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보(保)@연보 - 연보(延保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곡산(谷山). 장령(掌令)을 지낸 연구령(延九齡)의 아버지로, 낙안 군수(樂安郡守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곡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보(保)@이보 - 이보(李保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완산(完山). 지삼기현사(知三岐縣事) 이나(李那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문사>유학
-
보(保)@김보 - 김보(金保)
고려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언양(彦陽). 문하시랑평장사(門下侍郞平章事) 김전(金佺)의 아들이며, 문하시중(門下侍中) 김취려(金就礪)의 손자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언양 , 인명>문사>유학
-
보(堡)@한보 - 한보(韓堡)
조선 세조(世祖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무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한명회(韓明澮)의 아들로, 음보(蔭補)로 벼슬하여 동지중추부사(同知中樞府事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좌리공신(佐理功臣)에 책록됨.
1447~1522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보(堡) - 권보(權堡)
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헌납(獻納)과 예조 참의(禮曹參議)를 지내고, 예조 참판(禮曹參判)에 추증됨.
?~141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보(寶)@김보 - 김보(金寶)
조선 전기의 유학. 이삼택(李三宅)ㆍ오건(吳健)과 교유함. 《덕계집(德溪集)》의 〈덕계선생연보(德溪先生年譜)〉에 환아정(換鵝亭)에서 놀면서 시(詩)를 주고받은 기록이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보(寶) - 간보(干寶)
중국 남북조시대 동진(東晉)의 문인ㆍ학자. 역사(歷史)ㆍ음양(陰陽)ㆍ산수(算數)를 연구하고 역사찬집(歷史撰集)에 종사하였으며 저작랑(著作郞)을 지냄. 저서에 《수신기(搜神記)》 등이 있음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보(寶)@윤보 - 윤보(尹寶)
고려 후기의 무신. 본관은 해평(海平). 해평군(海平君) 윤지표(尹之彪)의 아들로, 응양위 대호군(鷹揚衛大護軍)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무신
-
보(普) - 김보(金普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판도판서(版圖判書)로서 공민왕이 세자로 원(元) 나라에 있을 때 시종한 공으로 일등공신(一等功臣)에 오름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김해 , 인명>관인>문신
-
보(溥) - 권보(權溥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목왕(忠穆王) 때의 문신ㆍ학자. 안향(安珦)의 문인. 국로(國老)로서 대원(對元) 관계의 어려운 정국을 해결하여 공신에 봉해졌고, 《사서집주(四書集註)》를 간행하여 성리학의 전파에 공헌함.
1262~1346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보(溥)@유보 - 유보(柳溥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갑자사화(甲子士禍)로 파직되었으나 중종반정(中宗反正) 후 호조(戶曹)와 공조(工曹)의 판서(判書)를 거쳐 우의정(右議政)을 역임함. 주계군(朱溪君) 이심원(李深源)의 사위.
?~154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보(珤) - 윤보(尹珤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윤순(尹純)의 아들로, 수첨의찬성사(守僉議贊成事) 등을 지내고, 영평부원군(鈴平府院君)에 봉해짐.
?~1329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보(甫) - 윤보(尹甫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윤사균(尹士昀)의 아들이며, 정희왕후(貞熹王后)의 조카로, 공조 참판 등을 역임하였으며, 성종 때 황태자(皇太子) 책봉을 하례하기 위해 명(明) 나라에 진하사(進賀使)로 다녀옴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보(輔)@금보 - 금보(琴輔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ㆍ서화가. 본관은 봉화(奉化)로, 이황(李滉)의 문인. 글씨에 뛰어나 이숙량(李叔樑)ㆍ오수영(吳守盈)과 더불어 선성삼필(宣城三筆)이라 불렸으며, 퇴계묘비(退溪墓碑)ㆍ도산신판(陶山神版) 등을 씀.
1521~158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봉화ㅣ경상도>예안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문사>학자
-
보(輔)@허보 - 허보(許輔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하양(河陽). 도사(都事)를 지낸 허량(許亮)의 아버지로, 군수(郡守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하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보(輔)@조선후기 - 이보(李輔)@조선후기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. 서애(西厓) 유성룡(柳成龍)의 문인으로, 주로 외직에서 선정을 베풀어 백성들의 칭송을 받음.
1545~1608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문신
-
보(輔) - 안보(安輔)
고려 충숙왕(忠肅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흥(順興)으로, 첨의찬성사(僉議贊成事)를 지낸 안축(安軸)의 동생. 원(元) 나라의 제과(制科)에 합격하여 벼슬하다가 귀국한 뒤, 정당문학(政堂文學)ㆍ동경 유수(東京留守) 등을 지냄.
1302~1357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보(輔)@조선전기 - 이보(李輔)@조선전기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증손으로, 자암(自菴) 김구(金絿)와 사돈 관계를 맺음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보(𤣰) - 순화군(順和君)
조선 제14대 선조(宣祖)의 여섯 번째 서자. 순빈김씨(順嬪金氏)의 소생으로, 임진왜란 때 왜군에게 포로로 붙잡혔다 풀려났으며, 사람을 함부로 죽이고 재물을 약탈하는 등 불법을 저질러 양사(兩司)의 탄핵을 받음.
1580~1607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자
-
보(𥙷) - 효령대군(孝寧大君)
조선 제3대 태종(太宗)의 둘째 아들. 원경왕후(元敬王后) 민씨(閔氏)의 소생으로, 효성과 우애가 지극하였고, 세종ㆍ문종ㆍ단종ㆍ세조ㆍ예종ㆍ성종으로부터 극진한 존경과 대우를 받았으며, 많은 불사(佛事)를 주관하여 불교의 보호와 진흥에 공헌함.
1396~1486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