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가의(賈誼)
중국 전한(前漢)의 문신ㆍ학자. 문제(文帝)의 총애를 받다가 장사왕(長沙王)의 태부(太傅)로 좌천됨.
B.C.200~B.C.168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가일(可逸)
고려 후기의 승려. 임춘(林椿)이 법명(法名)과 자(字)를 지어줌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가장강집(賈長江集)
중국 당(唐) 나라 학자 가도(賈島)가 지은 문집. 10권으로 구성되었는데, 시(詩) 379수가 들어있음.
중국>당 , 중국 , 문헌>서명
-
가정(嘉靖)
중국 명(明) 세종(世宗)의 연호. 해당 연한은 1522~1566.
1522~1566 중국>명 , 중국 , 시간>연호
-
가정대부(嘉靖大夫)
조선시대 종2품 문관의 품계(品階). 고려시대 영록대부(榮祿大夫)에 해당. 1522년(중종 17) 가의대부(嘉義大夫)로 개칭.
1392 한국>조선전기 , 법제>제도
-
가정맹어호(苛政猛於虎)
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무섭다는 뜻으로, 공자(孔子)가 제자들에게 가혹한 정치를 경계한 말. 《예기(禮記)》 〈단궁 하(檀弓下)〉에 나옴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고사성어
-
가정진강지(嘉定鎭江志)
중국 송(宋) 나라 노헌(盧憲)이 편찬한 지리서. 진(鎭)과 강(江)에 대한 자세한 기록과 풍토ㆍ인구ㆍ구획정리 등이 빠짐없이 기록된, 중국의 현전하는 지리서 중 가장 오래된 책. 소상(蘇庠)에 관한 내용이 들어있음. 22권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가정집(稼亭集)
고려 후기 학자 이곡(李穀)의 시문집. 20권 4책. 그 중 〈죽부인전(竹夫人傳)〉은 가전체문학의 발달을 보여주며, 원(元) 나라에서 쓴 저술은 당시 원 나라와의 사회문화적 교류를 보여줌.
1364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금산 , 문헌>서명
-
가제의(家祭儀)
중국 당(唐) 나라의 학자인 맹선(孟詵)의 저서. 1권. 각종 제사와 관련된 내용이 수록됨.
중국>당 , 중국 , 문헌>서명
-
가지동(可芝洞)
전라도 나주(羅州)에 속했던 마을 이름.
전라도>나주 , 지명>자연지명
-
가천(伽川)
경상도 성주(星州)와 합천(陜川)에 걸쳐 있는 가야산(伽倻山)의 동남쪽에서 발원하여, 성주의 서남쪽을 지나 고령(高靈)으로 흘러 들어가는 하천 이름.
경상도>합천ㅣ경상도>성주 , 지명>자연지명
-
가충(賈充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문신. 예주 자사(豫州刺史)를 지낸 가규(賈逵)의 아들. 무제(武帝) 때 상서복야(尙書僕射)로 《진율령(晉律令)》을 편찬함. 두 딸이 태자비(太子妃)와 제왕비(齊王妃)가 되었는데, 태자비는 후에 혜가황후(惠賈皇后)가 되어 횡포를 부려 팔왕(八王)의 난을 초래함.
217~282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가평(加平)
경기도 중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. 북한강을 이용한 수로(水路)가 발달하였으며, 조종암(朝宗岩)ㆍ대보단(大報壇)ㆍ현등사(懸燈寺) 등이 유명함.
경기도>가평 , 지명>행정지명
-
가한(柯翰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주희(朱熹)가 도(道)를 지키면서 세속의 흐름에 영합하지 않은 점을 칭찬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각^누(角^婁)
별자리 이십팔수(二十八宿)의 첫 번째 자리의 각성(角星)과 열여섯 번째 자리의 누성(婁星)을 함께 부르는 말.
자연물>기타자연물
-
각겸(覺謙)
고려 말~조선 초의 승려. 나암 유공(懶庵游公)과 함께 오대산(五臺山)의 수정암(水精菴)을 중수함. 이색(李穡)ㆍ이숭인(李崇仁)ㆍ권근(權近)ㆍ정도전(鄭道傳) 등과 시(詩)로써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홍천 , 인명>종교인>승려
-
각굉(覺宏)
고려 말기의 승려. 나옹화상(懶翁和尙) 혜근(惠勤)의 제자로, 스승의 어록인 《나옹화상어록(懶翁和尙語錄)》을 문인들과 함께 찬집하여 간행함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각명(覺明)
고대 인도의 승려. 407년 중국 장안(長安)에 들어왔으며, 얼굴의 윗수염이 붉어지고 〈비파사론(毗婆沙論)〉을 좋아하였으므로 ‘적자비파사(赤髭毗婆沙)’라고 불림.
중국>남북조시대 , 기타지역ㅣ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각성(角星)
별자리 이십팔수(二十八宿)의 하나로 동쪽에 있는 제1수(宿). 수성(壽星)의 자리.
자연물>천체
-
각연(覺演)
고려 말 조선 초의 승려. 독곡(獨谷) 성석린(成石璘)과 교유하였고, 《독곡집(獨谷集)》에 송시(送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