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백간(伯諫) - 이종사(李宗思)
중국 송(宋) 나라 때의 학자. 건안(建安) 사람으로 불학(佛學)에 심취했으나 개변하여 정주학(程朱學)에 매진하여 《예범(禮範)》 등을 저술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백강(伯剛) - 김천일(金千鎰)@1622
조선 효종(孝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선산(善山). 김중기(金重器)의 아들이고 정온(鄭蘊)의 문인으로, 춘추관(春秋官)ㆍ편수관(編修官) 등을 지냄. 저서에 《송천집(松川集)》이 있음.
1622~169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백강(伯剛)@이백강 - 이백강(李伯剛)
조선 태조(太祖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이거이(李居易)의 아들이며, 태종(太宗)의 부마(駙馬)로, 제2차 왕자(王子)의 난(亂) 때 아버지와 함께 좌명공신(佐命功臣)에 책록되고, 태종의 맏딸인 정순공주(貞順公主)과 혼인함.
1381~1451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백강(伯剛)@이정 - 이정(李鋥)
조선 후기의 종친. 종종(中宗)의 여덟 째 아들인 덕흥대원군(德興大院君) 이초(李岹)의 장남이며, 선조(宣祖)의 형. 임진왜란 때 분의복수군(奮義復讐軍)에 가담하여 적극 활약하였음.
1545~1597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백강(伯剛)@이옥정 - 이옥정(李玉貞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4대손으로, 덕림군(德林君) 이자(李孜)의 아들. 정의대부(正義大夫)에 오르고, 1550년(명종 5)에 역모를 꾀한다는 고변으로 동생 이옥곤(李玉崑)과 함께 국문을 받음.
1513~1583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백강(伯康) - 사마단(司馬旦)
중국 송(宋) 나라 때의 문신. 사마지(司馬池)의 아들이며, 사마광(司馬光)의 형. 정현 주부(鄭縣主簿) 등을 역임함.
1006~1097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백강(伯强) - 이면도(李勉道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이황(李滉)의 종인(宗人)으로, 《퇴계집(退溪集)》에 그의 방문을 기뻐하여 지은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풍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백강(白江)@이경여 - 이경여(李敬輿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이괄(李适)의 난과 병자호란 때 인조(仁祖)를 호종하고, 1642년(인조 20) 배청친명파(背淸親明派)로 청 나라 연호를 쓰지 않았다는 밀고를 받고 심양(瀋陽)에 끌려가 억류되었다가 풀려났으며, 영의정(領議政) 등을 지냄.
1585~1657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백강(白江) - 백마강(白馬江)
충청남도 부여(夫餘) 부근을 흐르는 금강(錦江)의 하류(下流). 강의 왼쪽과 부소산(扶蘇山)을 중심으로 한 지역에는 낙화암(落花巖)ㆍ조룡대(釣龍臺)ㆍ고란사(皐蘭寺) 등 백제(百濟)의 유적이 있음.
충청도>부여 , 지명>자연지명
-
백강(白江)@사자하 - 사자하(泗泚河)
충청남도 부여(扶餘)를 지나는 백마강의 이름.
충청도>부여 , 지명>자연지명
-
백강(白江)@기벌포 - 기벌포(伎伐浦)
금강(錦江) 하구인 지금의 충청남도 서천군(舒川郡) 장항읍(長項邑) 일대로 추정되는 백제 때의 지명. 백제의 국방상 요충지로, 사비성(泗沘城)을 지키는 중요한 관문 역할을 함.
한국>백제 , 충청도>서천 , 지명>자연지명
-
백강선생집(白江先生集) - 백강집(白江集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인 이경여(李敬輿)의 시문집. 15권 7책. 목판본. 아들 이민서(李敏叙)가 정리ㆍ편찬하여 1684년(숙종 10) 손자 이사명(李師命)과 함께 간행하였으며, 송시열(宋時烈)의 서문이 실려 있음.
1684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백개(伯喈) - 채옹(蔡邕)
중국 후한(後漢) 영제(靈帝)~헌제(獻帝) 때의 문신ㆍ서예가ㆍ학자. 여류 문인 채염(蔡琰)의 아버지이자 완우(阮瑀)의 스승으로, 좌중랑장(左中郞將) 등을 지냄. 비자체(飛自體)를 창시하고 문장에 뛰어났으며, 저서로 《채중랑집(蔡中郞集)》 등이 있음.
132~192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백거(伯居) - 남극관(南克寬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문인. 본관은 의령(宜寧). 영의정(領議政)을 지낸 남구만(南九萬)의 손자이자 수락산(水洛山)에서 은거한 남학명(南鶴鳴)의 아들. 문집으로《몽예집(夢囈集)》이 있음.
1689~171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문사>문인
-
백거(伯車) - 양기(梁冀)
중국 후한(後漢) 순제(順帝) 때의 무신. 양황후(梁皇后)의 오빠로, 권력을 남용하여 절제(節帝)를 옹립하고 독살하였으나 환제(桓帝) 때에 실각하여 자살함.
?~159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백결(伯潔) - 김기(金器)
조선 전기의 유학. 김안국(金安國)이 지어준 자설(字說)이 《모재집(慕齋集)》에 남아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백겸(伯謙)@신유 - 신유(申愈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평산(平山). 송시열(宋時烈)ㆍ권상하(權尙夏)의 문인으로, 문장이 뛰어났음.
1673~1706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진잠ㅣ충청도>예산 , 인명>문사>학자
-
백겸(伯謙)@이백겸 - 이백겸(李伯謙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. 예조 판서(禮曹判書) 이보정(李補丁)과 예빈시 소윤(禮賓寺少尹) 이말정(李末丁)의 아버지로, 감정(監正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문신
-
백겸(伯謙)@김백겸 - 김백겸(金伯謙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광성군(光城君) 김혁(金革)의 아들로, 이시애(李施愛)의 난 때 구성군(龜城君) 이준(李浚)의 군관으로 출정하여 공을 세움.
1429~1506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무신
-
백겸(伯謙) - 강세창(姜世昌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진주(晉州). 강희맹(姜希孟)이 지은 자설(字說)이 《사숙재집(私淑齋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