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백성(白城) - 직산(稷山)
충청도 천안(天安) 직산면(稷山面) 일대 지역의 옛 이름.
충청도>직산 , 지명>행정지명
-
백성군(栢城君) - 이원(李源)@1448
조선 전기의 종친. 정종(定宗)의 여섯 번째 서자인 진남군(鎭南君) 이종생(李終生)의 손자이며, 진례군(進禮君) 이형(李衡)의 맏아들로, 효행과 우애가 돈독하였음.
1448~1504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백성수(栢城守) - 이원(李源)@1448
조선 전기의 종친. 정종(定宗)의 여섯 번째 서자인 진남군(鎭南君) 이종생(李終生)의 손자이며, 진례군(進禮君) 이형(李衡)의 맏아들로, 효행과 우애가 돈독하였음.
1448~1504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백성지(白誠之) - 백승종(白承宗)
조선 전기의 유학. 죽천(竹川) 박광전(朴光前)과 교유하여 편지를 주고받음. 그 내용이 《죽천집(竹集)》에 수록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백소(伯昭) - 윤경(尹暻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윤선철(尹先哲)의 아들로, 1569년(선조 22) 별시 문과(別試文科)에 급제하였으며, 양주 목사(楊州牧使) 등을 역임함.
1540~?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소(伯昭)@경감 - 경감(耿弇)
중국 후한(後漢) 광무제(光武帝) 때의 장군. 장보(張步)와 소무(蘇茂)를 평정하고, 3백 개의 성을 도륙(屠戮)함. 건위대장(建威大將)을 지내고, 호치후(好畤侯)에 봉해짐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백소(白小) - 백어(白魚)
뱅어. 몸의 길이는 10cm 정도이고 가늘며, 반투명한 흰색이고 배에는 작은 흰색 점이 있음. 《세종실록(世宗實錄)》 〈지리지(地理志)〉와 《신증동국여지승람(新增東國輿地勝覽)》에는 백어(白魚), 《난호어목지(蘭湖漁牧志)》에서는 빙어(氷魚)로 표기됨. 죽었을 때 몸 색깔이 하얗게 변한다 하여 한자어로 백어(白魚)라고 하였음.
자연물>동물
-
백손(伯孫) - 유백손(柳伯孫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정난공신(靖難功臣)으로 녹훈된 유수(柳洙)의 아들로, 상주 목사(尙州牧使)ㆍ장흥도호부사(長興都護府使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송(伯松) - 장송(張竦)
중국 전한(前漢)의 문신. 단양 태수(丹陽太守)를 지내고, 왕망(王莽)에게 숙덕후(淑德侯)의 봉작을 받았다가 후에 피살됨. 근신하며 법도가 있는 선비였기 때문에 술을 좋아한 친구 진준(陳遵)의 핀잔을 받음.
중국>신ㅣ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수(伯修) - 윤극신(尹克新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원(南原). 서천 군수(舒川郡守) 윤엽(尹曄)의 아버지로, 1576년(선조 9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임천 군수(林川郡守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수(伯修)@만세덕 - 만세덕(萬世德)
중국 명(明) 나라의 장수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에 양호(楊鎬)를 대신하여 파견된 명 나라 장수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백수(伯受) - 정순우(鄭純祐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동래(東萊)로, 강서 현령(江西縣令)을 지낸 정한룡(鄭漢龍)의 아들. 1546년(명종 1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여 천안 군수(天安郡守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수(伯壽) - 부백수(傅伯壽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. 주자(朱子)의 문인(門人)으로, 주자가 자기를 천거해 주지 않자 불만을 품고 비난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수(伯秀) - 여송걸(余宋傑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주희(朱熹)의 문인(門人)으로 《역경(易經)》을 배움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백수(伯綏) - 권복(權福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권료(權憭)의 아들로, 수원 부사(水原府使)를 지냈으며, 김안국(金安國)ㆍ김정국(金正國)ㆍ김안로(金安老) 등과 교유함.
1478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수(伯脩)@소천작 - 소천작(蘇天爵)
중국 원(元) 나라 인종(仁宗)~순제(順帝) 때의 문신ㆍ문인. 이부 상서(吏部尙書)ㆍ강절행성참지정사(江浙行省參知政事) 등을 지냈으나, 홍건적(紅巾賊)을 진압하다가 군중에서 사망함.
1294~1352 중국>원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백수(伯脩) - 범염조(范念祖)
중국 송(宋) 나라 때의 관료. 범여규(范如圭)의 아들로, 경술(經術)을 연구하고 실용적인 학문을 추구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수(白守) - 백수소(白守素)
중국 송(宋) 태종(太宗)~진종(眞宗) 때의 무신. 개봉(開封) 출신으로 활쏘기에 능하였으며, 수차례에 걸쳐 거란(契丹)의 침입을 막는 데 공을 세움.
?~1012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백수(白水)@광무제 - 광무제(光武帝)
중국 후한(後漢)의 초대 황제. 재위 25~57. 신(新) 나라 왕망(王莽)의 군대를 격파하고 후한을 세움. 왕망의 가혹하였던 정치를 폐지하고 전조(田租)를 인하하는 등 통일국가의 기초를 다졌으며, 후한의 특색이 되는 예교주의(禮敎主義)의 기초를 다짐.
B.C.6~A.D.57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백수(白水) - 유면지(劉勉之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호헌(胡憲)ㆍ유자휘(劉子翬)와 깊이 교유함. 주희(朱熹)의 아버지 주송(朱松)의 친우로, 주희가 사부(師父)로 섬김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