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백록리사(栢麓里祠) - 백록사(栢麓社)
경상북도 안동(安東)의 내성(柰城)에 있었던 사당. 이종준(李宗準)ㆍ이홍준(李弘準)ㆍ김성구(金聲久)를 배향하였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유적>건물>사당
-
백록서원(白鹿書院) - 백록동서원(白鹿洞書院)@중국
중국 강서성(江西省)의 여산(廬山) 오로봉(五老峯) 밑에 있었던 서원. 송(宋) 나라 때 건립되고, 주희(朱熹)가 남강군(南康軍)의 지사(知事)가 되었을 때 재건하여 강학(講學)하던 장소임.
중국>송 , 중국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백록원(白鹿院) - 백록동서원(白鹿洞書院)@중국
중국 강서성(江西省)의 여산(廬山) 오로봉(五老峯) 밑에 있었던 서원. 송(宋) 나라 때 건립되고, 주희(朱熹)가 남강군(南康軍)의 지사(知事)가 되었을 때 재건하여 강학(講學)하던 장소임.
중국>송 , 중국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백론석실소은집(百論石室小隱集) - 석실소은집(石室小隱集)
중국 송(宋) 나라의 은자인 육유지(陸維之)가 지은 책. 30권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백륙(百六) - 한식(寒食)
우리나라 사대(四大) 명절의 하나. 동지(冬至)로부터 105일째 되는 날로, 중국 춘추시대(春秋時代)의 개자추(介子推)를 애도하기 위해 찬밥을 먹는 습관에서 유래하였다고 함.
사건>풍속
-
백륜(伯倫)@한백륜 - 한백륜(韓伯倫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예종(睿宗)의 국구(國舅). 본관은 청주(淸州)로, 안순왕후(安順王后)와 지돈녕부사(知敦寧府事) 한순(韓恂)의 아버지. 남이(南怡)의 옥사를 처리한 공으로 익대공신(翊戴功臣)에, 성종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좌리공신(佐理功臣)에 책록됨.
1427~1474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백륜(伯倫)@최백륜 - 최백륜(崔伯倫)
고려 충렬왕(忠烈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성균관 대사성(成均館大司成)을 지낸 최해(崔瀣)의 아버지로, 민부 의랑(民部議郞) 등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백륜(伯倫) - 유령(劉伶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문인. 죽림칠현(竹林七賢)의 한 사람으로, 술을 좋아하여 항상 술을 지니고 다녔으며, 〈주덕송(酒德頌)〉을 지어 술을 예찬함. 세속을 초월한 애주가(愛酒家)의 전형으로 일컬어짐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백륜칠배(伯倫七輩) - 죽림칠현(竹林七賢)
중국 위(魏)ㆍ진(晉)의 교체기에 세상을 등지고 죽림(竹林)에 모여 청담(淸談)으로 세월을 보낸 일곱 명의 선비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집단>조직
-
백률당(柏栗堂) - 금보(琴輔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ㆍ서화가. 본관은 봉화(奉化)로, 이황(李滉)의 문인. 글씨에 뛰어나 이숙량(李叔樑)ㆍ오수영(吳守盈)과 더불어 선성삼필(宣城三筆)이라 불렸으며, 퇴계묘비(退溪墓碑)ㆍ도산신판(陶山神版) 등을 씀.
1521~158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봉화ㅣ경상도>예안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문사>학자
-
백륭(伯隆) - 양여창(梁汝昌)
조선 세조(世祖)~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남원(南原)으로, 별시위(別侍衛)를 지낸 양덕부(梁德符)의 아들.
1434~152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문사>유학
-
백리맹명시(百里孟明視) - 백리시(百里視)
중국 춘추전국시대 진(秦) 목공(穆公) 때의 무신. 백리해(百里奚)의 아들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백리해(百里傒) - 백리해(百里奚)
중국 춘추전국시대 진(秦) 목공(穆公) 때의 대부. 목공을 패주(霸主)의 지위로 이끄는 데 지대한 공을 세움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백린(伯鱗) - 심반(沈攀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삼척(三陟). 중종(中宗) 때 우참찬을 지낸 심언광(沈彦光)의 7대손.
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삼척 , 인명>문사>유학
-
백림(伯林) - 이백림(李伯林)
조선 전기의 유학. 1414년(태종 14) 생원시(生員試)에 점필재(佔畢齋) 김종직(金宗直)의 아버지인 김숙자(金叔滋)와 동년(同年)으로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삼가 , 인명>문사>유학
-
백마강(白馬江)@사자하 - 사자하(泗泚河)
충청남도 부여(扶餘)를 지나는 백마강의 이름.
충청도>부여 , 지명>자연지명
-
백마랑(白馬郞) - 장담(張湛)@후한
중국 후한(後漢) 때의 사람. 사람됨이 예를 좋아하여 행동거지에 법도가 있었고, 광무제(光武帝) 때 조정에 들어가 황제가 나태한 모습을 보이면 곧바로 간하였으며, 항상 백마를 타고 다녔다고 함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백마장군(白馬將軍) - 방덕(龐德)
중국 삼국시대 위(衛) 나라의 장수. 조조(曹操)에게 귀부하여 장수가 되어 싸우다가 관우(關羽)에게 죽임을 당함.
?~219 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백마탄(白馬灘) - 백마강(白馬江)
충청남도 부여(夫餘) 부근을 흐르는 금강(錦江)의 하류(下流). 강의 왼쪽과 부소산(扶蘇山)을 중심으로 한 지역에는 낙화암(落花巖)ㆍ조룡대(釣龍臺)ㆍ고란사(皐蘭寺) 등 백제(百濟)의 유적이 있음.
충청도>부여 , 지명>자연지명
-
백면랑(白面郞) - 백면서생(白面書生)
글만 읽어 얼굴이 창백한 사람이라는 뜻. 남북조시대 송(宋) 나라의 무신(武臣)인 심경지(沈慶之)가 문신을 얼굴이 검은 무관(武官)과 대비해서 한 말로, 《송서(宋書)》〈심경지전(沈慶之傳)〉에 전함. 글만 알고 세상 경험이 전혀 없는 사람을 말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고사성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