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보제존자(普濟尊者) - 혜근(惠勤)
고려 충혜왕 복위(忠惠王復位)~우왕(禑王) 때의 승려. 선종(禪宗)의 고승(高僧)으로, 원(元) 나라에 가서 인도 승려 지공(指空)의 가르침을 받고, 처림(處林)에게서 중국 선교(禪敎)의 영향을 받음. 보우(普愚)와 함께 조선시대 불교의 초석을 세움.
1320~1376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영해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보조(普照) - 지눌(知訥)
고려 의종(毅宗)~희종(熙宗) 때의 승려. 조계종(曹溪宗)의 개조(開祖). 돈오점수(頓悟漸修)와 정혜쌍수(定慧雙修)를 주장하여 선(禪)으로써 체(體)를 삼고, 교(敎)로써 용(用)을 삼아 선종(禪宗)과 교종(敎宗)의 합일점을 추구함. 저서에 《진심직설(眞心直說)》ㆍ《목우자수심결(牧牛子修心訣)》 등이 있음.
1158~1210 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서흥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보조국사(普照國師) - 지눌(知訥)
고려 의종(毅宗)~희종(熙宗) 때의 승려. 조계종(曹溪宗)의 개조(開祖). 돈오점수(頓悟漸修)와 정혜쌍수(定慧雙修)를 주장하여 선(禪)으로써 체(體)를 삼고, 교(敎)로써 용(用)을 삼아 선종(禪宗)과 교종(敎宗)의 합일점을 추구함. 저서에 《진심직설(眞心直說)》ㆍ《목우자수심결(牧牛子修心訣)》 등이 있음.
1158~1210 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서흥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보주(保州)@예천 - 예천(醴泉)
경상북도 북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. 농산물 집산지로 발달한 교통의 중심지이며, 예로부터 활의 생산지로 유명함. 고려 신종(神宗) 때 남도초토사(南道招討使) 최광의(崔光義)가 이곳에서 동경적(東京賊)을 크게 토벌함.
경상도>예천 , 지명>행정지명
-
보주(保州) - 의주(義州)
평안북도 북서쪽 끝에 있는 고을 이름. 북서쪽으로 압록강(鴨綠江)을 사이에 두고 중국과 경계를 이루고 있음. 993년(성종 12) 서희(徐熙)의 활약으로 고려에 편입된 강동6주(江東六州)의 하나.
평안도>의주 , 지명>행정지명
-
보주(寶珠) - 여의주(如意珠)
용왕(龍王)의 뇌 속에서 나온 구슬. 사람이 이 구슬을 가지면 독(毒)이 해칠 수 없고, 불에 들어가도 타지 않으며, 중생의 소원을 성취시켜 주는 부처의 공덕(功德)이 있다고 전함.
물품>기타물품
-
보주(普州) - 파주(巴州)
중국 사천성(四川省) 안악(安岳)에 있는 고을 이름.
중국 , 지명>행정지명
-
보주(甫州) - 예천(醴泉)
경상북도 북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. 농산물 집산지로 발달한 교통의 중심지이며, 예로부터 활의 생산지로 유명함. 고려 신종(神宗) 때 남도초토사(南道招討使) 최광의(崔光義)가 이곳에서 동경적(東京賊)을 크게 토벌함.
경상도>예천 , 지명>행정지명
-
보주(補註) - 가례보주(家禮補註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인 한교(韓嶠)가 《가례(家禮)》에 관하여 저술한 책.
한국>조선시대 , 문헌>서명
-
보중(寶重) - 김보중(金寶重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김해(金海). 진사(進士) 김옥려(金玉礪)의 아버지로, 선무랑(宣務郞)에 이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김해 , 인명>관인>문신
-
보중(甫重) - 나보중(羅甫重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나주(羅州). 중종(中宗) 때의 유학 나안인(羅安仁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김제 , 인명>문사>유학
-
보지(保之) - 이수영(李守英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예천(醴泉). 이인우(李仁佑)의 아들로, 1507년(중종 2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사간원 정언(司諫院正言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보지(補之) - 조보지(晁補之)
중국 송(宋) 나라 신종(神宗)~휘종(徽宗) 때의 문신ㆍ시인ㆍ학자. 문동(文同)의 친구이자 소식(蘇軾)의 제자로, 진관(秦觀)ㆍ장뢰(張耒)ㆍ황정견(黃庭堅)과 함께 소문사학사(蘇門四學士)로 일컬어짐. 저서로 《계륵집(鷄肋集)》등이 있음.
1053~111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보지(輔之) - 민여익(閔汝翼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조선개국을 도와 개국공신에 책록되었고 전결(田結)과 노비를 받았으며, 육조(六曹)의 판서(判書)를 두루 역임했음.
1360~1431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보진(保眞) - 이행(李荇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갑자사화(甲子士禍) 때 폐비윤씨(廢妃尹氏)의 복위를 반대하여 유배되었고, 중종의 원비 신씨(愼氏)의 복위를 반대함. 《신증동국여지승람(新增東國輿地勝覽)》을 찬진함.
1478~1534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풍덕 , 인명>관인>문신
-
반구옹(伴鷗翁) - 이굉(李肱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성(固城)으로, 형조 낭관(刑曹郎官) 이명(李洺)의 아들. 예빈시 별제(禮賓寺別提)에 제수되었으나 곧 사직하고 안동(安東)의 남쪽 낙동강(洛東江) 건너편에 반구정(伴鷗亭)을 짓고 유유자적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반궁(泮宮) - 성균관(成均館)
조선 태조(太祖) 7년에 인재양성을 위하여 서울 숭교방(崇敎坊)에 설치한 최고 교육기관. 문과(文科) 준비를 위한 유학 교육 전문기관으로, 공자(孔子)를 비롯하여 중국 및 우리나라 역대 성현들의 위패를 모셔놓은 문묘(文廟)와 유학(儒學)을 강론하는 명륜당(明倫堂), 동서재(東西齋) 등으로 이루어짐.
1398 한국>조선시대 , 서울 , 법제>관청
-
반남군(潘南君) - 박은(朴訔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반남(潘南). 조선 초기 두 차례의 왕자(王子)의 난(亂) 때 공을 세워 좌명공신(佐命功臣)에 책록되고, 좌의정 등을 지냄.
1370~1422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반남선생(潘南先生) - 박상충(朴尙衷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ㆍ학자. 친명책(親明策)을 주장하여 북원(北元)과 통하는 것을 반대하고, 친원파인 이인임(李仁任)ㆍ지윤(池奫)의 주살을 주장하여 귀양가다 죽음. 경사에 해박하고 글을 잘 지음.
1332~1375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반동어부(沜東漁父) - 강해(康海)
중국 명(明) 나라 효종(孝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ㆍ문인. 한림수찬(翰林修撰) 등을 지냈으며, 이몽양(李夢陽) 등과 문학의 복고(復古)를 주창한 전칠자(前七子) 중의 한 사람. 특히 산곡(散曲)에 뛰어나 왕구사(王九思)와 함께 대가로 일컬어짐.
1475~1541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