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배건(配乾) - 황보곤(黃輔坤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평해(平海). 진용교위(進勇校尉) 황옥숭(黃玉崇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평해 , 인명>문사>유학
-
배걸(倍傑) - 정배걸(鄭倍傑)
고려 현종(顯宗)~문종(文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초계정씨(草溪鄭氏)의 시조. 곽원(郭元)의 문인으로, 예부 상서(禮部尙書) 등을 지내고, 사학십이도(私學十二徒) 중 하나인 홍문공도(弘文公徒)를 이끌며 후학 양성에 힘씀.
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초계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배근(培根) - 이배근(李培根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부평(富平). 이종식(李宗軾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선공감 정(繕工監正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부평 , 인명>관인>문신
-
배달(培達) - 이배달(李培達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종친ㆍ문신. 숭선군(崇善君) 이총(李𤄓)의 증손으로, 율곡(栗谷) 이이(李珥)와 교유하였으며 군수(郡守)를 지냄.
1550~?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ㅣ인명>관인>문신
-
배록절사(排祿節士) - 신안(申晏)
고려 말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평산(平山). 종부령(宗簿令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조선 개국 후 녹(祿)을 거절하고 평산의 황의산(黃衣山)에 들어가 충절을 지킴.
?~1417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평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배명서(裵明瑞) - 배용길(裵龍吉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흥해(興海). 홍문관 부교리(弘文館副校理) 배삼익(裵三益)의 아들로, 김성일(金誠一)의 문인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의병(義兵)으로 활약하였고, 정유재란(丁酉再亂) 때 화의(和議)에 반대하는 상소를 올림.
1556~1609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배상상(裵上庠) - 배임(裵任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김해(金海). 전의감 겸교수(典醫監兼敎授)를 지낸 배순(裵珣)의 아들로, 1549년(명종 4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칠원 , 인명>문사>유학
-
배선(拜善) - 양배선(楊拜善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중화(中和)로, 대사간(大司諫)을 지낸 양희지(楊熙止)의 아들. 몸가짐을 삼가며 문예(文藝)에 뛰어나 김안국(金安國)의 천거를 받았으며, 이황(李滉)ㆍ최연(崔演)ㆍ안관(安瓘) 등 당대 명사들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대구 , 인명>관인>문신
-
배원(培源) - 박배원(朴培源)
조선 전기의 문인. 김안국(金安國)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문인
-
배인검(裵仁儉) - 배영지(裵榮至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흥해(興海). 관직은 판전리(判典理), 상호군(上護軍), 평양 윤(平壤尹) 등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배전(裴佺) - 배전(裵詮)
고려 후기의 문신ㆍ공신. 본관은 흥해(興海). 복천부원군(福川府院君) 손홍량(孫洪亮)의 사위이며, 사복시 판사(司僕寺判事) 배상지(裵尙志)의 아버지로, 익대좌명공신(翊戴佐命功臣) 삼중대광(三重大匡) 첨의평리(僉議評理) 흥해군(興海君)에 봉해짐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흥해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배중물(杯中物) - 주(酒)
술. 누룩을 빚어 만든 음료의 총칭(總稱). 전설상에 두강(杜康)과 의적(儀狄)이 처음으로 만들었다 함.
물품>식약품>음료
-
배지(培之) - 이윤번(李允藩)
고려 말~조선 초의 유학. 본관은 광주(廣州). 권근(權近)의 《양촌집(陽村集)》에, 그가 얻은 그림에 대한 설(說)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문사>유학
-
배천(白川)@강응황 - 강응황(姜應璜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내암(來庵) 정인홍(鄭仁弘)ㆍ한강(寒岡) 정구(鄭逑)의 문인. 임진왜란 때 창의(倡義)한 일로 유성룡의 추천을 받아, 병조 좌랑(兵曹佐郞)ㆍ예산 현감(禮山縣監)ㆍ사헌부 감찰(司憲府監察) 등을 지냄.
1571~164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함양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백(伯) - 허백(許伯)
중국 전한(前漢) 선제(宣帝) 때의 외척ㆍ문신. 선제 황후(皇后)의 아버지로, 태자소(太子少) 등을 지내며 거기장군(車騎將軍) 사고(史高)와 함께 권력을 독점함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백(伯)@왕백 - 왕백(王伯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정왕(忠定王) 때의 문신. 신라 태종무열왕(太宗武烈王)의 후손으로, 왕씨는 사성(賜姓).
1277~1350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전주ㅣ강원도>강릉 , 인명>관인>문신
-
백(柏) - 이백(李柏)
조선 전기의 종친. 본관은 전주(全州). 효령대군(孝寧大君)의 현손이자 돈녕부 주부(敦寧府主簿)를 지낸 이대(李薱)의 둘째 아들이며, 이즙(李楫)의 아우이고, 이건(李楗)ㆍ이역(李櫟)ㆍ이노(李櫓)ㆍ이박(李樸)ㆍ이량(李樑)의 형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백^보(白^甫) - 보^백(甫^白)
중국 당(唐) 나라의 시인인 두보(杜甫)와 이백(李白)을 함께 부르는 말. 중국을 대표하는 시인을 가리킴.
중국>당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백^종(伯^鍾) - 종^백(鍾^伯)
중국 춘추전국시대 초(楚) 나라의 악공인 백아(伯牙)와 그 친구 종자기(鍾子期)를 함께 부르는 말. 마음이 통하는 절친한 교우를 가리킴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백각(栢各) - 정예(鄭藝)
고려 전기의 문신. 벽상삼한공신 광록대부 문하시중평장사(壁上三韓功臣光祿大夫門下侍中平章事)에 봉해진 고려의 개국공신으로, 진주정씨(晉州鄭氏) 충장공파(忠莊公派)의 시조가 됨.
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