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반식재상(伴食宰相) - 노회신(盧懷愼)
중국 당(唐) 현종(玄宗) 때의 재상. 검소하고 근면했으나 재상으로서의 능력이 부족해 사람들로부터 반식재상(伴食宰相)이라 불렸음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반안(潘安) - 반악(潘岳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문신ㆍ문인. 급사황문시랑(給事黃門侍郞) 등을 지내고, 문재(文才)가 뛰어나 당시 권세가인 가밀(賈謐)의 문객 이십사우(二十四友) 중에 최고가 됨. 육기(陸機)와 함께 서진(西晉) 문학을 대표함.
247~300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반야바라밀다심경(般若波羅蜜多心經) - 반야심경(般若心經)
불교 경전(經典)의 하나. 여러 반야경(般若經) 가운데 중심 사상을 간결하게 설한 것으로, 중국 당(唐) 나라의 승려 현장(玄奘)의 한역(漢譯)이 가장 널리 알려짐. ‘색즉시공 공즉시색(色卽是空 空卽是色)’이라는 문구로 유명함.
고대 , 기타지역 , 문헌>서명
-
반야오가설의(般若五家說誼) - 금강경오가해설의(金剛經五家解說誼)
조선 전기의 승려인 기화(己和)가 《금강경(金剛經)》의 주석서인 《금강경오가해(金剛經五家解)》에 자신의 해석을 붙여 간행한 책. 세조(世祖) 때 동활자본으로 간행함.
1457 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반야탕(般若湯) - 주(酒)
술. 누룩을 빚어 만든 음료의 총칭(總稱). 전설상에 두강(杜康)과 의적(儀狄)이 처음으로 만들었다 함.
물품>식약품>음료
-
반양박씨(潘陽朴氏) - 반남박씨(潘南朴氏)
고려시대 반남 호장(潘南戶長)을 지낸 박응주(朴應珠)를 시조로 하고, 금천부원군(錦川府院君) 박은(朴訔)을 중시조로 하여 성립한 성씨.
한국>고려시대 , 전라도>나주 , 인명>집단>성씨
-
반양산(半洋山) - 오호도(嗚呼島)
중국 청도(靑島) 동북쪽 발해만(渤海灣)에 있는 섬 이름. 한(漢) 나라 고조(高祖)가 천하를 통일하고 오호도에 숨어 있는 전횡(田橫)에게 귀순을 명하였는데, 전횡이 자살하자 이 섬에 있던 500여 명이 모두 자살한 이야기가 전해짐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반우(飯牛) - 영척(甯戚)
중국 춘추전국시대 제(齊) 나라의 대부. 집이 가난하여 남의 소를 치다가 환공(桓公)이 지나간다는 소식을 듣고서 쇠뿔을 두드리며 자신의 시름을 노래하자, 환공이 불러서 대화한 후 뛰어난 식견에 기뻐하며 대부로 삼았다 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반음옹(伴吟翁) - 김이(金洢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해주 목사(海州牧使)를 지낸 김공망(金公望)의 아들로, 음사(蔭仕)로 당진 현령(唐津縣令) 등을 역임함.
1515~158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반자(半刺) - 신빈(申濱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의주 판관(義州判官)을 지냄. 진하사(進賀使)로 중국에 가는 소세양(蘇世讓)을 배웅할 때 받은 시가 《양곡집(陽谷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평안도>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반자선(潘子善) - 반시거(潘時擧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. 주희(朱熹)의 문인으로, 가례도(家禮圖)를 작성한 인물로 추정되며, 무위군 교수(無爲軍敎授) 등을 지냄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반주축가(半州祝家) - 축확(祝確)
중국 송(宋) 나라의 상인. 주희(朱熹)의 외조부로, 휘주성(徽州城) 상점의 반을 점거할 정도로 크게 사업을 하여 ‘축반성(祝半城)’이라 일컬어짐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기술인>상인
-
반죽(斑竹) - 상죽(湘竹)
상수(湘水)의 대나무로, 아황(娥皇)과 여영(女英)을 뜻함. 중국 고대 순(舜) 임금이 창오(蒼梧)에서 죽었을 때 두 비(妃)인 아황과 여영이 상수에서 흘린 눈물이 대줄기를 얼룩지게 하였다 해서 남편을 따라 죽은 두 비의 절개를 상징함.
고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고사성어
-
반천(半千) - 김반천(金半千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예안(禮安). 김사창(金泗昌)의 아들로, 정종(定宗)의 증손인 안현군(安賢君) 이성동(李盛同)의 사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관인>문신
-
반학(伴鶴) - 송일(宋馹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산(礪山). 사성(司成) 송승희(宋承禧)의 아들로, 1595년(선조 28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
1557~1640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반항당(盤恒堂) - 홍천경(洪千璟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산(豊山). 임진왜란 때 김천일(金千鎰)의 진중에서 군량의 수집과 수송을 담당하고, 정유재란 때 권율(權慄)의 휘하에서 의병모집의 격문을 작성하였으며, 중추부 첨지사(中樞府僉知事) 등을 지냄.
1553~163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반환(盤桓) - 홍천경(洪千璟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산(豊山). 임진왜란 때 김천일(金千鎰)의 진중에서 군량의 수집과 수송을 담당하고, 정유재란 때 권율(權慄)의 휘하에서 의병모집의 격문을 작성하였으며, 중추부 첨지사(中樞府僉知事) 등을 지냄.
1553~163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반희(班姬) - 반소(班昭)
중국 후한(後漢)의 문인ㆍ학자. 반고(班固)의 여동생으로, 〈팔표(八表)〉와 〈천문지(天文志)〉 등 《한서(漢書)》의 미완성 부분을 편찬함. 궁중에 초빙되어 황후 및 여러 부인들의 교육을 담당하였고, 《여계(女誡)》를 저술함.
49?~120?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문사>문인
-
반희(班姬)@반첩여 - 반첩여(班婕妤)
중국 전한(前漢) 성제(成帝) 때의 후궁ㆍ시인. 시가(詩歌)에 능하여 성제의 총애를 받았으나 조비연(趙飛燕)에게 참소를 당한 후 장신궁(長信宮)에 머물면서 부(賦)를 지어 상심(傷心)을 노래함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왕실>후궁
-
발(拔) - 공숙발(公叔拔)
중국 춘추전국시대 위(衛) 나라 영공(靈公) 때의 대부. 가신(家臣)으로 있던 선(僎)을 대부로 추천하여 함께 조반(朝班)에 올랐음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