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보고독(普顧篤) - 인종(仁宗)@원
중국 원(元) 나라의 제8대 황제. 재위 1311~1320. 문예정책에 힘을 기울이고, 중국인과 몽골인 간의 관직을 평등하게 분배함.
1286~1320 중국>원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보곤(輔坤) - 황보곤(黃輔坤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평해(平海). 진용교위(進勇校尉) 황옥숭(黃玉崇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평해 , 인명>문사>유학
-
보광(普光) - 혼원(混元)
고려 고종(高宗)~원종(元宗) 때의 승려. 조계종(曹溪宗)의 제4대 종사(宗師)로, 수선사(修禪社)의 선풍(禪風)을 전라도에서 중앙까지 파급시키고, 수선사ㆍ선원사(禪源社)ㆍ단속사(斷俗社)를 융합시켜 공인된 수도원을 세움.
1191~1271 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수안ㅣ전라도>순천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보광(普光)@이부광 - 이부광(李溥光)
중국 원(元) 나라의 승려ㆍ서예가. 조맹부(趙孟頫)가 주방(酒坊)에 쓴 그의 글씨를 보고 추천하여 세조(世祖) 때 소문관 태학사(昭文館太學士)에 봉해짐. 한때 궁성(宮城) 전각의 편액(扁額)에 그의 작품이 많았다고 함.
중국>원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ㅣ인명>예술인>서화가
-
보광(葆光) - 최세명(崔世明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진사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보국(輔國) - 온길(溫佶)
중국 당(唐) 나라 현종(玄宗) 때의 문신. 예부 상서(禮部尙書)를 지낸 온조(溫造)의 아버지로, 태상승(太常丞)을 지냄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보국고흥백(輔國高興伯) - 유탁(柳濯)
고려 충혜왕(忠惠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무신. 본관은 고흥(高興). 도첨의시중(都僉議侍中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왜구의 침입을 방비하고 장사성(張士誠)의 토벌에 참전하는 등 공을 세워 여러 차례 공신(功臣)에 책록됨.
1311~1371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흥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보굴(寶窟) - 보덕굴(寶德窟)
금강산(金剛山) 법기봉(法起峰) 중턱 만폭동(萬瀑洞)에 있는 사찰. 고구려 영류왕(榮留王) 때 보덕(普德) 화상이 자연 동굴을 이용하여 창건함.
627 한국>고구려 , 강원도>회양 , 유적>건물>사찰
-
보권(寶卷) - 동혼후(東昏侯)
중국 남북조시대 제(齊) 나라 제5대 국왕. 재위 498~501. 총희(寵姬) 반비(潘妃)에게 미혹되어 국정을 문란하게 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보궐장(補闕章) - 대학(大學)
유교 경전인 사서(四書)의 하나. 《예기(禮記)》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(宋) 나라의 사마광(司馬光)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《대학광의(大學廣義)》를 만들었고, 송 나라의 주희(朱熹)가 《대학장구(大學章句)》를 지음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문헌>서명
-
보덕(輔德) - 설순(偰循)
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경주(慶州). 설경수(偰慶壽)의 아들로, 1431년(세종 13)에 왕명으로 《삼강행실도(三綱行實圖)》를 편수했으며, 저서에 윤회(尹淮)와 함께 저술한 《자치통감훈의(資治通鑑訓義)》가 있음. 동지중추원사(同知中樞院事) 등을 지냄.
?~143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보덕굴(普德窟) - 보덕굴(寶德窟)
금강산(金剛山) 법기봉(法起峰) 중턱 만폭동(萬瀑洞)에 있는 사찰. 고구려 영류왕(榮留王) 때 보덕(普德) 화상이 자연 동굴을 이용하여 창건함.
627 한국>고구려 , 강원도>회양 , 유적>건물>사찰
-
보덕암(普德庵)@화계사 - 화계사(華溪寺)
조선 중종(中宗) 때 삼각산(三角山)에 건립한 사찰. 고려 광종(光宗) 때 창건한 보덕암(普德庵)을 1522년(중종 17) 신월(信月)이 현재의 자리로 이전하여 개창함. 1619년(광해군 11) 도월(道月)이 중건하고, 1866년(고종 3) 용선(龍船)과 범운(梵雲)이 중수함.
1522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유적>건물>사찰
-
보덕암(普德庵) - 보덕굴(寶德窟)
금강산(金剛山) 법기봉(法起峰) 중턱 만폭동(萬瀑洞)에 있는 사찰. 고구려 영류왕(榮留王) 때 보덕(普德) 화상이 자연 동굴을 이용하여 창건함.
627 한국>고구려 , 강원도>회양 , 유적>건물>사찰
-
보령군(保寧君) - 왕증(王証)
고려 후기의 종친. 예성부원대군(蘂城府院大君) 왕온(王昷)의 손자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종친
-
보로(普老) - 윤보로(尹普老)
조선 태조(太祖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ㆍ무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판도 판서(版圖判書) 윤승례(尹承禮)의 아들로, 인수부 윤(仁壽府尹) 등을 지냄.
?~1443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보로(普老)@박보로 - 박보로(朴普老)
고려 우왕(禑王) 때의 무신. 심왕(瀋王) 탈탈불화(脫脫不和)의 왕위 등극 음모를 저지하였으며, 상원수(上元帥)가 되어 왜구를 물리침.
?~1380 한국>고려후기 , 인명>관인>무신
-
보리(甫里) - 육귀몽(陸龜蒙)
중국 당(唐) 나라의 시인ㆍ학자. 육경(六經)과 《춘추(春秋)》에 통달하였으나 벼슬하지 않고 송강(松江)의 보리(甫里)에 은거하여 유유자적함. 시재(詩才)가 뛰어나 피일휴(皮一休)와 더불어 ‘피육(皮陸)’으로 일컬어짐.
?~881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문사>문인
-
보리달마(菩提達磨) - 달마(達磨)
중국 남북조시대의 선승(禪僧). 중국 선종(禪宗)의 창시자. 달마(達磨)는 부처로부터는 28번째의 조사(祖師)로 여겨지고, 중국 선종에서는 초조(初祖)로 간주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보리라(寶利羅) - 사리(舍利)
참된 불도(佛道)의 수행 결과로 생기는 구슬 모양의 유골. 양산(梁山) 통도사(通度寺)와 오대산(五臺山) 상원사(上院寺) 등에 석가(釋迦)의 진신사리(眞身舍利)가 봉안되어 있는 것으로 전해짐.
사상>현상>신체증상