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백순(伯醇) - 유호(兪灝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기계(杞溪). 유관(兪綰)의 아들로, 단성 현감(丹城縣監) 등을 역임함.
1522~157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순(伯醇)@김백순 - 김백순(金伯醇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희천(熙川). 경학에 밝아 정사룡(鄭士龍)ㆍ박세호(朴世豪) 등과 함께 사유(師儒)에 뽑힘.
1494~1548 한국>조선전기 , 평안도>희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순(伯順) - 남세건(南世健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《중종실록(中宗實錄)》과 《인종실록(仁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하고, 대사성(大司成)ㆍ호조 참판(戶曹參判)을 지냄.
1484~155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순(百順)@안정복 - 안정복(安鼎福)
조선 영조(英祖)~정조(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광주(廣州). 이익(李瀷)의 문인으로, 실학(實學)을 연구하여 역사지리학(歷史地理學)을 세밀히 고증한 《동사강목(東史綱目)》을 저술함.
1712~1791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제천ㅣ경기도>광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백순(百順) - 이복로(李福老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합천(陜川). 이택(李澤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, 봉상시 판관(奉常寺判官) 등을 지냄.
1469~153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숭(伯崇) - 범염덕(范念德)
중국 송(宋) 나라 때의 유학자. 주자(朱子)의 문인. 범여규(范如圭)의 아들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백승(伯勝) - 이감(李堪)@이길안의아들
조선 세조(世祖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종친. 본관은 경주(慶州). 이길안(李吉安)의 아들로, 전주 부윤(全州府尹) 등을 지내고, 이륙(李陸)ㆍ홍귀달(洪貴達)ㆍ성현(成俔) 등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백승(伯升)@홍익한 - 홍익한(洪翼漢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양(南陽). 이정귀(李廷龜)의 문인이며, 삼학사(三學士)의 한 사람. 병자호란 때 척화론(斥和論)을 폈으나 왕이 화의하자 오달제(吳達濟)ㆍ윤집(尹集)과 함께 심양(瀋陽)으로 잡혀가 죽음을 당함.
1586~1637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승(伯升) - 유연(劉縯)
중국 후한(後漢) 광무제(光武帝)의 큰 형. 신(新) 나라 왕망(王莽)의 군대를 격파하는데 공로가 있었으나, 경시제(更始帝) 유현(劉玄)에게 죽임을 당함.
?~23 중국>신 , 중국 , 인명>왕실>종친
-
백승(伯承) - 강종윤(姜宗胤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이이(李珥)의 문인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동생 강덕윤(姜德胤)과 함께 선조를 호종한 공으로 호성공신(扈聖功臣)에 녹훈(錄勳)됨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백승(伯昇) - 윤현(尹晛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해평(海平). 윤담수(尹聃壽)의 아들로, 이조 정랑(吏曹正郞) 등을 지냈으며, 서인(西人)의 거두인 윤두수(尹斗壽)ㆍ윤근수(尹根壽)와 함께 ‘삼윤(三尹)’으로 일컬어짐.
1536~1597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시(伯始) - 호광(胡廣)
중국 후한(後漢) 안제(安帝)~영제(靈帝) 때의 문신. 태부(太傅) 등을 지내고, 여섯 명의 황제를 보좌한 나라의 원로(元老)로서 모든 정무(政務)를 잘 처리하여 ‘중용(中庸)의 재상’으로 일컬어짐.
91~172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시(伯施) - 우세남(虞世南)
중국 당(唐) 나라 태종(太宗) 때의 문신ㆍ문인ㆍ서예가. 고야왕(顧野王)에게 수학하고, 왕희지(王羲之)의 서법을 익혀 구양순(歐陽詢) 등과 함께 당 나라 초기의 사대(四大) 서예가로 불렸으며, 특히 해서(楷書)에 뛰어남. 태종의 신임을 받아 자주 담론을 나눔.
558~638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백시(伯時)@정사중 - 정사중(鄭思中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한강(寒岡) 정구(鄭逑)의 아버지이자, 백곡(栢谷) 정곤수(鄭崐壽)의 생부(生父). 충좌위 부사맹(忠佐衛副司猛)을 지내고, 이조 판서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무신
-
백시(伯時) - 이공린(李公麟)@송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화가. 병을 핑계로 벼슬을 그만두고 용면산(龍眠山)에 은거함. 시에 뛰어나고 골동품 감정에 정통하였으며, 특히 그림에 능하여 명성을 떨쳤음.
1049~1106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
-
백신(伯伸) - 권교(權僑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강화 부사(江華府使)를 지낸 권적(權勣)의 아버지로, 진주 판관(晋州判官)ㆍ양근 군수(楊根郡守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실(伯實)@강극성 - 강극성(姜克誠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좌찬성 강희맹(姜希孟)의 현손(玄孫). 군자감 정(軍資監正)ㆍ제용감 정(濟用監正) 등을 지냄.
1526~157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실(伯實) - 유세화(柳世華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유팽성(柳彭成)의 아들로, 김제 군수(金堤郡守)ㆍ장흥 부사(長興府使)를 지냄. 시부(詩賦)를 잘 지었음.
1504~1554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실(伯實)@이분 - 이분(李賁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고성(固城). 이중(李中)의 아버지로, 한성 판관(漢城判官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성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심(伯審) - 요찰(姚察)
중국 남북조시대 양(梁)~수(隋) 나라의 문신ㆍ학자. 관직이 비서감(秘書監)에 이르렀으며, 《한서훈찬(漢書訓纂)》ㆍ《설림(說林)》 등을 저술함.
533~606 중국>수ㅣ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