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보성윤(寶城尹) - 이합(李㝓)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(孝寧大君)의 아들로, 1468년(세조 14) 남이(南怡)를 국문하던 중 그와 교분이 두터웠던 사실이 드러나 군호(君號)를 삭탈당하고 유배되었다가 이듬해 풀려나 고신(告身)을 환급받음.
1410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보성정(寶城正) - 이합(李㝓)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(孝寧大君)의 아들로, 1468년(세조 14) 남이(南怡)를 국문하던 중 그와 교분이 두터웠던 사실이 드러나 군호(君號)를 삭탈당하고 유배되었다가 이듬해 풀려나 고신(告身)을 환급받음.
1410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보세(寶世) - 조양기(趙良琪)
고려 원종(元宗)~충렬왕(忠烈王) 때의 무신. 본관은 한양(漢陽). 충렬왕의 명을 받고 원(元) 나라 세조(世祖)가 일본을 정벌할 때 김방경(金方慶)과 함께 참가하여 공을 세움. 쌍성총관(雙城摠管)을 지냄.
1261~? 한국>고려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무신
-
보세(輔世) - 노보세(盧輔世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동래 현령(東萊縣令)을 역임함. 《호음잡고(湖陰雜稿)》에 정사룡(鄭士龍)의 송시(送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동래 , 인명>관인>문신
-
보순(甫淳) - 최보순(崔甫淳)
고려 희종(熙宗)~고종(高宗) 때의 문신. 예부 상서를 지낸 최균(崔均)의 아들. 감수국사(監修國史)가 되어 《명종실록(明宗實錄)》을 찬수하고, 수태사 판이부사(守太師判吏部事)에 오름.
1162~1229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보신(寶臣) - 최응현(崔應賢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강릉(江陵). 중종(中宗) 때의 인물인 최세도(崔世道)ㆍ최세절(崔世節)ㆍ최세충(崔世忠) 형제의 아버지로, 여러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양친(養親) 등을 이유로 대부분 사임함. 형조 참판(刑曹參判) 등을 지냄.
1428~1507 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관인>문신
-
보신(輔臣) - 임보신(任輔臣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천(豊川)으로, 호조 참판(戶曹參判) 임추(任樞)의 아들. 형조 참의(刑曹參議) 등을 지내고, 저서로 《병진정사록(丙辰丁巳錄)》이 있음.
?~155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보신자(葆眞子) - 김담(金譚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강릉(江陵)으로, 김광복(金光輻)의 아들. 효자로 유명하여 양사언(楊士彦)에 의해 추천되어 포상을 받았고, 그의 효도를 노래한 시가 《봉래시집(蓬萊詩集)》에 남아 있음.
1522~1605 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문사>유학
-
보안(保安) - 부안(扶安)
전라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. 1416년(태종 16)에 부령(扶寧)과 보안(保安)이 합해짐.
전라도>부안 , 지명>행정지명
-
보안정(保安正) - 이수남(李壽男)@이현의아들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맏아들인 양녕대군(讓寧大君) 이제(李禔)의 증손이며, 호산군(湖山君) 이현(李鉉)의 아들로, 노사신(盧思愼)의 손녀사위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보암(保庵) - 심연원(沈連源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김안국(金安國)의 문인. 을사사화(乙巳士禍) 때 위사공신(衛社功臣)에 녹훈되고, 감춘추관사(監春秋館事)로 《인종실록(仁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함.
1491~155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청송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보암(寶巖) - 진상인(珍上人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ㆍ승려. 오품(五品) 벼슬을 지냈으나 공민왕의 승하 후, 부도(浮圖)의 법에 입문하여 승려가 되었고, 권근(權近)이 〈보암기(寶巖記)〉를 지어줌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종교인>승려ㅣ인명>관인>문신
-
보왕(寶王) - 석가(釋迦)
B.C.6~B.C.4세기경 인도(印度)에서 활동한 불교의 창시자. 정반왕(淨飯王)의 아들로, 29세에 출가하여 6년 동안의 고행 끝에 깨달음을 얻은 후 인도 각지를 다니며 포교 활동을 함.
B.C.563?~B.C.483? 고대 , 기타지역 , 인명>기타인명>성현ㅣ인명>왕실>왕자
-
보월승공(寶月昇空) - 보우(普愚)
고려 충숙왕(忠肅王)~우왕(禑王) 때의 선승(禪僧). 본관은 홍주(洪州). 중국 원(元) 나라 청공(淸珙)의 법을 계승하고 임제종(臨濟宗)을 열어 그 시조가 되었으며, 선교일체론(禪敎一體論)을 주장하고 불교와 유교의 융합을 강조함. 공민왕(恭愍王)과 우왕 때 국사(國師)로 봉해짐.
1301~1382 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홍주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보위승교종(普爲乘敎宗) - 법상종(法相宗)
중국 당(唐) 나라의 현장(玄奬)ㆍ규기(窺基)에 의해 성립한 유식사상(唯識思想) 계통의 불교종파. 존재의 공성(空性)보다도 현상을 세밀히 분석해 설명함. 우리나라는 통일신라시대의 태현(太賢)을 초조로 삼음.
중국>당 , 중국 , 사상>이론>교리
-
보은사(報恩寺) - 신륵사(神勒寺)
경기도 여주(驪州) 북내면(北內面)의 봉미산(鳳尾山)에 있는 사찰. 신라 진평왕(眞平王) 때 원효(元曉)가 창건하였다고 전해지며, 조선 성종(成宗)때 영릉(英陵)의 원찰(願刹)이 되면서 보은사(報恩寺)로 불림.
한국>신라 , 경기도>여주 , 유적>건물>사찰
-
보익(輔翼) - 민보익(閔輔翼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1483년(성종 14) 춘당대시(春塘臺試)에 급제하여 홍문관 교리(弘文館校理), 사헌부 지평(司憲府持平)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보익당(輔翼堂) - 회산군(檜山君)
조선 제9대 성종(成宗)의 다섯째 아들. 숙의(淑儀) 남양홍씨(南陽洪氏) 소생으로, 김굉필(金宏弼)에게 가르침을 받음. 연산군(燕山君) 때 궁전(宮田)을 반납했다가 중중(中宗)이 즉위하자 노비(奴婢)와 전답(田畓)ㆍ사저(私邸)를 하사받음.
1481~1512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자
-
보인(普印) - 현응(玄凝)
조선 전기의 승려. 주세붕(周世鵬)의 《무릉잡고(武陵雜稿)》에 그에게 준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보전(寶典) - 대명회전(大明會典)
중국 명(明) 나라 때 서박(徐薄) 등이 황제의 칙령으로 명 나라의 법제(法制)를 집대성한 행정법전(行政法典). 전 180권.
1509 중국>명 , 중국 , 문헌>서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