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방득주(方得珠) - 방순(方恂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온양(溫陽). 방언휘(方彦暉)의 아들로, 관찰사(觀察使)와 판전교시사(判典校寺事) 등을 역임함.
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방량(邦良) - 김덕민(金德民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경주(慶州). 이산 현감(尼山縣監) 김가기(金可幾)의 아들. 1603년(선조 36) 김가기가 수집하여 간행하고자 했던 성운(成運)의 문집인 《대곡집(大谷集)》을 간행함.
1570~?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보은 , 인명>문사>유학
-
방려(方礪) - 김방려(金方礪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김해(金海). 이첨(李詹)ㆍ전녹생(田祿生)ㆍ몽주(鄭夢周) 등과 이인임(李仁任)의 친원정책을 배척했음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김해 , 인명>관인>문신
-
방릉(房陵) - 중종(中宗)@당
중국 당(唐) 나라의 제4대 황제. 재위 683~684, 705~710. 고종(高宗)의 제7자로 어머니는 측천무후(則天武后). 제위(帝位)에 있는 동안 어머니와 황후인 위후(韋后)에게 휘둘려 이름뿐인 황제였음.
656~710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방릉왕(房陵王) - 양용(楊勇)
중국 수(隋) 나라의 태자. 문제(文帝)의 아들로, 황태자에 봉해졌으나, 후에 양제(煬帝)가 된 아우 양광(楊廣)의 방해로 폐서인(廢庶人)이 되었으며, 문제의 병이 위독할 때 양광의 조서(詔書) 위조로 인해 사사됨.
?~604 중국>수 , 중국 , 인명>왕실>왕자
-
방만리(方萬里) - 방회(方回)
중국 원(元) 나라의 문신ㆍ문인. 《영규율수(瀛奎律髓)》 등을 편찬함.
1227~1307 중국>원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방미서객(厖眉書客) - 안사(顔駟)
중국 전한(前漢) 문제(文帝)~무제(武帝) 때의 문신. 문제(文帝)ㆍ경제(景帝)ㆍ무제(武帝) 등 3세(世)를 섬겼으나 관운(官運)이 트이지 않아 평생 낭서(郞署)에 머물렀음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방번(芳蕃) - 무안대군(撫安大君)
조선 제1대 태조(太祖)의 일곱째 아들. 신덕왕후(神德王后) 강씨(康氏)의 소생으로, 제1차 왕자(王子)의 난(亂) 때 세자 이방석(李芳碩)과 함께 피살당함.
1381~1398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자
-
방보(邦寶) - 김개(金鎧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조광조(趙光祖) 등을 현자로 추대할 때 조광조 일파를 비방한 이유로 삭탈관직됨.
1504~1569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금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방보(邦輔) - 김광우(金光佑)@조선전기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율곡(栗谷) 이이(李珥)의 문인(門人). 우계(牛溪) 성혼(成渾)의 소개로 이이(李珥)의 밑에서 수학하였음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해주 , 인명>문사>유학
-
방빈왕(方賓王) - 방의(方誼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주희(朱熹)와 주고받은 문답이 《주희집(朱熹集)》 〈답방빈왕서(答方賓王書)〉에 실려 있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방사(房駟) - 방성(房星)
28수(宿)의 하나. 동남방(東南方)에 있는 창룡칠수(蒼龍七宿)의 네 번째 별로, 이 별의 정기가 땅에 내려와 준마(駿馬)가 된다고 하여 거마(車馬)를 주관하는 별로 알려짐.
자연물>천체
-
방사운(房士雲) - 방덕기(房德驥)
조선 전기의 유학. 정황(丁熿)의 《유헌집(遊軒集)》에 송시(送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방삭(方朔) - 동방삭(東方朔)
중국 전한(前漢)의 문인ㆍ문신. 기언 기행(奇言奇行)으로 무제(武帝)의 총애를 받음. 속설에 서왕모(西王母)의 선도(仙桃)를 훔쳐 먹고 장수하여 삼천갑자(三千甲子)를 살았다 하여 삼천갑자동방삭(三千甲子東方朔)으로 일컬어짐.
B.C.154~B.C.93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방산(方山) - 두지인(杜知仁)
중국 송(宋) 나라의 시인ㆍ학자. 어릴 때부터 시문(詩文)을 지었고, 자라서는 육경(六經)과 《논어(論語)》ㆍ《맹자(孟子)》를 공부했음. 저서로는 《시문십오권(詩文十五卷)》이 있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문사>문인
-
방산수(方山守) - 이난(李瀾)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두 번째 서자인 계양군(桂陽君) 이증(李璔)의 여섯째 아들로, 방산수(方山守)에 봉해짐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방삼배(方三拜) - 방간(方干)
중국 당(唐) 나라의 시인. 추한 외모를 가졌으나 요합(姚合) 등에게 재능을 인정받았으며, 만나는 사람마다 삼배(三拜)를 하여 ‘방삼배(方三拜)’라 불림. 죽은 후 장문울(張文蔚)에 의해 추존되고 ‘현영선생(玄英先生)’이라 사시(私諡)됨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방석(方石) - 사탁(謝鐸)
중국 명(明) 나라의 문신ㆍ학자. 예부 우시랑(禮部右侍郞) 등을 지냈으며, 경술(經術)과 문장(文章)이 뛰어나 《이락연원속록(伊洛淵源續錄)》ㆍ《적성신지(赤城新志)》 등을 저술함.
1435~1510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방석(芳碩) - 의안대군(宜安大君)
조선 제1대 태조(太祖)의 여덟째 아들. 신덕왕후(神德王后) 강씨(康氏)의 소생으로, 배극렴(裵克廉)ㆍ조준(趙浚)ㆍ정도전(鄭道傳) 등의 요청으로 세자(世子)로 책봉되었으나, 제1차 왕자(王子)의 난(亂) 때 피살됨.
1382~1398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자
-
방선(方善) - 유방선(柳方善)
조선 태종(太宗)~세종(世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서산(瑞山). 변계량(卞季良)ㆍ권근(權近) 등에게 수학하고 이보흠(李甫欽) 등을 키워내 영남 성리학을 계승하는 역할을 담당함. 서거정(徐居正) 등 많은 인재를 배출하고 시문에도 뛰어남.
1388~144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ㅣ경기도>개성ㅣ강원도>원주 , 인명>문사>학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