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백기(伯紀)@이원강 - 이원강(李元綱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저서에 《성문사업도(聖門事業圖)》ㆍ《후덕록(厚德錄)》 등이 있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백기(伯紀) - 이강(李綱)@송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. 금(金) 나라와의 화친을 반대한 주전론자(主戰論者)로서 송 나라의 국력을 신장시키고자 노력하였으며, 금 나라 군대를 공격하다가 화친 조약을 어겼다는 죄목으로 파직당함.
1083~114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백기(伯起)@윤흥 - 윤흥(尹興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해평(海平). 율곡(栗谷) 이이(李珥)의 문인(門人)으로, 노인을 우대하는 은전(恩典)을 입어 통정대부(通政大夫)에 오름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문사>유학
-
백기(伯起)@양진 - 양진(楊震)
중국 후한(後漢) 안제(安帝) 때의 문신. 아들 양병(楊秉), 손자 양사(楊賜), 증손자 양표(楊彪) 등 4세(世)에 걸쳐 태위(太尉)가 배출된 집안으로 유명함.
54~124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백기(伯起)@나흥 - 나흥(羅興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나주(羅州). 학생(學生) 나종손(羅終孫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김제 , 인명>문사>유학
-
백기(伯起) - 김양진(金楊震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풍산(豊山). 역학(易學)ㆍ음양(陰陽) 및 복서(卜筮)에 통달하였으며, 이행(李荇)ㆍ정희량(鄭希良)ㆍ권달수(權達手) 등과 교유가 깊었음.
1467~153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백길(伯吉)@박경선 - 박경선(朴慶先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죽산(竹山)으로, 장령(掌令) 박사공(朴思恭)의 아들. 장령(掌令)을 거쳐 이조 참의(吏曹參議)가 되고 광해군(光海君)의 학업을 지도하는 필선(弼善)을 겸하였음.
1552~?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죽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백길(伯吉) - 이사명(李師命)
조선 현종(顯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로, 대사헌(大司憲) 이민적(李敏迪)의 큰아들. 경신대출척(庚申大黜陟)에 가담한 공으로 보사공신(保社功臣)에 책록되었다가, 기사환국(己巳換局) 때 사사됨.
1647~1689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백길보(伯吉父) - 윤길보(尹吉甫)
중국 주(周) 나라 선왕(宣王) 때의 태사(太師). 호경(鎬京)에 침입한 험윤(玁狁)을 격퇴하는 등 소목공(召穆公) 등과 함께 선왕을 보좌하여 쇠락한 주 나라를 중흥시키는 데 지대한 공헌을 함.
중국>주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백길보(伯吉甫) - 윤길보(尹吉甫)
중국 주(周) 나라 선왕(宣王) 때의 태사(太師). 호경(鎬京)에 침입한 험윤(玁狁)을 격퇴하는 등 소목공(召穆公) 등과 함께 선왕을 보좌하여 쇠락한 주 나라를 중흥시키는 데 지대한 공헌을 함.
중국>주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백눌(伯訥) - 박상(朴祥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충주(忠州). 박지흥(朴智興)의 아들로, 중종반정(中宗反正)으로 폐위된 단경왕후(端敬王后)의 복위를 주장함. 청백리(淸白吏)에 녹선됨.
1474~1530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백단(伯亶) - 사공실(司空實)
고려 후기의 유학. 목은(牧隱) 이색(李穡)과 동년지기로 교유함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백달(伯達) - 범여규(范如圭)
중국 송(宋) 고종(高宗) 때의 문신. 범염조(范念祖)와 범염덕(范念德)의 아버지로, 비서랑(秘書郞)을 지냈음.
1102~116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백담(栢潭) - 구봉령(具鳳齡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이황(李滉)의 문하에서 수학하고, 병조 참판(兵曹參判) 등을 지냄. 시문(詩文)에 뛰어나고, 《혼천의기(渾天儀記)》를 짓는 등 천문학에도 조예가 깊음.
1526~158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백담선생집(栢潭先生集) - 백담집(栢潭集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인 구봉령(具鳳齡)의 시문집. 10권 4책. 목판본. 손주 사위인 이준(李埈)이 편차를 세우고, 1670년(현종 11) 후학 김계광(金啓光)이 풍기 군수(豊基郡守)로 있을 때 홍여하(洪汝河)의 서문을 받아 연보(年譜)와 함께 간행함.
167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풍기 , 문헌>서명
-
백담주인(栢潭主人) - 구봉령(具鳳齡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이황(李滉)의 문하에서 수학하고, 병조 참판(兵曹參判) 등을 지냄. 시문(詩文)에 뛰어나고, 《혼천의기(渾天儀記)》를 짓는 등 천문학에도 조예가 깊음.
1526~158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백당(柏堂)@김도 - 김도(金燾)
조선시대의 문신. 본관은 선산(善山). 후릉 참봉(厚陵參奉) 김취빈(金就彬)의 아들.
한국>조선시대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백당(柏堂)@정등만 - 정등만(丁等滿)
고려 후기~조선 전기의 유학. 《쌍매당협장집(雙梅堂篋藏集)》에 〈송백당정공등만여경(送柏堂丁公等滿如京)〉의 시(詩)가 수록되어 있음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백당(柏堂) - 박준(朴浚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이조 판서(吏曹判書)를 지내고, 음률(音律)에 밝아 《악장가사(樂章歌詞)》를 지었다고 전해짐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백당(栢堂) - 배상지(裵尙志)
고려 후기의 문신. 고려 말에 정국(政局)이 혼란해지자 안동(安東)의 금계(金溪)에 은거하였으며, 조선 초에 여러 차례 불렀으나 응하지 않음.
1351~1413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