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보민(保民) - 곽보민(郭保民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현풍(玄風). 곽정동(郭貞同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진사시(進士試)에 면앙정(俛仰亭) 송순(宋純)과 함께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안 , 인명>문사>유학
-
보발(甫發) - 유보발(柳甫發)
고려 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문화군(文化君) 유인기(柳仁奇)의 아들로, 문음(門蔭)으로 흥왕도감 판관(興王都監判官)에 제수되고, 통례문 부사(通禮門副使)ㆍ밀직사 우부대언(密直司右副代言) 등을 지냄. 《가정집(稼亭集)》에 묘지명이 전함.
1304~1340 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보병(步兵) - 완적(阮籍)
중국 삼국시대 위(魏) 나라의 문인ㆍ학자ㆍ문신. 죽림칠현(竹林七賢)의 일원이며, 노장(老莊)의 학문을 연구하였으나 정계에서 물러난 후 술과 청담(淸談)으로 세월을 보냄.
210~263 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보병위(步兵尉) - 완적(阮籍)
중국 삼국시대 위(魏) 나라의 문인ㆍ학자ㆍ문신. 죽림칠현(竹林七賢)의 일원이며, 노장(老莊)의 학문을 연구하였으나 정계에서 물러난 후 술과 청담(淸談)으로 세월을 보냄.
210~263 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보빙사(報聘使) - 통신사(通信使)
고려 말부터 조선시대에 걸쳐 일본 막부(幕府)의 장군에게 파견한 공식적인 외교 사절.
1375?~1876 한국>조선시대ㅣ한국>고려후기 , 법제>제도
-
보사(寶師) - 옥보(玉寶)
조선 전기의 승려. 금강산(金剛山)에서 수행하였으며, 이산해(李山海)의 《아계유고(鵝溪遺稿)》에 그에게 준 서문(序文)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보사(輔嗣) - 왕필(王弼)@삼국(위)
중국 삼국시대 위(魏) 나라의 학자. 어려서부터 지혜로 명성을 떨치고 상서랑(尙書郞)을 지냈으며, 하안(何晏)ㆍ하후현(夏侯玄) 등과 함께 현학(玄學)의 청담기풍(淸談氣風)을 창시하였으나 젊은 나이에 요절함.
226~249 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보살제(菩薩帝) - 무제(武帝)@남북조(양)
중국 남북조시대 양(梁) 나라의 초대 황제. 재위 502~549. 경릉팔우(竟陵八友) 중 한 사람이며, 불교를 신봉해 500여 개의 사찰을 세움.
464~549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보상인(寶上人) - 옥보(玉寶)
조선 전기의 승려. 금강산(金剛山)에서 수행하였으며, 이산해(李山海)의 《아계유고(鵝溪遺稿)》에 그에게 준 서문(序文)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보석(保奭) - 소공(召公)
중국 주(周) 나라의 종친. 문왕(文王)의 아들이며 무왕(武王)의 동생. 은(殷) 왕조의 후손 무경(武庚)의 반란을 진압하고 성왕(成王)을 옹립한 뒤 형 주공(周公)과 함께 성왕을 보필하여 왕조의 기반을 확립함.
중국>주 , 중국 , 인명>왕실>종친
-
보성군(寶城君)@왕희 - 왕희(王熙)
고려 후기의 종친. 신종(神宗)의 5대손으로 보성군(寶城君)에 봉해짐. 영흥군(永興君) 왕환(王環)의 아버지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종친
-
보성군(寶城君) - 이합(李㝓)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(孝寧大君)의 아들로, 1468년(세조 14) 남이(南怡)를 국문하던 중 그와 교분이 두터웠던 사실이 드러나 군호(君號)를 삭탈당하고 유배되었다가 이듬해 풀려나 고신(告身)을 환급받음.
1410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보성윤(寶城尹) - 이합(李㝓)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(孝寧大君)의 아들로, 1468년(세조 14) 남이(南怡)를 국문하던 중 그와 교분이 두터웠던 사실이 드러나 군호(君號)를 삭탈당하고 유배되었다가 이듬해 풀려나 고신(告身)을 환급받음.
1410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보성정(寶城正) - 이합(李㝓)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(孝寧大君)의 아들로, 1468년(세조 14) 남이(南怡)를 국문하던 중 그와 교분이 두터웠던 사실이 드러나 군호(君號)를 삭탈당하고 유배되었다가 이듬해 풀려나 고신(告身)을 환급받음.
1410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보세(寶世) - 조양기(趙良琪)
고려 원종(元宗)~충렬왕(忠烈王) 때의 무신. 본관은 한양(漢陽). 충렬왕의 명을 받고 원(元) 나라 세조(世祖)가 일본을 정벌할 때 김방경(金方慶)과 함께 참가하여 공을 세움. 쌍성총관(雙城摠管)을 지냄.
1261~? 한국>고려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무신
-
보세(輔世) - 노보세(盧輔世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동래 현령(東萊縣令)을 역임함. 《호음잡고(湖陰雜稿)》에 정사룡(鄭士龍)의 송시(送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동래 , 인명>관인>문신
-
보순(甫淳) - 최보순(崔甫淳)
고려 희종(熙宗)~고종(高宗) 때의 문신. 예부 상서를 지낸 최균(崔均)의 아들. 감수국사(監修國史)가 되어 《명종실록(明宗實錄)》을 찬수하고, 수태사 판이부사(守太師判吏部事)에 오름.
1162~1229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보신(寶臣) - 최응현(崔應賢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강릉(江陵). 중종(中宗) 때의 인물인 최세도(崔世道)ㆍ최세절(崔世節)ㆍ최세충(崔世忠) 형제의 아버지로, 여러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양친(養親) 등을 이유로 대부분 사임함. 형조 참판(刑曹參判) 등을 지냄.
1428~1507 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관인>문신
-
보신(輔臣) - 임보신(任輔臣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천(豊川)으로, 호조 참판(戶曹參判) 임추(任樞)의 아들. 형조 참의(刑曹參議) 등을 지내고, 저서로 《병진정사록(丙辰丁巳錄)》이 있음.
?~155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보신자(葆眞子) - 김담(金譚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강릉(江陵)으로, 김광복(金光輻)의 아들. 효자로 유명하여 양사언(楊士彦)에 의해 추천되어 포상을 받았고, 그의 효도를 노래한 시가 《봉래시집(蓬萊詩集)》에 남아 있음.
1522~1605 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