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백대(柏臺) - 사헌부(司憲府)
고려 및 조선시대에 정치에 대한 언론 활동, 풍속의 교정, 백관(百官)에 대한 규찰과 탄핵, 서경(署經) 등을 담당한 관청.
한국>조선시대ㅣ한국>고려시대 , 법제>관청
-
백도(伯度)@두도 - 두도(杜度)
중국 후한(後漢) 장제(章帝) 때의 재상ㆍ서예가. 초서(草書)에 능통하여 장제의 총애를 받았는데, 그 법을 최원(崔瑗)ㆍ최식(崔寔) 부자가 이어받음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
-
백도(伯度) - 두헌(竇憲)
중국 후한(後漢) 때의 외척ㆍ문신. 후한 제3대 장제(章帝)의 황후인 두씨의 오빠로, 정치를 전횡하고, 화제(和帝)를 죽이려다 발각된 뒤 자살함.
?~92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백도(伯道)@등유 - 등유(鄧攸)
중국 남북조시대(南北朝時代) 진(晉) 나라의 문신. 난리를 만나 자식을 버리고 조카를 보존하였으나 끝내 후사를 두지 못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백도(伯道) - 권홍(權弘)@1360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권균(權鈞)의 아들로, 예조 판서(禮曹判書)ㆍ영돈녕부사(領敦寧府事) 등을 지냄. 문학에 뛰어났으며, 전서ㆍ예서에 능하여 헌릉(獻陵)ㆍ문묘(文廟)ㆍ기자사(箕子祠)의 비문을 씀.
1360~1446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백두거악(白頭巨嶽) - 백두산(白頭山)
함경도와 중국 길림성(吉林省)에 걸쳐 있는 산. 백두산에서부터 지리산에 이르는 백두대간은 한국의 기본 산줄기로서, 모든 산들이 여기서 뻗어 내렸다 하여 예로부터 성산(聖山)으로 숭배함.
함경도>경성ㅣ함경도>갑산 , 지명>자연지명
-
백두봉(白頭峰) - 장군봉(將軍峰)
함경도(咸鏡道)에 위치한 백두산(白頭山)의 최고봉(最高峰). 영조(英祖) 때 함경도 절도사(咸鏡道節度使) 윤광신(尹光莘)이 백두산에 올라가 천지(天池)에서 창을 들고 춤을 추었다 하여 이름함.
한국>조선후기 , 함경도>갑산 , 지명>자연지명
-
백두옹(白頭翁) - 합관요(蓋寬饒)
중국 전한(前漢) 선제(宣帝) 때의 문신. 성격이 강직하고 청렴하여 간대부(諫大夫)를 거쳐 사예교위(司隸校尉) 등을 지내다가, 황제의 뜻을 거스르는 상주(上奏)를 하여 자결함.
?~B.C.60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백락고(伯樂顧) - 백락일고(伯樂一顧)
명마(名馬)도 백락(伯樂)을 만나야 세상에 알려진다는 뜻으로,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(秦) 나라의 말(馬)을 잘 알아보는 백락의 고사에서 유래함. 재능 있는 사람도 알아주는 사람을 만나야 빛을 발한다는 뜻으로, 밝은 임금과 어진 신하가 만난 것을 비유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고사성어
-
백락지고(伯樂之顧) - 백락일고(伯樂一顧)
명마(名馬)도 백락(伯樂)을 만나야 세상에 알려진다는 뜻으로,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(秦) 나라의 말(馬)을 잘 알아보는 백락의 고사에서 유래함. 재능 있는 사람도 알아주는 사람을 만나야 빛을 발한다는 뜻으로, 밝은 임금과 어진 신하가 만난 것을 비유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고사성어
-
백란(伯鸞) - 노홍(盧鴻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선조(宣祖) 때 영의정(領議政)을 지낸 노수신(盧守愼)의 아버지로, 활인서 별제(活人署別提)를 지냈음.
1496~156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백란(伯鸞)@양홍 - 양홍(梁鴻)
중국 후한(後漢) 장제(章帝) 때의 은사. 아내 맹광(孟光)과 함께 패릉산(覇陵山)에 은거하였는데, 장제가 그를 찾자 성명을 바꾸고 오(吳) 나라로 떠남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은자
-
백랑(伯郞) - 맹타(孟他)
중국 후한(後漢) 때의 문신. 영제(靈帝) 때의 환관인 장양(張讓)에게 포도주 1말을 바쳐 양주 자사(涼州刺史)가 되었다고 함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백량(伯量) - 호영(胡泳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주희(朱熹)의 제자로, 주희로부터 학문이 견실하고 굳건하다는 평가를 받았으며, 저서에 《논어연설(論語衍說)》이 있으나, 세상에 전하지 않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백련(白蓮) - 혜원(慧遠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승려. 여산(廬山) 동림사(東林寺)에서 염불 수행의 결사(結社)인 백련사(白蓮社)를 결성한 뒤 산문(山門)을 나서지 않고 도중(徒衆)과 정토 수행(淨土修行)에 전념하였으며, 중국 불교를 학문적으로 확립하는 데 기여함.
334~416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백련거사(白蓮居士) - 송영구(宋英耉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천(鎭川)으로, 성혼(成渾)의 문인. 광해군 때 《선조실록(宣祖實錄)》 편찬에 참여하고, 병조 참판(兵曹參判)으로 폐모론(廢母論)에 반대하다 파직됨.
1556~1620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익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백련당(白蓮堂) - 민재문(閔在汶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으로, 형조 좌랑(刑曹佐郞)을 지낸 민천부(閔天符)의 아들. 고청(孤靑) 서기(徐起)의 문인.
1565~1626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공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백련당(白蓮堂)@문익주 - 문익주(文益周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평(南平). 효렴(孝廉)으로 이후백(李後白)의 천거를 받아 낭천 현감(狼川縣監)ㆍ태인 현감(泰仁縣監)을 지냈으며, 청렴한 목민관으로 칭송받았음.
1535~1605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영암 , 인명>관인>문신
-
백련사(白連社) - 백련사(白蓮寺)
통일신라 흥덕왕(興王德) 때 국사(國師) 무염(無染)이 전라도 무주(茂朱) 덕유산 안에 창건한 사찰. 1820년(순조 2)에 혜언(慧彦)이 백련사에서 화엄회(華嚴會)를 개설하고, 1900년(광무 4) 무주 부사(茂朱府使) 이하섭(李夏燮)이 가람을 중수함.
830 한국>통일신라 , 전라도>무주 , 유적>건물>사찰
-
백련진은(百鍊眞隱) - 이원강(李元綱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저서에 《성문사업도(聖門事業圖)》ㆍ《후덕록(厚德錄)》 등이 있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