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방편(方平)@왕원 - 왕원(王遠)
중국 한(漢) 나라 환제(桓帝) 때의 선인(仙人). 그가 채경(蔡經)의 집에 내려와 선녀 마고(麻姑)를 불러왔는데, 마고가 그를 섬긴 이래 동해가 세 번 뽕밭으로 변하는 천지의 변화가 있었다고 설명한 데서 상전벽해(桑田碧海)라는 말이 유래됨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도사
-
방평(方平)@호방평 - 호방평(胡方平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동몽정(董夢程)에게 역학(易學)을 전수받고 심귀요(沈貴瑤)를 스승으로 섬겨 《주역(周易)》에 정통하였으며, 저서에 《역학계몽통석(易學啓蒙通釋)》이 있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방평(方平) - 이각(李覺)
중국 송(宋) 나라의 서화가. 글씨와 거문고에 능하였으며, 특히 산수화(山水畫)에 뛰어났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
-
방평(方平)@장방평 - 장방평(張方平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. 벼슬을 그만두고 남경(南京)에 있을 때에 소식(蘇軾)이 옥에 갇혔다는 소식을 듣고 구원(救援)하기 위해 상서(上書)하였음. 저서에는 《낙전집(樂全集)》ㆍ《옥당집(玉堂集)》 등이 있음.
1007~1091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방평구우(方平九友) - 이각(李覺)
중국 송(宋) 나라의 서화가. 글씨와 거문고에 능하였으며, 특히 산수화(山水畫)에 뛰어났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
-
방한(方閒) - 윤시동(尹蓍東)
조선 영조(英祖)~정조(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해평(海平). 윤득민(尹得敏)의 아들이며, 유척기(兪拓基)의 사위. 소신이 뚜렷하여 당론(黨論)을 논하다가 수차례 유배되었으며, 내직과 외직을 여러 번 거친 후 우의정 등을 지냄.
1729~1797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방향후(防鄉侯) - 평안(平晏)
중국 전한(前漢) 애제(哀帝) 때의 문신. 평당(平當)의 아들로, 대사도(大司徒) 등을 지냈으며, 부자(父子)가 모두 재상을 지낸 것으로 유명함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방헌(厖軒) - 윤자영(尹子濚)
조선 문종(文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무송(茂松). 진주 목사(晉州牧使) 등을 역임하고, 좌익원종공신(佐翼原從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《세종실록(世宗實錄)》ㆍ《문종실록(文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무장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방현(邦賢) - 송방현(宋邦賢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야로(冶爐). 송소(宋紹)의 아들이며, 집의(執義) 송희규(宋希奎)의 아버지로, 부사직(副司直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합천 , 인명>관인>무신
-
방형(邦亨) - 양방형(楊邦亨)
중국 명(明) 나라 신종(神宗) 때의 무신. 1595년(선조 28) 흠차책봉일본정사(欽差冊封日本正使) 이종성(李宗城)을 따라 부사(副使)로 조선에 나왔으며, 도중에 이종성이 도망치자 정사가 되어 일본에 가서 풍신수길(豐臣秀吉)과 협상하였으나 실패함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방형(邦炯) - 안방형(安邦炯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죽산(竹山). 연창위(延昌尉) 안맹담(安孟耼)의 손자이자, 종친부 전첨(宗親府典籖) 안종전(安從㙉)의 아버지로, 사헌부 감찰(司憲府監察)을 지냄.
1465~?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방형(邦衡)@호전 - 호전(胡銓)
중국 송(宋) 나라 고종(高宗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. 추밀원 편수관(樞密院編修官)으로 금(金) 나라와의 강화를 반대하여, 간신 진회(秦檜)ㆍ왕륜(王倫) 등을 처단해야 한다는 상소를 올렸다가 유배됨. 효종 즉위 후 자정전 학사(資政殿學士) 등을 지냄.
1102~118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방형(邦衡) - 이극균(李克均)
조선 세조(世祖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이인손(李仁孫)의 아들로, 좌의정(左議政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연산군의 황음(荒淫)을 바로잡으려다 갑자사화(甲子士禍)에 연루되어 유배된 후 사사됨.
1437~1504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방호(方壺) - 방장산(方丈山)
중국 고대 전설 속의 신선이 산다는 산 이름. 발해(渤海)의 동쪽에 있다는 오도(五島) 중의 하나.
고대 , 중국 , 지명>기타지명
-
방회(方回)@치음 - 치음(郗愔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무신. 치초(郗超)의 아버지로, 한때 자부(姊夫)인 왕희지(王羲之)와 함께 황로(黃老)의 학술을 익히기도 함. 회계내사(會稽內史)ㆍ도독 절강 동오군 군사(都督浙江東五郡軍事) 등을 지냄.
313~384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방회재(放晦齋) - 최충(崔冲)
고려 목종(穆宗)~문종(文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해주(海州). 문헌공도(文憲公徒)의 창시자로, 구재학당(九齋學堂)을 세워 유학을 보급하고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문교(文敎) 진흥과 사학(私學) 발전에 크게 공헌함. 문하시중(門下侍中) 등을 지냄.
984~1068 한국>고려전기 , 황해도>해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방후(房侯) - 장량(張良)
중국 한(漢) 나라 고조(高祖) 때의 공신. 유방(劉邦)에게 적재의 간언을 올려 항우(項羽)를 제압하고 한(漢) 왕조를 여는데 큰 공을 세웠으나, 말년에 유방의 시의심(猜疑心)을 알아채고 적송자(赤松子)처럼 은거함.
?~B.C.168 중국>전한ㅣ중국>진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방훈(放勳) - 요(堯)
중국 전설상의 성천자(聖天子) 요(堯) 임금. 순(舜)과 아울러 '요순(堯舜)의 치(治)'라 하여, 예로부터 중국에서는 가장 이상적인 천자상(天子像)으로 알려짐.
고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배(培) - 이배(李培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한산(韓山). 정읍 감무(井邑監務)를 지낸 이자성(李自成)의 아들로, 사의서 승(司議署丞)를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한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배가(倍價) - 이시보(李時珤)
조선 문종(文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의(全義)로, 이예장(李禮長)의 아들. 정난공신(定難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지방관을 두루 거치고 장례원 판결사(掌隸院判決事) 등을 지냄.
1433~1492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