냄.
1484~156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청도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병정록(丙丁錄) - 병진정사록(丙辰丁巳錄)
조선 명종(明宗) 11년부터 이듬해까지 문신 임보신(任輔臣)이 지은 사화집(史話集). 황희(黃喜)ㆍ허주(許稠) 등 20여 명의 재상ㆍ문호들의 언행ㆍ일화 등을 듣고 본 대로 간략하게 기록함.
1556~1557 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병표(炳彪) - 호(虎)
호랑이. 민속(民俗)에서 잡귀(雜鬼)를 물리치고 효(孝)와 보은(報恩)의 동물로 묘사되는 등 신수(神獸)로 일컬어짐.
자연물>동물
-
보(俌)@이보 - 능원대군(綾原大君)
조선 제16대 인조(仁祖)의 동생. 원종(元宗)의 아들로, 백부인 의안군(義安君) 이성(李珹)에게 출계함. 병자호란 때 척화(斥和)를 주장하였으며, 곧고 온후한 성품으로 종실의 모범이 됨.
1592~1656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보(俌) - 이보(李俌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아홉 번째 서자인 경명군(景明君) 이침(李忱)의 손자이며 안남군(安南君) 이수련(李壽鍊)의 장남.
1537~1594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보(保) - 기보(祁保)
중국 명(明) 성조(成祖) 때의 문신. 조선 태조(太祖)가 승하(昇遐)하자 제문(祭文)ㆍ시호(諡號)ㆍ부의(賻儀)를 가지고 사신으로 왔음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보(保)@정보 - 정보(鄭保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정몽주(鄭夢周)의 손자로, 사육신(死六臣)의 무죄를 주장하다가 연일(延日)로 유배된 뒤 단성(丹城)으로 이배(移配)되어 죽임을 당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일 , 인명>관인>문신
-
보(保)@연보 - 연보(延保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곡산(谷山). 장령(掌令)을 지낸 연구령(延九齡)의 아버지로, 낙안 군수(樂安郡守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곡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보(保)@이보 - 이보(李保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완산(完山). 지삼기현사(知三岐縣事) 이나(李那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문사>유학
-
보(保)@김보 - 김보(金保)
고려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언양(彦陽). 문하시랑평장사(門下侍郞平章事) 김전(金佺)의 아들이며, 문하시중(門下侍中) 김취려(金就礪)의 손자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언양 , 인명>문사>유학
-
보(堡)@한보 - 한보(韓堡)
조선 세조(世祖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무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한명회(韓明澮)의 아들로, 음보(蔭補)로 벼슬하여 동지중추부사(同知中樞府事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좌리공신(佐理功臣)에 책록됨.
1447~1522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보(堡) - 권보(權堡)
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헌납(獻納)과 예조 참의(禮曹參議)를 지내고, 예조 참판(禮曹參判)에 추증됨.
?~141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보(寶)@김보 - 김보(金寶)
조선 전기의 유학. 이삼택(李三宅)ㆍ오건(吳健)과 교유함. 《덕계집(德溪集)》의 〈덕계선생연보(德溪先生年譜)〉에 환아정(換鵝亭)에서 놀면서 시(詩)를 주고받은 기록이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보(寶) - 간보(干寶)
중국 남북조시대 동진(東晉)의 문인ㆍ학자. 역사(歷史)ㆍ음양(陰陽)ㆍ산수(算數)를 연구하고 역사찬집(歷史撰集)에 종사하였으며 저작랑(著作郞)을 지냄. 저서에 《수신기(搜神記)》 등이 있음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보(寶)@윤보 - 윤보(尹寶)
고려 후기의 무신. 본관은 해평(海平). 해평군(海平君) 윤지표(尹之彪)의 아들로, 응양위 대호군(鷹揚衛大護軍)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무신
-
보(普) - 김보(金普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판도판서(版圖判書)로서 공민왕이 세자로 원(元) 나라에 있을 때 시종한 공으로 일등공신(一等功臣)에 오름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김해 , 인명>관인>문신
-
보(溥) - 권보(權溥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목왕(忠穆王) 때의 문신ㆍ학자. 안향(安珦)의 문인. 국로(國老)로서 대원(對元) 관계의 어려운 정국을 해결하여 공신에 봉해졌고, 《사서집주(四書集註)》를 간행하여 성리학의 전파에 공헌함.
1262~1346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보(溥)@유보 - 유보(柳溥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갑자사화(甲子士禍)로 파직되었으나 중종반정(中宗反正) 후 호조(戶曹)와 공조(工曹)의 판서(判書)를 거쳐 우의정(右議政)을 역임함. 주계군(朱溪君) 이심원(李深源)의 사위.
?~154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