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백연(伯涓)@윤백연 - 윤백연(尹伯涓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무송(茂松). 의영고 사(義盈庫使) 한가구(韓可久)의 사위이며, 훈련원 부정(訓鍊院副正) 윤상손(尹祥孫)의 아버지로, 송화 현감(松禾縣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무장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연(伯涓) - 홍익생(洪益生)
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양(南陽). 공조 전서(工曹典書) 홍자경(洪子儆)의 아들. 경상도 관찰사(慶尙道觀察使) 등을 지내고 좌익원종훈(左翼原從勳)에 책록되었으며, 정주 목사(定州牧使)에 제수되어 서변(西邊) 방어에 큰 공을 세움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연(伯淵)@최준 - 최준(崔濬)@고려후기
고려 후기의 문신. 원(元) 나라에서 요양행성 참지정사(遼陽行省參知政事) 등을 역임했고, 어사(御史)로서 고려에 사는 부모를 근성(覲省)하러 온 내용의 시가 정포(鄭誧)의 《설곡집(雪谷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연(伯淵)@양백연 - 양백연(楊伯淵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우왕(禑王) 때의 무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흥왕사(興王寺)의 변(變)을 평정한 공으로 추성익위공신(推誠翊衛功臣)에 책록되고, 여러 차례 왜구(倭寇)를 격퇴하였으나, 후에 이인임(李仁任) 등의 미움을 받아 합주(陜州)로 귀양 갔다가 살해됨.
?~1379 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백연(伯淵) - 이심원(李深源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ㆍ학자. 효령대군(孝寧大君)의 증손으로,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. 임사홍(任士洪)의 무고로 유배생활을 했고, 갑자사화(甲子士禍)에 연루되어 죽임을 당함.
1454~1504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종친
-
백열(伯說) - 윤기(尹祈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원(南原)으로, 승문원 판교(承文院判校) 윤강원(尹剛元)의 아들. 성균관 유생(儒生)으로서 을사사화(乙巳士禍) 공신호(功臣號)의 삭훈(削勳)을 상소하고, 임진왜란(壬辰倭亂)에는 세자를 시종함.
1535~1607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영(伯榮) - 김부인(金富仁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무신ㆍ학자. 본관은 광산(光山).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낙안 군수(樂安郡守)ㆍ정주 목사(定州牧使)ㆍ경상도 병마절도사(慶尙道兵馬節度使) 등을 지냄. 관직에서 물러난 뒤 경학(經學)에 힘쓰면서 근본원리를 종합적으로 통찰함을 학문연구의 토대로 삼음.
1512~158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무신
-
백영(伯瑛) - 허백영(許伯瑛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김해(金海). 첨정(僉正)을 지낸 허눌(許訥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김해 , 인명>문사>유학
-
백영(伯英)@정백영 - 정백영(鄭伯英)
중국 송(宋) 나라 효종(孝宗)~광종(光宗) 때의 문신ㆍ학자. 형인 정백웅(鄭伯熊)과 이름을 나란히 하였으며, 수주 판관(秀州判官)을 지냈으나 그만두고 종신토록 벼슬하지 않음. 저서에 《귀우옹집(歸愚翁集)》이 있음.
1130~1192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백영(伯英)@장지 - 장지(張芝)
중국 후한(後漢)의 서예가. 장초(章草)에 뛰어나 초성(草聖)이라고 일컬어짐. 연못가에서 글씨를 쓰고서는 물로 씻기를 수없이 되풀이하여 마침내 연못의 물이 먹물로 까맣게 변하였다는 일화가 전함.
?~192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
-
백영(伯英) - 양지손(梁芝孫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원(南原)으로, 1483년(성종 14) 춘당대시(春塘臺試)에 급제하여 예조 참의(禮曹參議)를 지냄. 정수강(丁壽崗)의 《월헌집(月軒集)》에 차운시(次韻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영(百英) - 김백영(金百英)
조선 후기의 유학. 선조(宣祖) 때의 직장(直長) 김태명(金泰溟)의 아들로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김천일(金千鎰)의 의병(義兵)에 형제인 김천영(金千英)과 함께 참가함.
한국>조선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백영(百英)@임백영 - 임백영(任百英)
조선 전기의 유학. 죽천(竹川) 박광전(朴光前)이 그를 위해 쓴 만시(挽詩)가 《죽천집(竹川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백오(百五) - 한식(寒食)
우리나라 사대(四大) 명절의 하나. 동지(冬至)로부터 105일째 되는 날로, 중국 춘추시대(春秋時代)의 개자추(介子推)를 애도하기 위해 찬밥을 먹는 습관에서 유래하였다고 함.
사건>풍속
-
백옥(伯玉)@강관(姜琯) - 강관(姜琯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부사(府使)를 지낸 강응태(姜應台)의 아버지로, 1510년(중종 5) 식년시(式年試) 병과(丙科)에 급제하여 현감(縣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옥(伯玉) - 김이음(金爾音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ㆍ효자. 본관은 함창(咸昌). 권근(權近)의 《입학도설(入學圖說)》을 진양(晉陽)에서 처음 간행하고, 효행이 뛰어나 정문(旌門)을 하사받음.
?~1409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기타인명>효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백옥(伯玉)@문관 - 문관(文瓘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감천(甘泉). 양양 부사(襄陽府使)를 지낸 문걸(文傑)의 아들로, 장악원 첨정(掌樂院僉正)을 지냈음.
1475~151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용궁 , 인명>관인>문신
-
백옥(伯玉)@성석용 - 성석용(成石瑢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성여완(成汝完)의 아들이자 성석린(成石璘)의 아우로, 고려 때 밀직제학(密直提學) 등을 지냈으며, 조선 개국에 공이 있어 원종공신(原從功臣)에 책록됨.
?~1403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백옥(伯玉)@위관 - 위관(衛瓘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무신ㆍ서예가. 여류 서예가 위삭(衛鑠)의 아버지로, 태보(太保) 등을 지내고, 장지(張芝)의 서체를 이어 받음. 혜제(惠帝) 때 혜가황후(惠賈皇后)에게 주살됨.
220~291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무신
-
백옥(伯玉)@김원 - 김원(金瑗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김허의(金許義)의 아들이고, 김세헌(金世憲)의 아버지. 1483년(성종 14) 춘당대시(春塘臺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, 예조 정랑(禮曹正郞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성 , 인명>관인>문신