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방자(方子) - 이방자(李方子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. 주희(朱熹)의 문인(門人)으로, 통판진주(通判辰州) 등을 역임하였으며, 탄핵을 당하자 낙향하여 학문을 강론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방장(方丈) - 방장산(方丈山)
중국 고대 전설 속의 신선이 산다는 산 이름. 발해(渤海)의 동쪽에 있다는 오도(五島) 중의 하나.
고대 , 중국 , 지명>기타지명
-
방장구선(方丈癯仙) - 정광보(鄭光輔)
조선 전기의 유학. 김효원(金孝元)의 《성암유고(省菴遺稿)》에 그와 관련된 내용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방장노자(方丈老子) - 조식(曺植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출사하지 않고 학문과 제자 교육에 힘썼으며 이황(李滉)과 더불어 영남 사림의 지도자적인 역할을 함.
1501~157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ㅣ경상도>삼가ㅣ경상도>김해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
-
방장산(方丈山)@지리산 - 지리산(智異山)
전라도 남원(南原)ㆍ구례(求禮), 경상도 산청(山淸)ㆍ함양(咸陽)ㆍ하동(河東)에 걸쳐 있는 산.
전라도>남원ㅣ전라도>구례ㅣ경상도>함양ㅣ경상도>하동 , 지명>자연지명
-
방장산인(方丈山人) - 조식(曺植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출사하지 않고 학문과 제자 교육에 힘썼으며 이황(李滉)과 더불어 영남 사림의 지도자적인 역할을 함.
1501~157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ㅣ경상도>삼가ㅣ경상도>김해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
-
방전(方甸) - 방순(方恂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온양(溫陽). 방언휘(方彦暉)의 아들로, 관찰사(觀察使)와 판전교시사(判典校寺事) 등을 역임함.
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방정학(方正學) - 방효유(方孝孺)
중국 명(明) 태조(太祖)~혜제(惠帝) 때의 학자. 석학인 송렴(宋濂)에게 수학하고, 혜제(惠帝)를 섬겨 시강학사(侍講學士)로서 신임을 받았으나, 영락제(永樂帝) 때 등극 조서 작성을 거부하다가 죽임을 당하였음.
1357~1402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방조(邦祚) - 송방조(宋邦祚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은진(恩津). 임진왜란 때 충청도 영동(永同)에서 의병을 모집함. 평안도 병마평사(平安道兵馬評事)로 있을 때 용천관(龍川館)에서 급사함.
1567~1618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영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방좌(邦佐) - 조방좌(趙邦佐)
조선 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양주(楊州). 의정부 좌참찬(議政府左參贊) 조사수(趙士秀)의 아버지로 돈녕부 참봉(敦寧府參奉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방주(方洲) - 장녕(張寧)
중국 명(明) 나라 대종(代宗)~헌종(憲宗) 때의 문신ㆍ문인. 조선 세조(世祖) 때에 우리나라에서 야인(野人)을 함부로 죽인 일을 문책하러 사신으로 왔었으며, 서호(西湖)의 달구경을 읊은 시가 유명함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방주(邦柱) - 이방주(李邦柱)
조선 전기의 유학. 미암(眉巖) 유희춘(柳希春)과 교유하였으며, 유희춘이 그에게 준 시가 《미암집(眉巖集)》에 보임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방주룡(房州龍) - 중종(中宗)@당
중국 당(唐) 나라의 제4대 황제. 재위 683~684, 705~710. 고종(高宗)의 제7자로 어머니는 측천무후(則天武后). 제위(帝位)에 있는 동안 어머니와 황후인 위후(韋后)에게 휘둘려 이름뿐인 황제였음.
656~710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방준(邦俊) - 안방준(安邦俊)
조선 선조(宣祖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죽산(竹山)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등 국난을 당할 때마다 의병을 일으켜 항쟁함. 관직을 여러 번 제수받았으나 나아가지 않고 보성(寶城) 우산(牛山)에 들어가 후진 양성에 전념함.
1573~1654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보성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방직(邦直) - 이방직(李邦直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서원(西原). 시문(詩文)에 능하고, 대제학(大提學) 등을 지냄. 공민왕(恭愍王)으로부터 자(字)에 대한 어찰(御札)을 받았으며, 이색(李穡)이 지은 자찬(字讚)이 《목은고(牧隱藁))》에 실려 있음.
?~1384 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방진(方震) - 양렴(楊廉)
중국 명(明) 나라 헌종(憲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양숭(楊崇)의 아들로, 성력(星曆)과 산수(算數)에 능함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방촌(厖村)@황희 - 황희(黃喜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문종(文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장수(長水). 18년간 영의정(領議政)으로 있으면서 농사의 개량, 예법의 개정, 서얼(庶孼)의 천역(賤役) 면제 등 많은 업적을 남겨 세종(世宗)에게 신임을 받고, 청렴하여 백성에게서도 존경을 받음.
1376~1452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관인>문신
-
방촌(厖村) - 윤자영(尹子濚)
조선 문종(文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무송(茂松). 진주 목사(晉州牧使) 등을 역임하고, 좌익원종공신(佐翼原從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《세종실록(世宗實錄)》ㆍ《문종실록(文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무장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방촌문집(厖村文集) - 방촌집(厖村集)
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인 황희(黃喜)의 문집. 원집ㆍ별집ㆍ외집ㆍ연보ㆍ부록을 합쳐 14권 7책. 1935년 황의창(黃義昌)이 편집ㆍ교열해 간행함. 이건방(李建芳)이 서문을, 이승규(李昇圭)가 발문을 씀.
1935 한국>근대 , 문헌>서명
-
방택(方澤) - 유방택(柳方澤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서산(瑞山). 판서운관사(判書雲觀事)를 지내고, 송곡서원(松谷書院)에 제향됨.
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서산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