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백암(白巖) - 김제(金濟)
고려 후기의 문신. 고려가 망하고 조선이 건국되자 출사(出仕)하지 않고 충절을 지킨 두문동(杜門洞) 칠십이현(七十二賢) 중 한 사람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암(白菴) - 배숙후(裵叔厚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김해(金海). 감찰(監察)을 지낸 배진(裵縉)의 아들로, 이조 정랑(吏曹正郎)ㆍ오수 찰방(鰲樹察訪)을 지냄.
?~150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암거사(白巖居士) - 이행(李行)@고려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우왕(禑王) 때 탐라(耽羅)에 가서 성주(星主)의 아들 고봉례(高鳳禮)를 볼모로 데려옴. 조선 개국 후 형조 판서(刑曹判書)ㆍ개성 유후(開城留後) 등을 지냄.
1352~1432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암선생문집(栢巖先生文集) - 백암집(栢巖集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인 김륵(金玏)의 시문집. 6권 4책. 가장초본(家藏草本)에 저자의 외손 김휴(金烋) 및 종손 김선(金鍌)이 편차한 연보와 부록을 합쳐 6대손 김위(金㙔)가 목판으로 간행함. 권두에 이상정(李象靖)의 서문이, 권말에 김위의 발문이 있음.
1772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백야(伯野) - 손부(孫傅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. 휘종(徽宗) 때 소식(蘇軾)과 언론(言論)이 같다는 이유로 기주(蘄州)에 안치되기도 하였으며, 상서우승(尙書右丞)과 동지추밀원사(同知樞密院事) 등을 역임함.
1078~1128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야(白也) - 백두산(白頭山)
함경도와 중국 길림성(吉林省)에 걸쳐 있는 산. 백두산에서부터 지리산에 이르는 백두대간은 한국의 기본 산줄기로서, 모든 산들이 여기서 뻗어 내렸다 하여 예로부터 성산(聖山)으로 숭배함.
함경도>경성ㅣ함경도>갑산 , 지명>자연지명
-
백약(白藥) - 작약(芍藥)
작약과(芍藥科)의 다년생초(多年生草). 흔히 남녀 간의 애모(愛慕)하는 마음이나 이별(離別)의 상징물로 쓰여, 작약을 소재로 한 시들이 《동국이상국집(東國李相國文集)》ㆍ《동문선(東文選)》 등에 실려 있음.
자연물>식물
-
백양(伯陽)@이이 - 이이(李耳)
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철학자. 도가(道家)의 창시자로, 무위자연설(無爲自然說)을 주창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백양(伯陽)@위백양 - 위백양(魏伯陽)
중국 후한(後漢)의 학자ㆍ도사. 진단(陳摶)에게 태극도(太極圖)를 전수하고, 《주역(周易)》에 나오는 효상(爻象)의 원리를 그대로 빌려와 신단(神丹)을 만드는 방법과 과정을 논함. 저서로 《참동계(參同契)》ㆍ《오상류(五相類)》가 있음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도사ㅣ인명>문사>학자
-
백양(伯陽) - 조성(趙晟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음악이론가ㆍ학자ㆍ의원. 본관은 평양(平壤). 정주 판관(定州判官) 조수함(趙守諴)의 아들이며, 조욱(趙昱)의 형. 조광조(趙光祖)의 문인으로 성리학에 밝았고, 군직(軍職)에 나가 의술을 가르쳤으며 편종ㆍ편경을 이정(釐正)함.
1492~1555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삭녕ㅣ서울 , 인명>기술인>의원ㅣ인명>예술인>음악인ㅣ인명>문사>학자
-
백어(伯魚)@공리 - 공리(孔鯉)
중국 춘추전국시대(春秋戰國時代) 노(魯) 나라의 학자. 공자(孔子)의 아들이며, 공급(孔伋)의 아버지. 송(宋) 나라 때 문묘(文廟)에 종사됨.
B.C.532~B.C.482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백어(伯魚) - 이오(李鰲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이공린(李公麟)의 아들로, 1486년(성종 17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이조 좌랑(吏曹佐郞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어(伯魚)@제오륜 - 제오륜(第五倫)
중국 후한(後漢) 때의 문신. 후한(後漢) 광무제(光武帝) 때의 명신(名臣)으로 언변(言辯)이 뛰어났음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언(伯彦)@왕백언 - 왕백언(汪伯彦)
중국 송(宋) 나라 휘종(徽宗)~고종(高宗) 때의 문신. 중서시랑(中書侍郞) 등을 지냈으나, 금군(金軍)이 남침했을 때 황잠선(黃潛善) 등과 함께 방비책을 강구하지 않고 화평을 주장하여 송 나라를 패배하게 함.
1069~1141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언(伯彦) - 고응성(高應星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개성(開城). 봉화 훈도(奉化訓導)를 지낸 고익겸(高益謙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청도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언(伯彦)@이세좌 - 이세좌(李世佐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이극감(李克堪)의 아들로, 무오사화 때 김종직(金宗直)을 극형에 처하도록 주장함. 연산군의 생모인 윤씨(尹氏) 폐위에 극간하지 않고 사약을 전하였다는 죄목으로 갑자사화 때 자살의 명을 받음.
1445~1504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언(伯言) - 육손(陸遜)
중국 삼국시대 오(吳) 나라의 무신. 대제(大帝)의 도독(都督)으로서 형주(荊州)를 쳐 빼앗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함. 유비(劉備)를 이릉(夷陵)에서 패퇴시키고, 조휴(曹休)의 군대를 무찌르는 등 많은 전공을 세움.
183~245 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백여(伯輿)@유헌 - 유헌(柳軒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로, 유세린(柳世麟)의 아버지. 대사간(大司諫) 등을 지냄. 연산군 때 만언소(萬言疏)를 올리고, 갑자사화(甲子士禍)에 제주도(濟州道)로 귀양감.
1462~1506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여(伯輿) - 요로(饒魯)
중국 남송(南宋)의 학자. 황간(黃榦)의 문인으로, 성학(聖學)에 뜻을 두고 치지역행(致知力行)을 근본으로 삼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백연(伯涓)@홍백연 - 홍백연(洪伯涓)
조선 전기의 무신. 절도사(節度使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서거정(徐居正)의 《사가집(四佳集)》에 부임지로 떠나는 그를 전송하며 지은 시가 실려 있음.
1420~? 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무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