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백광선생(白光先生) - 백광훈(白光勳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인. 본관은 해미(海美). 박순(朴淳)ㆍ양응정(梁應鼎)ㆍ노수신(盧守愼)에게서 수학함. 당시(唐詩)의 시풍(詩風)을 주장하여 최경창(崔慶昌)ㆍ이달(李達)과 함께 삼당시인(三唐詩人)이라 불리고, 이산해(李山海)ㆍ최립(崔笠) 등과 더불어 팔문장(八文章)으로 일컬어짐.
1537~1582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장흥 , 인명>문사>문인
-
백구(伯句) - 신대왕(新大王)
고구려 제8대 국왕. 재위 165~179. 태조왕(太祖王)의 동생으로, 귀족 세력을 통제하여 중앙 집권적 지배체재를 정비하고, 176년 왕자 남무(男武)를 태자로 책봉하여 왕위 부자 상속제의 기틀을 마련함.
89~179 한국>고구려 , 인명>왕실>국왕
-
백구(伯懼)@심희수 - 심희수(沈喜壽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송(靑松). 인순왕후(仁順王后)의 종제이자 노수신(盧守愼)의 문인. 좌의정(左議政) 등을 지냈으나 광해군 때 폐모론(廢母論)이 일자 은거함. 저서로 《일송집(一松集)》이 있음.
1548~162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청송 , 인명>관인>문신
-
백구(伯懼) - 권의(權檥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명종(明宗) 때 원상(院相)을 지낸 권벌(權橃)의 형. 정암(靜庵) 조광조(趙光祖)의 문인.
1475~155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천ㅣ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백규(伯圭)@송맹경 - 송맹경(宋孟璟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의주 목사(義州牧使)ㆍ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송순(宋純)의 《면앙집(俛仰集)》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평안도>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백규(伯圭)@이청 - 이청(李淸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한산(韓山). 이덕윤(李德潤)의 아들로, 1511년(중종 6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한성부 좌윤(漢城府左尹) 등을 지냄.
1483~1549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한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백규(伯圭) - 강우(姜瑀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진주(晉州). 수의부위(修義副尉)를 지낸 강세응(姜世應)의 아들. 효행으로 정려각(旌閭閣)이 세워짐.
1495~151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문사>유학
-
백규(伯規) - 채제공(蔡濟恭)
조선 영조(英祖)~정조(正祖) 때의 문신. 오광운(吳光運)ㆍ강박(姜樸)의 문인. 남인(南人) 중 청남(淸南) 계열의 지도자로서 사도세자(思悼世子)를 옹호하고 탕평책(蕩平策)을 추진하는 등 영조와 정조에게 깊은 신임을 받았으며, 영의정 등을 지냄.
1720~1799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홍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백규(白圭) - 이괄(李适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인조(仁祖) 때의 무신ㆍ역적. 본관은 고성(固城). 인조 반정(仁祖反正) 때 큰 공을 세웠으나 논공에 대해 불만을 품고 난을 일으킴. 서울을 무혈점령했으나 안현(鞍峴) 싸움에 참패한 뒤 부하에게 죽임을 당함.
1587~162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고성 , 인명>기타인명>역적ㅣ인명>관인>무신
-
백기(伯奇) - 윤백기(尹伯奇)
중국 주(周) 나라 선왕(宣王) 때의 효자. 윤길보(尹吉甫)의 아들로, 계모의 온갖 학대를 극복하고 끝까지 효도를 다한 고사가 전해짐.
중국>주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효자
-
백기(伯機) - 선우추(鮮于樞)
중국 원(元) 나라의 문신ㆍ서예가. 태상시 전부(太常寺典簿) 등을 지냈으며, 시문(詩文)과 서화(書畫)에 뛰어났는데, 특히 초서(草書)에 능하였음.
1246~1302 중국>원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
-
백기(伯琦) - 허백기(許伯琦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김해(金海). 조광조(趙光祖)의 문인(門人)으로, 명종 때 진위사(陳慰使)의 서장관(書狀官)이 되어 명(明) 나라에 다녀오고, 동지중추부사(同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
1493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김해 , 인명>관인>문신
-
백기(伯紀)@이원강 - 이원강(李元綱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저서에 《성문사업도(聖門事業圖)》ㆍ《후덕록(厚德錄)》 등이 있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백기(伯紀) - 이강(李綱)@송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. 금(金) 나라와의 화친을 반대한 주전론자(主戰論者)로서 송 나라의 국력을 신장시키고자 노력하였으며, 금 나라 군대를 공격하다가 화친 조약을 어겼다는 죄목으로 파직당함.
1083~114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백기(伯起)@윤흥 - 윤흥(尹興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해평(海平). 율곡(栗谷) 이이(李珥)의 문인(門人)으로, 노인을 우대하는 은전(恩典)을 입어 통정대부(通政大夫)에 오름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문사>유학
-
백기(伯起)@양진 - 양진(楊震)
중국 후한(後漢) 안제(安帝) 때의 문신. 아들 양병(楊秉), 손자 양사(楊賜), 증손자 양표(楊彪) 등 4세(世)에 걸쳐 태위(太尉)가 배출된 집안으로 유명함.
54~124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백기(伯起)@나흥 - 나흥(羅興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나주(羅州). 학생(學生) 나종손(羅終孫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김제 , 인명>문사>유학
-
백기(伯起) - 김양진(金楊震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풍산(豊山). 역학(易學)ㆍ음양(陰陽) 및 복서(卜筮)에 통달하였으며, 이행(李荇)ㆍ정희량(鄭希良)ㆍ권달수(權達手) 등과 교유가 깊었음.
1467~153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백길(伯吉)@박경선 - 박경선(朴慶先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죽산(竹山)으로, 장령(掌令) 박사공(朴思恭)의 아들. 장령(掌令)을 거쳐 이조 참의(吏曹參議)가 되고 광해군(光海君)의 학업을 지도하는 필선(弼善)을 겸하였음.
1552~?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죽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백길(伯吉) - 이사명(李師命)
조선 현종(顯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로, 대사헌(大司憲) 이민적(李敏迪)의 큰아들. 경신대출척(庚申大黜陟)에 가담한 공으로 보사공신(保社功臣)에 책록되었다가, 기사환국(己巳換局) 때 사사됨.
1647~1689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