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발(潑)@조선전기 - 유발(柳潑)@조선전기
조선 전기의 유학. 백광훈(白光勳)의 《옥봉시집(玉峯詩集)》에, 그와 이별하며 지은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발(潑) - 이발(李潑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으로, 이중호(李仲虎)의 아들. 동인(東人)의 거두로서 정철(鄭澈)의 처벌문제에 강경파를 이끌어 북인(北人)의 수령이 되었으며, 정여립(鄭汝立)의 옥사(獄事)에 연루되어 장살(杖殺)당함.
1544~1589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발(潑)@조선후기 - 유발(柳潑)@조선후기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풍산(豊山). 돈녕부 도정(敦寧府都正)을 지낸 유심춘(柳尋春)의 아버지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발(發) - 유발(劉發)
중국 전한(前漢)의 제6대 경제(景帝)의 열째 아들. 후한(後漢)의 광무제(光武帝)의 5대조.
?~B.C.129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종친
-
발^평(勃^平) - 평^발(平^勃)
중국 전한(前漢)의 개국공신(開國功臣)인 진평(陳平)과 주발(周勃)을 함께 부르는 말. 고조(高祖)가 죽은 후 득세한 여씨(呂氏) 일당을 몰아내고 문제(文帝)를 옹립하였으므로, 흔히 충신(忠臣)을 가리킴.
중국>전한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발곡(撥穀) - 포곡(布穀)
뻐꾸기 혹은 뻐꾸기의 울음소리. 뻐꾸기가 ‘포곡포곡’하며 울고, ‘포곡(布穀)’이 ‘씨를 뿌려라’라는 의미이므로, 농사를 재촉하는 뜻으로 쓰임.
사상>술어>관용어ㅣ자연물>동물
-
발도(發道) - 성발도(成發道)
조선 태종(太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성석린(成石璘)의 둘째 아들로, 참찬(參贊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발라(發羅) - 나주(羅州)
전라남도 중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. 후백제(後百濟)를 세운 견훤(甄萱)의 본거지였고, 고려 때에는 거란(契丹)의 침입 당시 현종(顯宗)의 피난처였음.
전라도>나주 , 지명>행정지명
-
발배(撥醅) - 주(酒)
술. 누룩을 빚어 만든 음료의 총칭(總稱). 전설상에 두강(杜康)과 의적(儀狄)이 처음으로 만들었다 함.
물품>식약품>음료
-
발부(髮賦) - 백발부(白髮賦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문인인 좌사(左思)가 쓴 부(賦). 어느새 백 살이 된 것이 한스러워 〈백발부(白髮賦)〉를 지음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발안첩목아(孛顔帖木兒) - 도조(度祖)
조선 태조(太祖) 이성계(李成桂)의 조부. 익조(翼祖) 이행리(李行里)의 아들로, 몽고 이름은 발안첩목아(孛顔帖木兒). 비는 원나라의 천호(千戶) 벼슬을 받은 박한보(朴閑甫)의 딸 경순왕후(敬順王后). 1394년(태조 3) 4대조를 추존할 때 도왕(渡王)이라 하였다가 2년 후 도조(度祖)로 격상됨.
?~1342 한국>고려후기 , 함경도>함흥ㅣ함경도>덕원 , 인명>왕실>국왕
-
발타(勃陀) - 석가(釋迦)
B.C.6~B.C.4세기경 인도(印度)에서 활동한 불교의 창시자. 정반왕(淨飯王)의 아들로, 29세에 출가하여 6년 동안의 고행 끝에 깨달음을 얻은 후 인도 각지를 다니며 포교 활동을 함.
B.C.563?~B.C.483? 고대 , 기타지역 , 인명>기타인명>성현ㅣ인명>왕실>왕자
-
발해(渤澥) - 발해(渤海)
고구려 유민(遺民) 대조영(大祚榮)이 699년에 세운 나라. 중국 동북(東北) 지방ㆍ연해주(沿海州)ㆍ한반도 북부를 차지하였으며, 신라와 함께 남북국시대(南北國時代)를 이룸. 14대 228년간 존속.
698~926 한국>발해 , 시간>국명
-
발해공(渤海公) - 구양통(歐陽通)
중국 당(唐) 고종(高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서예가. 구양순(歐陽詢)의 아들로, 아버지 못지않게 글씨로써 이름을 날림. 중서사인(中書舍人)ㆍ사예경(司禮卿) 등을 지냈으며 발해공(渤海公)에 봉해짐.
?~691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
-
발해남(渤海男) - 구양순(歐陽詢)
중국 수(隨) 양제(煬帝)~당(唐) 태종(太宗) 때의 문신ㆍ서예가. 당 고조(高祖)가 즉위한 후에 급사중(給事中)으로 발탁되고, 태자솔경령(太子率更令)ㆍ홍문관 학사(弘文館學士) 등을 지냄. 글씨에 뛰어나 사람들로부터 해법(楷法)의 극칙(極則)이라 하여 칭송됨.
557~641 중국>당ㅣ중국>수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
-
발해왕(渤海王) - 유홍(劉鴻)
중국 후한(後漢)의 제9대 질제(質帝)의 아버지. 유총(劉寵)의 아들로, 아버지의 관작을 이어 낙안왕(樂安王)이 되었다가, 아들이 황제가 되자 발해왕(渤海王)으로 봉해짐.
?~145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종친
-
발해현후(渤海縣侯) - 고적(高適)
중국 당(唐) 나라 현종(玄宗)~대종(代宗) 때의 시인ㆍ문신. 간의대부(諫議大夫)를 거쳐 몇 차례나 절도사(節度使)로 나가 난을 평정하다가 나이 50이 되어서야 시를 짓기 시작하였는데, 변새(邊塞)의 이정(離情)을 잘 읊어 잠삼(岑參)과 함께 고잠(高岑)으로 병칭됨.
704~765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발호장군(跋扈將軍) - 양기(梁冀)
중국 후한(後漢) 순제(順帝) 때의 무신. 양황후(梁皇后)의 오빠로, 권력을 남용하여 절제(節帝)를 옹립하고 독살하였으나 환제(桓帝) 때에 실각하여 자살함.
?~159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방(房) - 경방(京房)
중국 전한(前漢) 때의 사상가. 양(梁) 나라 사람 초연수(焦延壽)에게서 역학(易學)을 배웠고, 재이사상(災異思想)에 밝았으며, 음률(音律)을 연구하여 현(絃)에 의한 음률측정기인 준(準)을 발명함으로써 60률을 산정함.
B.C.77~B.C.37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방(放) - 김방(金放)
조선 전기의 유학. 유방선(柳方善)과 교유하여, 그의 문집인 《태재집(泰齋集)》에 관련 시편(詩篇)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