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방성(放成) - 성제원(成悌元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유일(遺逸)로 천거되어 보은 현감(報恩縣監) 등을 지냈으며, 박응순(朴應順) 등 많은 인재를 육성함.
1506~155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방성(方城) - 종신(宗臣)
중국 명(明) 나라 세종(世宗) 때의 문신ㆍ문인. 복건 참의(福建參議)ㆍ제학 부사(提學副使) 등을 지냈으며, 전칠자(前七子)의 복고설(復古說)을 계승하여 왕세정(王世貞)ㆍ이반룡(李攀龍) 등과 시사(詩社)를 결성하고 고문사설(古文辭說)을 제창하여 후칠자로 불림.
1525~1560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방숙(方叔)@심의겸 - 심의겸(沈義謙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송(靑松)으로, 이황(李滉)의 문인. 1575년(선조 8)에 그를 지지하는 서인(西人)과, 김효원(金孝元)을 지지하는 동인(東人)이 서로 논쟁하기 시작해 동서분당(東西分黨)의 시초가 됨.
1535~158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청송 , 인명>관인>문신
-
방시옹(放詩翁) - 육유(陸游)
중국 송(宋) 나라 고종(高宗)~영종(寧宗) 때의 문신ㆍ문인. 보모각 대제(寶謨閣待制) 등을 지냄. 조국을 침략한 금(金) 나라에 대한 철저한 항쟁을 주장하고, 시를 통해 그 분노를 표출하는 한편 일상생활의 자적함을 동시에 표현함.
1125~121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방신(方信) - 한방신(韓方信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무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한악(韓渥)의 아들로, 홍건적(紅巾賊)의 난 때 경성(京城)을 수복한 공으로 일등공신에 책록되고, 정당문학(政堂文學)을 지냈으나, 후에 아들 한안(韓安)의 시역(弑逆)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피살됨.
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방씨(方氏) - 방각(方慤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저서로 《예기해의(禮記解義)》20권이 있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방씨각(方氏慤) - 방각(方慤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저서로 《예기해의(禮記解義)》20권이 있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방언(邦彥) - 주방언(周邦彥)
중국 송(宋) 나라 철종(哲宗)~휘종(徽宗) 때의 문신ㆍ문인. 북송 말기의 대표적 사인(詞人)으로, 사대사인(四大詞人)의 한 사람. 음률(音律)에 정통하여 많은 사(詞) 작품을 남기고, 대성부 제거(大晟府提舉) 등을 지냄.
1056~1121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방언(邦彦) - 성방언(成邦彦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중종 때 진사(進士)에 입격한 성구령(成九齡)의 아버지로, 부사과(副司果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무신
-
방언육전(方言六典) - 경제육전(經濟六典)
조선 태조(太祖) 때 편찬된 법전(法典). 검상조례사(檢詳條例司)에서 정도전(鄭道傳)ㆍ조준(趙浚) 등이 고려 우왕(禑王) 때부터 당시까지 발표된 조례(條例)를 육전(六典)의 형식을 갖추어 만듦.
1397 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방옹(厖翁) - 황희(黃喜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문종(文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장수(長水). 18년간 영의정(領議政)으로 있으면서 농사의 개량, 예법의 개정, 서얼(庶孼)의 천역(賤役) 면제 등 많은 업적을 남겨 세종(世宗)에게 신임을 받고, 청렴하여 백성에게서도 존경을 받음.
1376~1452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관인>문신
-
방옹(放翁)@이탕 - 이탕(李宕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로, 병조 참판(兵曹參判) 이정암(李廷馣)의 아버지. 1534년 (중종 29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하여 사직서 영(社稷署令)을 지냄.
1507~158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방옹(放翁)@이륙 - 이륙(李陸)
조선 세조(世祖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성(固城). 이지(李墀)의 아들로, 《성종실록(成宗實錄)》편찬에 참여하고, 병조 참판(兵曹參判) 등을 지냄.
1438~149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성 , 인명>관인>문신
-
방옹(放翁)@육유 - 육유(陸游)
중국 송(宋) 나라 고종(高宗)~영종(寧宗) 때의 문신ㆍ문인. 보모각 대제(寶謨閣待制) 등을 지냄. 조국을 침략한 금(金) 나라에 대한 철저한 항쟁을 주장하고, 시를 통해 그 분노를 표출하는 한편 일상생활의 자적함을 동시에 표현함.
1125~121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방옹(放翁) - 신흠(申欽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평산(平山). 계축화옥(癸丑禍獄) 때 선조의 유교칠신(遺敎七臣)이라는 이유로 파직되었으나, 인조반정(仁祖反正) 이후 삼정승을 지냄. 이정귀(李廷龜)ㆍ장유(張維)ㆍ이식(李植)과 함께 조선 중기 한문학의 정종(正宗)으로 일컬어짐.
1566~1628 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춘천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방우(芳雨) - 진안대군(鎭安大君)
조선 제1대 태조(太祖)의 첫째 아들. 신의왕후(神懿王后) 한씨(韓氏)의 소생으로, 고려 창왕(昌王) 때 밀직부사(密直副使)로서 강회백(姜淮伯)과 함께 명 나라에 파견되어 창왕의 친조(親朝)를 청하였으며, 조선 개국 후 진안군(鎭安君)에 봉해짐.
1354~1393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왕자
-
방위원도(方位圓圖) - 육십사괘방위도(六十四卦方位圖)
《주역(周易)》에서 모든 천지만물을 상징하기 위해 64개의 괘(卦)로 설정한 방위도.
중국 , 문헌>작품명
-
방은(方隱) - 조광보(趙廣輔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한양(漢陽)으로, 금산 군수(金山郡守)를 지낸 조훈(趙勛)의 아들. 중종 때 박원종(朴元宗) 등을 모해하였다는 죄목으로 국문을 받았으나, 당시의 폐단에 대해 거침없이 직언(直言)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방의(芳毅) - 익안대군(益安大君)
조선 제1대 태조(太祖)의 셋째 아들. 신의왕후(神懿王后) 한씨(韓氏) 소생으로, 제1차 왕자(王子)의 난(亂) 때 이방원(李芳遠)을 보좌하여 정사공신(定社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제2차 왕자의 난 때에는 중립을 지킴.
?~1404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왕실>왕자
-
방인(方歅) - 구방고(九方皐)
중국 춘추전국시대 진(秦) 나라 목공(穆公) 때의 상마인(相馬人). 백락(伯樂)의 추천으로 목공에게 양마(良馬)를 구해주었는데 말의 내실만을 취했지 외모는 중요시하지 않아 목공의 오해를 샀다는 고사가 있음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