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각우(覺牛)
고려 충렬왕(忠烈王) 때의 승려. 나옹(懶翁)의 대표적인 제자로, 동문인 각웅(覺雄)과 중국에 들어가 구법활동을 함. 그의 저서 《자경문(自警文)》은 승려가 반드시 공부해야 하는 필독서가 됨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각운(覺雲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승려. 남원 출신으로, 속성은 유(柳). 졸암(拙菴) 연온(衍昷)의 조카ㆍ제자. 《전등록(傳燈錄)》에 심취하여 연구하고, 중간(重刊)함. 공민왕이 그의 도행(道行)을 숭상하여 그림을 그려주고, ‘구곡각운(龜谷覺雲)’이라는 4자의 친필을 하사함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종교인>승려
-
각웅(覺雄)
고려 말~조선 초의 승려. 나옹(懶翁) 혜근(惠勤)의 제자. 스승이 입적한 뒤 동문인 야운(野雲) 각우(覺牛)와 함께 중국에서 법을 구하려 했으나 이루지 못하고, 여러 곳의 스승을 찾아다니며 도를 묻고 깨달음을 얻음. 이색(李穡)이 그의 도를 위하여 〈중영설(仲英說)〉을 지어 줌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종교인>승려
-
각이(覺怡)
고려 후기의 승려. 원천석(元天錫)의 《운곡행록(耘谷行錄)》에 〈서각이사권(書覺怡師卷)〉이 실려 있음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각재집(覺齋集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인 하항(河沆)의 문집. 3권 1책. 목판본. 1813년(순조 13)에 후손 하경현(河景賢)이 정종로(鄭宗魯)의 서문을 받아 진주(晉州)의 대각서원(大覺書院)에서 간행함.
1813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주 , 문헌>서명
-
각주구검(刻舟求劍)
중국 춘추전국시대(春秋戰國時代) 초(楚) 나라 사람이 강에 빠뜨린 칼을 뱃전에 표시해 두었다가 나중에 찾으려 했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로, 어리석어 시세에 어둡거나 완고함을 비유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고사성어
-
각천(覺天)
고려 후기의 승려. 임춘(林椿)이 각천(覺天)의 시에 차운(次韻)한 시가 《서하집(西河集)》에 남아있음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각해(覺海)
고려 충선왕(忠宣王)~충숙왕(忠肅王) 때의 승려. 검교시중(檢校侍中)을 지낸 이진(李瑱)의 둘째 아들이며, 익재(益齋) 이제현(李齊賢)의 형. 공주 반룡사(盤龍社)에 주석함.
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공주 , 인명>종교인>승려
-
각훈(覺訓)
고려 후기의 승려. 개경의 화엄대찰인 흥왕사(興王寺)와 영통사(靈通寺) 등지를 중심으로 활동하며, 이인로(李仁老)ㆍ이규보(李奎報) 등과 교유함. 1215년(고종 2)을 전후하여 영통사에 주석(駐錫)하며 왕명으로 《해동고승전(海東高僧傳)》을 저술함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종교인>승려
-
간문제(簡文帝)
중국 남북조시대 양(梁) 나라 제2대 왕. 재위 549~551년. 548년 후경(侯景)의 난으로 아버지인 무제(武帝)가 죽자 후경에 의해 즉위함. 중국 역대 제왕 중 뛰어난 문재(文才)를 지님.
503~551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간보(干寶)
중국 남북조시대 동진(東晉)의 문인ㆍ학자. 역사(歷史)ㆍ음양(陰陽)ㆍ산수(算數)를 연구하고 역사찬집(歷史撰集)에 종사하였으며 저작랑(著作郞)을 지냄. 저서에 《수신기(搜神記)》 등이 있음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간성(杆城)
강원도 북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. 관동팔경(關東八景)의 하나인 청간정(淸磵亭)이 있음.
강원도>간성 , 지명>행정지명
-
간송집(澗松集)
조선 후기 학자인 조임도(趙任道)가 저술한 시문집. 7권 4책. 권두에 이광정(李光庭)의 서문이 실려 있음.
174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함안 , 문헌>서명
-
간옹집(艮翁集)
조선 후기의 문신인 이헌경(李獻慶)이 저술한 문집. 원집 23권과 부록 1권으로 구성된 총 24권 12책. 권두에 정범조(丁範祖)가 쓴 서문이 실려 있음.
1795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문헌>서명
-
간이벽온방(簡易辟瘟方)
조선 중종(中宗) 20년에 의관 김순몽(金順蒙)ㆍ유영정(劉永貞)ㆍ박세거(朴世擧) 등이 왕명에 의해 온역(瘟疫)의 치료에 필요한 방문(方文)을 모아 엮은 의서(醫書). 1권 1책. 활자본.
1525 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간이집(簡易集)
조선 후기 학자인 최립(崔岦)의 문집. 9권 9책. 저자가 임진왜란을 전후로 외교문서를 맡았던 경력을 반영하여 주자(奏咨) 등 사대문자(事大文字)가 문집 앞에 편차된 것이 특징이며, 권수에 1631년(인조 9) 장유(張維)가 쓴 서문이 있음.
1631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문헌>서명
-
간장(干將)
중국 춘추전국시대 오(吳)에서 명검(名劍)을 만들었다는 인물. 그의 부인이 막야(莫耶)임. 자웅 한 쌍의 간장검(干將劍)과 막야검(莫耶劍)을 만듦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기술인>장인
-
간장검(干將劍)
중국 춘추전국시대에 살던 간장(干將)이 만들었다는 명검(名劍). 막야검(莫耶劍)과 자웅 한 쌍임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물품>기타용품>무기
-
간재집(簡齋集)
중국 송(宋) 나라 학자인 진여의(陳與義)가 찬술한 서적. 16권으로 구성됨. 간결하되 엄정하고 웅장한 저자의 시풍을 엿볼 수 있음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간재집(艮齋集)
조선 후기 문인 이덕홍(李德弘)의 문집. 원집 8권 속집 5권 총7책으로 구성. 상소(上疏) 2편에서 임진왜란을 당해 전술상의 대책과 거북선의 적극적 이용을 이야기함으로써 전쟁에 대한 대처방식을 보여주고 있음.
1752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