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백련채(白蓮菜) - 백련사(白蓮社)
중국 남북조시대 동진(東晉)의 승려 혜원(慧遠)이 여러 승도(僧徒) 및 명유(名儒)들과 함께 여산(廬山)의 동림사(東林寺)에서 정토왕생을 위한 염불수행을 도모하기 위해 조직한 신행결사(信行結社). 동림사 안에 백련(白蓮)을 많이 심었었으므로 백련사라고 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집단>조직
-
백련화사(白蓮華社) - 백련사(白蓮社)
중국 남북조시대 동진(東晉)의 승려 혜원(慧遠)이 여러 승도(僧徒) 및 명유(名儒)들과 함께 여산(廬山)의 동림사(東林寺)에서 정토왕생을 위한 염불수행을 도모하기 위해 조직한 신행결사(信行結社). 동림사 안에 백련(白蓮)을 많이 심었었으므로 백련사라고 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집단>조직
-
백령(伯齡) - 윤백령(尹伯齡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윤필상(尹弼商)의 손자로, 음보(蔭補)로 빙고 별제(氷庫別提)를 지냈으며, 연산군 때 회인(懷仁)으로 유배되었다가 죽음.
1475~1506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백령(百齡) - 오백령(吳百齡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동복(同福). 사옹원 직장(司饔院直長)을 지낸 오세현(吳世賢)의 아들로, 광해군(光海君) 때 폐모론을 반대하여 파직되었으나 인조반정(仁祖反正) 후에 형조 참판(刑曹參判) 등을 지냄.
1560~1633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동복 , 인명>관인>문신
-
백령(百齡)@임백령 - 임백령(林百齡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박상(朴祥)의 문인이며, 임억령(林億齡)의 동생. 을사사화(乙巳士禍)를 주도한 공으로 정난위사공신(定難衛社功臣)에 책록되고 숭선군(崇善君)에 봉해짐.
?~1546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해남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백로(伯魯) - 기효증(奇孝曾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의병장ㆍ문신. 본관은 행주(幸州)로, 고봉(高峰) 기대승(奇大升)의 아들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의병을 이끌고 전라도 각지에서 왜군을 물리치고 의주(義州)의 행재소에 나아가 시위(侍衛)한 공으로 형조 정랑에 발탁됨.
1550~1616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백로(栢老) - 김륵(金玏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예안(禮安).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안집사(安集使)로 영남에 가서 민심을 수습하였고, 김직재(金直哉)의 무옥(誣獄)에 연루되어 강릉으로 유배됨.
1540~161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백로(白老) - 백인걸(白仁傑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수원(水原). 동지춘추관사(同知春秋館事) 등을 지내고, 동서분당(東西分黨)의 폐단을 논하며 중재를 위해 많은 노력을 함. 훈구 세력에 맞서 사림파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.
1497~1579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백로(白老)@백거이 - 백거이(白居易)
중국 당(唐) 나라 덕종(德宗)~무종(武宗) 때의 문신ㆍ시인. 일생 동안 수많은 시를 지었는데, 그중 〈장한가(長恨歌)〉와 〈비파행(琵琶行)〉이 유명함. 만년에는 시와 술과 거문고를 벗삼아 유유자적하며 불교(佛敎)에 심취함.
772~846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백로(白路) - 백거이(白居易)
중국 당(唐) 나라 덕종(德宗)~무종(武宗) 때의 문신ㆍ시인. 일생 동안 수많은 시를 지었는데, 그중 〈장한가(長恨歌)〉와 〈비파행(琵琶行)〉이 유명함. 만년에는 시와 술과 거문고를 벗삼아 유유자적하며 불교(佛敎)에 심취함.
772~846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백록(伯麓) - 신응시(辛應時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영월(寧越). 백인걸(白仁傑)의 문인으로 성혼(成渾)ㆍ이이(李珥)와 교유하고, 주자학(朱子學)에 조예가 깊음.
1532~1585 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영월 , 인명>관인>문신
-
백록(白鹿)@백록동서원 - 백록동서원(白鹿洞書院)@중국
중국 강서성(江西省)의 여산(廬山) 오로봉(五老峯) 밑에 있었던 서원. 송(宋) 나라 때 건립되고, 주희(朱熹)가 남강군(南康軍)의 지사(知事)가 되었을 때 재건하여 강학(講學)하던 장소임.
중국>송 , 중국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백록(白鹿) - 주희(朱熹)
중국 송(宋) 나라의 유학자. 송대(宋代)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(空前)의 사변철학(思辨哲學)과 실천윤리(實踐倫理)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(性理學)을 집대성함. 《사서집주(四書集注)》등 많은 저서가 있음.
1130~120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백록(白麓) - 신응시(辛應時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영월(寧越). 백인걸(白仁傑)의 문인으로 성혼(成渾)ㆍ이이(李珥)와 교유하고, 주자학(朱子學)에 조예가 깊음.
1532~1585 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영월 , 인명>관인>문신
-
백록규해(白鹿規解) - 백록동규해(白鹿洞規解)
조선 전기의 학자 박영(朴英)이 중국 송(宋) 나라 주희(朱熹)가 세운 백록동서원(白鹿洞書院)의 학규(學規)에 대하여 자세하게 풀이한 글.
1518 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작품명
-
백록동(白鹿洞)@백록동서원 - 백록동서원(白鹿洞書院)@중국
중국 강서성(江西省)의 여산(廬山) 오로봉(五老峯) 밑에 있었던 서원. 송(宋) 나라 때 건립되고, 주희(朱熹)가 남강군(南康軍)의 지사(知事)가 되었을 때 재건하여 강학(講學)하던 장소임.
중국>송 , 중국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백록동규집해(白鹿洞規集解) - 백록동규해(白鹿洞規解)
조선 전기의 학자 박영(朴英)이 중국 송(宋) 나라 주희(朱熹)가 세운 백록동서원(白鹿洞書院)의 학규(學規)에 대하여 자세하게 풀이한 글.
1518 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작품명
-
백록동서원(白麓洞書院) - 백록동서원(白鹿洞書院)@황주
조선 선조(宣祖) 때 황해도 황주(黃州)에 건립한 서원. 1721년(경종 1)에 사액받았고, 주자(朱子)ㆍ김굉필(金宏弼)ㆍ이이(李珥)를 배향함.
1588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황주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백록동서원학규(白鹿洞書院學規) - 백록동규(白鹿洞規)
중국 송(宋) 나라 때 남강군(南康軍)에 있던 백록동서원(白鹿洞書院)의 학규(學規). 주희(朱熹)가 황폐해진 서원을 복구하고 학문을 강론하며 정함.
중국>송 , 중국 , 법제>의례>기타의례
-
백록동원(白鹿洞院) - 백록동서원(白鹿洞書院)@중국
중국 강서성(江西省)의 여산(廬山) 오로봉(五老峯) 밑에 있었던 서원. 송(宋) 나라 때 건립되고, 주희(朱熹)가 남강군(南康軍)의 지사(知事)가 되었을 때 재건하여 강학(講學)하던 장소임.
중국>송 , 중국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