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백고(伯高)@김종후 - 김종후(金鍾厚)
조선 정조(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풍(淸風). 김치만(金致萬)의 아들이며, 민우수(閔遇洙)의 문인(門人). 어려서부터 사부(詞賦)에 능하여 문명이 있었으나, 정치적 전변을 거듭하여 비난받음.
1721~1780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백고(伯高) - 고숭걸(高崇傑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고성(高城)으로, 정여창(鄭汝昌)의 문인(門人).
한국>조선전기 , 함경도>종성 , 인명>문사>학자
-
백고(伯高)@장욱 - 장욱(張旭)
중국 당(唐) 나라의 서예가. 술을 몹시 좋아하고 취흥이 오르면 필묵을 잡아 초서를 잘 썼으며, 필법을 안진경(顔眞卿)과 이백(李白)에게 전했음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
-
백고(伯高)@이개 - 이개(李塏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한산(韓山)으로, 이계주(李季疇)의 아들. 훈민정음(訓民正音) 창제 등에 공헌하였으나, 단종(端宗)의 복위를 꾀하다가 발각되어 처형됨으로써 사육신(死六臣)의 한 사람이 됨.
1417~1456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한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백고(伯高)@용술 - 용술(龍述)
중국 후한(後漢)의 문신. 마원(馬援)이 조카들에게 용백고(龍伯高)를 본받으라고 할 정도로 청렴ㆍ근검했음. 광무제(光武帝)가 마원의 글을 보고 용백고를 영릉 태수(零陵太守)로 삼았음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백고(伯高)@덕양군 - 덕양군(德陽君)
조선 제11대 중종(中宗)의 다섯 번째 서자. 숙의이씨(淑儀李氏)의 소생으로, 음률(音律)에 밝았음.
1524~1581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왕자
-
백고(伯高)@조언수 - 조언수(趙彦秀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양주(楊州). 조방좌(趙邦佐)의 아들이자 조사수(趙士秀)의 형으로, 명종(明宗) 때 위사원종공신(衛社原從功臣)으로 책록되고 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를 지냄.
1497~1574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백곡(栢谷)@정탁 - 정탁(鄭琢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정이충(鄭以忠)의 아들이며 이황(李滉)의 문인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왕을 호종하여 호종공신(扈從功臣)에 책록되고, 경사(經史)ㆍ천문(天文)ㆍ지리(地理) 등에 정통했음.
1526~1605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예천ㅣ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백곡(栢谷) - 정곤수(鄭崐壽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청주(淸州). 퇴계(退溪)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수령을 지내면서 학문 진흥과 사풍(士風) 진작에 힘씀. 임진왜란 때 대명외교에서 큰 역할을 함.
1538~160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백곡선생집(栢谷先生集) - 백곡집(栢谷集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인 정곤수(鄭崐壽)의 문집. 4권 4책. 목판본. 현손 정건(鄭鍵)과 외현손 심정희(沈廷熙)가 편차하여 예조 판서(禮曹判書) 김우항(金宇杭)ㆍ경상도 관찰사(慶尙道觀察使) 홍만조(洪萬朝)의 도움으로 간행함.
1710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백곤(伯鯀) - 곤(鯀)
중국 전설상의 인물. 하(夏) 나라 시조(始祖)인 우(禹) 임금의 아버지로, 홍수를 다스리다가 실패하고 우산(羽山)으로 추방당했다 함.
중국>하 , 중국 , 인명>왕실>종친
-
백공(伯公) - 허주(許周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하양(河陽). 허귀룡(許貴龍)의 아들이며 허조(許稠)의 형. 고려 말에 이성계(李成桂) 등 신진세력의 전제(田制) 개혁에 동조하고, 조선 개국 후에 판한성부사(判漢城府事) 등을 지냄.
1359~1440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하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백공(伯恭)@공부 - 공부(孔俯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소격전 제조(昭格殿提調)로서 중국에 가서 도교 의식을 배워오고, 검교 한성부 윤(檢校漢城府尹) 등을 지냈으나, 천추사(千秋使)로 중국에 갔다가 돌아오지 못하고 죽음.
?~1416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백공(伯恭)@장우겸 - 장우겸(張友謙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구례(求禮). 의흥위 부사맹(義興衛副司猛)을 지낸 장한생(張漢生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옥천 , 인명>문사>유학
-
백공(伯恭) - 고윤(高允)
중국 남북조시대 북위(北魏) 태무제(太武帝) 때의 문신. 청렴결백하여 국사필화사건(國史筆禍事件) 때 죽음을 면함.
390~488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백공(伯恭)@남효온 - 남효온(南孝溫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학자. 생육신(生六臣)의 한 사람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으로 김굉필(金宏弼)ㆍ정여창(鄭汝昌) 등과 함께 수학함.
1454~149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문사>학자
-
백공(伯恭)@여조겸 - 여조겸(呂祖謙)
중국 남송(南宋)의 학자. 주희(朱熹)와 함께 북송(北宋) 도학자의 어록을 편집하여 《근사록(近思錄)》을 찬함.
1137~1181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백공(伯鞏) - 서고(徐固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달성(達城). 서거정(徐居正)의 손자로, 예조 참의(禮曹參議)를 지냈으나, 사절(使節)을 받들고 명(明) 나라에 갔다가 도중에 죽음.
?~155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대구 , 인명>관인>문신
-
백공(白公) - 백생(白生)
중국 춘추전국시대 초(楚) 나라의 대부. 원왕(元王)이 목생(穆生)ㆍ신공(申公)과 함께 대부로 삼아 예우하였으나, 훗날 신공과 함께 죄에 연루되어 붉은 죄수복을 입고 저자에서 절구질을 하게 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백과목(白果木) - 은행(銀杏)
한국ㆍ중국ㆍ일본에만 분포하는 나무로, 씨가 살구처럼 생기고 은빛이 난다 하여 붙여진 이름. 유학(儒學)의 전래와 관계가 깊으며 유학을 상징함.
자연물>식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