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보권(寶卷) - 동혼후(東昏侯)
중국 남북조시대 제(齊) 나라 제5대 국왕. 재위 498~501. 총희(寵姬) 반비(潘妃)에게 미혹되어 국정을 문란하게 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보궐장(補闕章) - 대학(大學)
유교 경전인 사서(四書)의 하나. 《예기(禮記)》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(宋) 나라의 사마광(司馬光)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《대학광의(大學廣義)》를 만들었고, 송 나라의 주희(朱熹)가 《대학장구(大學章句)》를 지음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문헌>서명
-
보덕(輔德) - 설순(偰循)
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경주(慶州). 설경수(偰慶壽)의 아들로, 1431년(세종 13)에 왕명으로 《삼강행실도(三綱行實圖)》를 편수했으며, 저서에 윤회(尹淮)와 함께 저술한 《자치통감훈의(資治通鑑訓義)》가 있음. 동지중추원사(同知中樞院事) 등을 지냄.
?~143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보덕굴(普德窟) - 보덕굴(寶德窟)
금강산(金剛山) 법기봉(法起峰) 중턱 만폭동(萬瀑洞)에 있는 사찰. 고구려 영류왕(榮留王) 때 보덕(普德) 화상이 자연 동굴을 이용하여 창건함.
627 한국>고구려 , 강원도>회양 , 유적>건물>사찰
-
보덕암(普德庵)@화계사 - 화계사(華溪寺)
조선 중종(中宗) 때 삼각산(三角山)에 건립한 사찰. 고려 광종(光宗) 때 창건한 보덕암(普德庵)을 1522년(중종 17) 신월(信月)이 현재의 자리로 이전하여 개창함. 1619년(광해군 11) 도월(道月)이 중건하고, 1866년(고종 3) 용선(龍船)과 범운(梵雲)이 중수함.
1522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유적>건물>사찰
-
보덕암(普德庵) - 보덕굴(寶德窟)
금강산(金剛山) 법기봉(法起峰) 중턱 만폭동(萬瀑洞)에 있는 사찰. 고구려 영류왕(榮留王) 때 보덕(普德) 화상이 자연 동굴을 이용하여 창건함.
627 한국>고구려 , 강원도>회양 , 유적>건물>사찰
-
보령군(保寧君) - 왕증(王証)
고려 후기의 종친. 예성부원대군(蘂城府院大君) 왕온(王昷)의 손자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종친
-
보로(普老) - 윤보로(尹普老)
조선 태조(太祖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ㆍ무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판도 판서(版圖判書) 윤승례(尹承禮)의 아들로, 인수부 윤(仁壽府尹) 등을 지냄.
?~1443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보로(普老)@박보로 - 박보로(朴普老)
고려 우왕(禑王) 때의 무신. 심왕(瀋王) 탈탈불화(脫脫不和)의 왕위 등극 음모를 저지하였으며, 상원수(上元帥)가 되어 왜구를 물리침.
?~1380 한국>고려후기 , 인명>관인>무신
-
보리(甫里) - 육귀몽(陸龜蒙)
중국 당(唐) 나라의 시인ㆍ학자. 육경(六經)과 《춘추(春秋)》에 통달하였으나 벼슬하지 않고 송강(松江)의 보리(甫里)에 은거하여 유유자적함. 시재(詩才)가 뛰어나 피일휴(皮一休)와 더불어 ‘피육(皮陸)’으로 일컬어짐.
?~881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문사>문인
-
보리달마(菩提達磨) - 달마(達磨)
중국 남북조시대의 선승(禪僧). 중국 선종(禪宗)의 창시자. 달마(達磨)는 부처로부터는 28번째의 조사(祖師)로 여겨지고, 중국 선종에서는 초조(初祖)로 간주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보리라(寶利羅) - 사리(舍利)
참된 불도(佛道)의 수행 결과로 생기는 구슬 모양의 유골. 양산(梁山) 통도사(通度寺)와 오대산(五臺山) 상원사(上院寺) 등에 석가(釋迦)의 진신사리(眞身舍利)가 봉안되어 있는 것으로 전해짐.
사상>현상>신체증상
-
보리선생(甫里先生) - 육귀몽(陸龜蒙)
중국 당(唐) 나라의 시인ㆍ학자. 육경(六經)과 《춘추(春秋)》에 통달하였으나 벼슬하지 않고 송강(松江)의 보리(甫里)에 은거하여 유유자적함. 시재(詩才)가 뛰어나 피일휴(皮一休)와 더불어 ‘피육(皮陸)’으로 일컬어짐.
?~881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문사>문인
-
보림(寶林) - 이보림(李寶林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이제현(李齊賢)의 손자로, 정당문학(政堂文學) 등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보만당(保晩堂) - 강극성(姜克誠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좌찬성 강희맹(姜希孟)의 현손(玄孫). 군자감 정(軍資監正)ㆍ제용감 정(濟用監正) 등을 지냄.
1526~157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보만당(保晩堂)@이정귀 - 이정귀(李廷龜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현감(縣監) 이계(李𡹘)의 아들로, 임진왜란 때 명(明) 나라에 원병을 청하고, 대제학(大提學)ㆍ우의정(右議政) 등을 지냄. 신흠(申欽)ㆍ장유(張維)ㆍ이식(李植)과 함께 조선 중기 4대 문장가로 불림.
1564~1635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보만재(保晩齋) - 서명응(徐命膺)
조선 영조(英祖)~정조(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달성(達城). 영의정 서명선(徐命善)의 형으로, 대제학을 거쳐 상신(相臣)에 오르고 봉조하(奉朝賀)에 이름. 역학(易學)에 정통한 실학(實學)의 대가로 북학파(北學派)의 비조(鼻祖)로 일컬어짐.
1716~1787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대구 , 인명>관인>문신
-
보망장(補亡章) - 대학(大學)
유교 경전인 사서(四書)의 하나. 《예기(禮記)》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(宋) 나라의 사마광(司馬光)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《대학광의(大學廣義)》를 만들었고, 송 나라의 주희(朱熹)가 《대학장구(大學章句)》를 지음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문헌>서명
-
보문(普文) - 안보문(安普文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동궁 시직(東宮侍直)을 지낸 안숙량(安叔良)의 아들로, 현량(賢良)으로 천거되어 통례원 인의(通禮院引儀) 등을 지냄.
1427~151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보문사(普門寺) - 독정사(獨亭寺)
황해도 봉산(鳳山) 자비산(慈悲山)에 있는 사찰. 정방산(政方山) 성불사(成佛寺)의 말사였음. 창건 당시 보문사(普門寺)라 하였다가 조선 초 독정사(獨亭寺)로 개명함.
황해도>봉산 , 유적>건물>사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