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반랑(潘郞) - 반대림(潘大臨)
중국 송(宋) 나라 때의 시인. 황정견(黃庭堅)을 종(宗)으로 삼는 강서시파(江西詩派)에 속한 시인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반룡(攀龍) - 이반룡(李攀龍)
중국 명(明) 나라 세종(世宗)~신종(神宗) 때의 문신ㆍ문인. 후칠자(後七子)의 한 사람으로, 전칠자(前七子)의 '복고설(復古說)'을 계승하고, 왕세정(王世貞) 등과 함께 '고문사설(古文辭說)'을 제창함.
1514~1570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반맹견(班孟堅) - 반고(班固)
중국 후한(後漢)의 문인ㆍ학자. 《한서(漢書)》를 저술하고 《백호통의(白虎通義)》를 편찬함. 화제(和帝) 때 두헌(竇憲)의 반란 사건에 연좌되어 옥사(獄死)함.
32~92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문사>문인
-
반문숙(潘文叔) - 반우문(潘友文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. 영종(寧宗) 때 곤산현(昆山縣)을 다스리면서 인자하고 백성들을 사랑하였으므로 ‘반불자(潘佛子)’라 일컬어졌으며, 주희(朱熹)ㆍ여조겸(呂祖謙) 등과 교유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반불자(潘佛子) - 반우문(潘友文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. 영종(寧宗) 때 곤산현(昆山縣)을 다스리면서 인자하고 백성들을 사랑하였으므로 ‘반불자(潘佛子)’라 일컬어졌으며, 주희(朱熹)ㆍ여조겸(呂祖謙) 등과 교유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반비(班妃) - 반첩여(班婕妤)
중국 전한(前漢) 성제(成帝) 때의 후궁ㆍ시인. 시가(詩歌)에 능하여 성제의 총애를 받았으나 조비연(趙飛燕)에게 참소를 당한 후 장신궁(長信宮)에 머물면서 부(賦)를 지어 상심(傷心)을 노래함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왕실>후궁
-
반빈(班嬪) - 반첩여(班婕妤)
중국 전한(前漢) 성제(成帝) 때의 후궁ㆍ시인. 시가(詩歌)에 능하여 성제의 총애를 받았으나 조비연(趙飛燕)에게 참소를 당한 후 장신궁(長信宮)에 머물면서 부(賦)를 지어 상심(傷心)을 노래함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왕실>후궁
-
반사(班史) - 한서(漢書)
중국 후한(後漢)의 반고(班固)가 기전체(紀傳體)로 엮은 전한(前漢)의 정사(正史). 120권. 고조(高祖)부터 왕망(王莽)까지 230년간의 역사 기록.
82 중국>후한 , 중국 , 문헌>서명
-
반산(半山) - 왕안석(王安石)
중국 송(宋) 신종(神宗) 때의 문신ㆍ시인. 신종(神宗)에게 발탁되어 신법(新法)이라는 혁신 정책을 단행함. 당송팔대가(唐宋八大家) 중 한 사람으로 꼽힘.
1021~1086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반산(飯山) - 반과산(飯顆山)
중국 장안(長安)에 있는 산 이름. 이백(李白)이 이곳에서 두보(杜甫)를 만나 희롱하는 시를 지어줌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반산노인(半山老人) - 왕안석(王安石)
중국 송(宋) 신종(神宗) 때의 문신ㆍ시인. 신종(神宗)에게 발탁되어 신법(新法)이라는 혁신 정책을 단행함. 당송팔대가(唐宋八大家) 중 한 사람으로 꼽힘.
1021~1086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반산수(礬山水) - 황하(黃河)
중국 청해성(青海省) 파안(巴顏) 객라산(喀喇山)에서 발원하여 감숙성(甘肅省)ㆍ섬서성(陝西省)ㆍ하남성(河南省)ㆍ산동성(山東省) 등을 거쳐 발해만(渤海灣)으로 흘러 들어가는 강. 중국에서 두 번째로 긴 강으로, 고대 문명의 발상지로 유명함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반산수(飯山瘦) - 두보(杜甫)
중국 당(唐) 나라의 시인ㆍ문신. 율시(律詩)에 뛰어났으며,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. '시성(詩聖)'으로 불리며,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.
712~770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반산청수(飯山淸瘦) - 두보(杜甫)
중국 당(唐) 나라의 시인ㆍ문신. 율시(律詩)에 뛰어났으며,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. '시성(詩聖)'으로 불리며,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.
712~770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반서(班書) - 한서(漢書)
중국 후한(後漢)의 반고(班固)가 기전체(紀傳體)로 엮은 전한(前漢)의 정사(正史). 120권. 고조(高祖)부터 왕망(王莽)까지 230년간의 역사 기록.
82 중국>후한 , 중국 , 문헌>서명
-
반성(潘城) - 박응순(朴應順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반남(潘南). 선조의 비(妃)인 의인왕후(懿仁王后)의 아버지로, 자경(子敬) 성제원(成悌元)의 문인. 영돈녕부사(領敦寧府事)ㆍ오위도총부 도총관(五衛都摠府都摠管)을 지냄.
1526~158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합천ㅣ서울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반성부원군(潘城府院君) - 박응순(朴應順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반남(潘南). 선조의 비(妃)인 의인왕후(懿仁王后)의 아버지로, 자경(子敬) 성제원(成悌元)의 문인. 영돈녕부사(領敦寧府事)ㆍ오위도총부 도총관(五衛都摠府都摠管)을 지냄.
1526~158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합천ㅣ서울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반성위(班城尉) - 강자순(姜子順)
조선 제5대 문종(文宗)의 부마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상호군(上護軍) 강휘(姜徽)의 아들. 문종의 딸 경숙옹주(敬淑翁主)와 혼인했으며, 성종(成宗) 때 황주 선위사(黃州宣慰使) 등을 지냄.
1443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반송(蟠松) - 안전(安琠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흥(順興). 이황(李滉)ㆍ이이(李珥)의 문인(門人)으로, 조식(曺植)과 친분이 두터웠음. 이이보다 23살이나 많으면서도 그의 문하에서 수학(受學)하였으며, 음죽 현감(陰竹縣監)ㆍ단성 현감(丹城縣監) 등을 지냄.
1513~?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해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반수(胖叟) - 경필(慶佖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청주(淸州). 춘추관 편수관(春秋館編修官)을 지낸 경준(慶俊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